View : 962 Download: 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집중-확장형 읽기(I-ER) 과제 구성 방안 연구

Title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집중-확장형 읽기(I-ER) 과제 구성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nsive-Extensive Reading Task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uthors
WU, SIYI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집중형 읽기와 확장형 읽기를 중심으로 한국어 읽기 교재의 과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집중-확장형 읽기 과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 한국어 교육 전문가에게 읽기 과제의 구성 및 활용에 관한 검증을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읽기 과제 구성 방안을 마련하였다. 최근 한국 대학에서 학업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유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순조로운 학업 이수와 대학 생활을 위해서 읽기를 잘 수행하도록 돕는 것은 한국어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수 방법이 주로 비교적 짧은 텍스트를 정확하게 읽고 텍스트 속의 어휘와 문법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집중형 읽기 수업 방식이며 다양한 텍스트를 읽는 확장형 읽기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한국어 고급 학습자에게는 하나의 읽기 텍스트를 꼼꼼하게 정확히 읽는 집중형 읽기뿐 아니라 보다 넓은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많은 양의 텍스트를 빠르게 읽고 전반적인 흐름과 내용을 이해하도록 돕는 확장형 읽기가 요구된다. 학습자들이 다양한 텍스트를 읽고 텍스트에 내재된 정보를 습득하며 스스로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읽기 내용의 이해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제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 과제는 한국어 읽기 교육의 교수·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배경 지식 및 경험을 활용하여 텍스트 내용 이해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필수불가결한 도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꼼꼼하게 텍스트를 읽고 어휘, 문법, 구조, 발음 등의 학습을 통해 텍스트 이해의 정확성을 강조하는 집중형 읽기 과제뿐 아니라 많은 양의 텍스트 읽기를 수행하는 확장형 읽기 과제를 함께 제시하여 균형 잡힌 읽기 과제를 고안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집중형 읽기(IR) 과제와 확장형 읽기(ER) 과제의 특징과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한국어 읽기 교재에 나타난 집중형 읽기와 확장형 읽기 과제의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집중-확장형 읽기(I-ER) 과제 구성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에 따라 Ⅱ장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의 집중형 읽기와 확장형 읽기의 개념 및 특징을 검토하고 집중형 읽기와 확장형 읽기의 연계 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핀다. 본 연구에서 집중형 읽기는 모든 표현과 문법을 꼼꼼하게 해석하고 비교·분석하여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어려운 문장 구조, 어휘나 숙어의 지식을 확장시켜주는 기초를 제공해주는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확장형 읽기는 주로 학습자의 자발적 독서 활동을 인도하는 것을 통해 다양한 텍스트를 읽는 활동으로 한국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읽기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읽기 과제의 개념, 특징, 기능, 유형에 초점을 맞추어 집중형 읽기와 확장형 읽기 과제 활동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집중-확장형 읽기 과제의 특성과 유형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집중형 읽기 과제는 주로 ‘꼼꼼히 읽기’, ‘글의 구조, 격식, 특징적 표현 익히기’, ‘단어·문법·표현 익히기’, ‘주제 개요, 주제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세부 정보 파악하기’, ‘특정 정보 파악하기’ 등이 있으며, 확장형 읽기 과제 유형은 ‘독서 일지’, ‘감상문’, ‘줄거리 쓰기’, ‘주제에 관한 내용 발표하기’ 등이 있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검토한 이론을 바탕으로 집중형 읽기와 확장형 읽기를 위한 과제가 읽기 교재에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한국 대학교 한국어 어학당에서 출판되어 사용 중인 고급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읽기 교재를 선정하였고, 주제, 텍스트 유형, 읽기 과제 유형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읽기 과제활동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읽기 교재에서 나타나는 과제의 유형은 주로 집중형 읽기 과제이며 확장형 읽기 과제는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확장형 읽기 과제와 집중형 읽기 과제를 연계한 읽기 교육 및 과제가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학습적 지원을 위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Ⅳ장에서는 교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집중-확장형 읽기 과제를 두 유형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첫째는 집중형 읽기 과제 위주로 구성된 비교형 읽기 과제 조합이고, 둘째는 확장형 읽기 과제 위주로 구성된 안내형 읽기 과제 조합이다. 이어 한국어 교육 전문가 3명에게 학습 목표의 적절성, 텍스트 선정의 적절성, 학습활동 구성의 적절성 등을 기준으로 과제를 검토 받았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두 집중-확장형 읽기 과제 조합을 수정하고, 실제 한국어 읽기 교육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첫 번째 비교형 읽기 과제 조합의 교수·학습 방안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이 과제 방안에서 어휘 익히기, 집중형 읽기, 글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 대답하기, 학습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확산형 질문에 대답하기, 집중형 읽기 텍스트와 관련된 텍스트를 찾아 비교하며 연계 질문을 풀기, 발표하기의 총 여섯 개 과제 유형을 제시하며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할에 따라 읽기 전, 중, 후 세 단계로 교수·학습 활동을 설명하였다. Ⅴ장은 본 논문의 총체적인 내용과 연구 결과를 요약하며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읽기를 균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집중-확장형 읽기 과제 방안을 제안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집중-확장형 읽기 과제의 개발 연구뿐 아니라 실제 수업에서의 기대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후속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해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tasks of Korean reading textbooks focusing on intensive reading and extended reading in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propose a method of intensive-extended reading tasks by reflecting the results. Also, Korean education experts verified the composition and use of reading tasks in the proposed method. Based on this, this study prepares a more efficient reading task composition method for Korean learners. Recently,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t Korean universiti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t is a very important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help Korean learners to read well for the sake of smooth academic completion and college life. This research is started with a problem in the teaching method currently used in Korean reading clas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s mainly using an intensive reading method that accurately reads relatively short texts and grasps the vocabulary and grammar in the text in detail. And there is a lack of teaching methods in an extended reading method for reading various texts.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not only intensive reading that reads a single reading text meticulously and accurately but also extensive reading is required to quickly read large amounts of text and understand the overall flow and contents in order to acquire mor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order for learners to read various texts, learn the information inherent in the texts, and use them for themselves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a “task” that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reading content must be accompanied. A task plays an important role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reading education and is an indispensable tool to help students solve problem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ext content by using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making a method of devising a balanced reading task by presenting an intensive reading task that emphasizes the accuracy of text understanding through reading text thoroughly and learning vocabulary, grammar, structure, pronunciation, etc. as well as an extended reading task that performs a large amount of text reading.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the research problems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intensive reading(IR) and extended reading(ER) tas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Second, what are the aspects of intensive reading and extended reading task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Third, what is the task to construct an intensive-extended reading(I-ER)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apter II, depending on the research problem,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tensive reading and extended reading in Korean reading education are examined. Also, this chapter focuses on examining discussions on the linkage education between intensive reading and extended reading. In this study, Intensive reading is defined as activity that aims to grasp the exact meaning of text by thoroughly interpreting, comparing and analyzing all expressions and grammars, and provides the basis for expanding the knowledge of difficult sentence structure, vocabulary and idioms. Extended reading is defined as a reading activity aimed at improving Korean reading skills, primarily through reading a variety of texts, which is led by a learner's voluntary reading. Also, focusing on the concepts, features, functions, and types of reading tasks, this study reviews prior studies on intensive reading and extended reading task activities and derives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intensive-extended reading tasks. There are 9 types of intensive reading tasks, which include‘Reading carefully’, ‘Learning the structure, formality, and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writing’, ‘Learning words, grammar, and expressions’, ‘Topic overview, talking about topics,’ ‘To grasp detailed information,’ ‘To grasp specific information.’etc. There are 14 types of extended reading assignments, which include‘Reading journal’, ‘Appreciation sentence’, ‘Writing a story’, ‘Presenting the subject matter’etc. In chapter Ⅲ, based on the theory explored in chapter Ⅱ, this study analyzes how the tasks for intensive reading and extended reading are presented in reading materials. The analysis target was selected from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advanced learners currently being published and used by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 Korea University. In analysing selected materials, this study focuses on three aspects: subject, text type, and reading task type, to which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task activ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types of tasks appearing in Korean reading textbooks were mainly focused on intensive reading tasks and the presentation of extended reading tasks was rarely made. In addition, it explains that Korean advanced learners who need more exposure to extended reading need reading education that links intensive reading tasks with extended reading tasks. In chapter Ⅳ,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two types of intensive-extended reading tasks for Korean learners are developed. The first type is a combination of comparative reading tasks consisting of mainly intensive reading tasks, and the second type is a combination of leading type reading tasks consisting of mainly extended reading tasks. Subsequently, three Korean education experts review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learning objective of the task,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xt selec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learning activities. Lastly, by accepting expert opinion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using intensive-extended reading tasks so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actual Korean reading education scene. There are six types of assignments in this I-ER task plan: vocabulary mastery, intensive reading, answering the details of the text, answering diffuse questions based on the learner's experience, finding and comparing text related to focused reading text solve questions to read and present. According to the role of learners and instructor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re explained in thre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Finally, chapter Ⅴ summarizes the overall content and results of this paper and stat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poses Korean learners an intensive-extended reading task to balance reading.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 variety of follow-up studies on the reading task for balanced performance between the intensive reading task and the extended reading task for Korean learners will be carried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