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4 Download: 0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 개선 방안 연구

Title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How to Improve Korean Writing Materials in China : Focusing on The Persuading Writing Unit
Authors
MAO, YUWEI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대학에 있는 한국어 전공인 중·고급 학습자들의 주장하는 글쓰기에 대한 요구와 실제 작성한 텍스트의 오류를 밝히며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중 주장하는 글쓰기 부분을 분석하여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Ⅰ장에서는 먼저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는 ‘주장하는 글쓰기에 관한 연구’, ‘장르 중심 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에 관한 연구’ 세 방향으로 나누었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면서 본 연구의 차별성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기존 연구에서 주장하는 글쓰기에 관한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만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연구가 아직 미미한 실정이고 중국의 쓰기 교재에 대한 연구도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은 텍스트의 패턴을 중시하여 최근 영어 교육이나 한국어 교육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할 이론적 배경 지식은 네 가지 부분으로 나누고 정리하였다. ‘주장하는 글쓰기의 개념 및 특징’과 ‘중국인 학습자의 주장하는 글쓰기 오류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본고의 학습자 텍스트 오류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주장하는 글쓰기의 개념 및 특징’과 ‘한국어 쓰기 교재의 원리’를 토대로 본고의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에 관한 내용에서 장르 중심 쓰기 교수 모형을 토대로 본고의 ‘장르 중심 협력 및 독립적 글쓰기 모형’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한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주장하는 글쓰기를 배웠을 때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기존 교재에 대한 만족도가 어떠한지에 대해 파악하여 이를 통해 기존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 주장하는 글쓰기 부분을 개선할 필요성과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한국어 전공인 중·고급 학습자들의 실제 주장하는 텍스트에 대해 분석하여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오류 특징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의 주장하는 글쓰기 부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의 주장하는 글쓰기 부분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앞에 분석 결과를 토대로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중국의 한국어능력시험 중심 또는 비즈니스 중심 쓰기 교육 경향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기존 한국어 쓰기 교재 주장하는 글쓰기 부분에서 주장하는 글의 관용 표현에 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주장하는 글쓰기의 장르적 특성에 관한 내용도 더 많이 추가해야 한다. 셋째, 기존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 주장하는 글쓰기 부분의 실용성을 더 높이기 위해 효율적이고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학습활동을 완성한 후에 고쳐 쓰기와 교사, 동료 피드백에 관한 내용도 제시해야 한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Ⅱ장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실제 주장하는 글쓰기 단원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장에서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 주장하는 글쓰기 단원의 개선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장르 중심 협력 및 독립적 글쓰기 모형’에 따라 구체적인 주장하는 글쓰기 단원을 마련하였다. 기존 교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고의 주장하는 글쓰기 단원은 ‘맥락 이해하기’, ‘텍스트 분석하기’, ‘함께 글 구성하기’, ‘독립적인 글쓰기’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맥락 이해하기’와 ‘텍스트 분석하기’ 단계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예시 텍스트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중·고급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학습활동도 마련하였다. 또한 더 효율적인 협력 학습을 실현하기 위해 ‘함께 글 구성하기’ 단계에서 교사, 동료 피드백에 관한 활동도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점검하기 위해 ‘독립적인 글쓰기’ 단계에서 주어진 주제를 제시하여 자유 작문 활동을 제시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전공인 중·고급 학습자들의 실제 요구와 수준을 고려하여 기존 쓰기 교재의 한계점을 밝히고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주장하는 글쓰기 단원을 구성했다는 점은 본 연구의 의의이다. 또한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을 활용하여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 주장하는 글쓰기 단원 개선 방안을 설계하는 것은 향후 중국의 한국어 쓰기 교재를 설계하는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clarifies the demand for writing and the errors of the text written by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who are majoring in Korean at universities in China, and analyzes the persuading writing part of Chinese writing materials in China to enhance the methods of improving Korean writing materials in China.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has been presented and the previous study has been review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udies were revealed, the discrimin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ppearing at the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writing insisted on the existing studies, but studies conducted on Chinese learners are still insignificant and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focus on writing materials in China. In addition,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can be seen that the genre-oriented writing approach is used in recent English education or Korean education by focusing on text patterns.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knowledge used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hat is claim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errors that Chinese learners claim’, we set the standard for analyzing text errors in this study. In addition, based o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Written Writing’ and ‘Principle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this study developed a standard for analyzing Korean writing textbooks in China. Founded on the genre-oriented writing, teaching model in the content of ‘the genre-oriented writing approach’, this article prepared a ‘genre-oriented cooperation and independent writing model’. In chapter Ⅲ,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Korean learners to see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Korean learners’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survey, it was found out what difficulties Chinese students experienced when learning persuading writing, and how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existing textbooks, thereby confirming the need to improve the writings insisting on Korean textbooks in China. Afterward, by analyzing the text that the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majoring in Korean actually claimed,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among Chinese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were revealed. Last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rsuading writing part of the Korean writing textbook in China, the problem of the persuading part of the Korean writing textbook in China wa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writing textbooks in China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oriented or busin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trend. Second, it is important to continue to deal with the content of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f the persuading text in the writing section of the existing Korean writing textbook, and more should be added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persuading writing.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of the writing part, insisting on the existing Korean writing textbooks in China, it is essential to prepar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efficient and suitable the different level of learners. Fourth, the contents of rewriting and feedback from teachers and colleagues should be presented after completing the 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Ⅳ,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we first suggested the improvement principle of the writing unit insisting on Korean writing textbooks in China. Later, according to ‘the genre-oriented cooperation and independent writing model’, a specific writing unit was prepar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extbooks, this writing unit consists of four steps ‘Understanding context’, ‘Analyzing text’, ‘Composing text together’, and ‘Independent writing’. In the steps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Analyzing the text’, example texts were presented that could stimulate the interest of Chinese Korean learners. As a result, learning activities suitable for different level of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were also prepared. However, in order to realize more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eacher and peer feedback were also designed during ‘the composing together’ stage. Lastly,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a free writing activity was suggested by presenting the subject given at the stage of ‘independent writing’. The import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formed a writing unit that clarifi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extbooks and makes a practical and efficient claim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needs and levels of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who are Chinese Korean majors. In addition, using the genre-oriented writing approach to design a plan to improve the writing unit insisting on Korean textbooks in China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d a direction for designing Korean writing materials in China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