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reat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35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3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3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34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404-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라는 말은 인간이 사회를 떠나 살 수 없다는 의미로만 사용되는 말이 아니다. 인간은 카멜레온처럼 환경에 쉽게 적응하고 변한다. 월드와이드웹이 확장 시키는 범위는 참으로 광대하다. 디자이너의 ‘창의성’발현을 위한 관심에 집중되어 인문학과의 융합을 시도하던 중 모든 예술은 하나라는 기본 생각에서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갔던 것이 어느새 최신 디자인의 관심인 정보디자인에 와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의 서막을 알릴 때쯤 창의력과 비판력이 미래에 요구되는 능력의 최우선 순위로 꼽혔다. 학자들은 물론이고 사람들의 관심은 창의력에 집중, 창의성 및 창조성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어서 비판력이 연구되기 시작했지만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녹록치 않아 보이던 중 그 해답을 시(詩)에서 찾고자 하였다. 마침 창의력을 연구한 에드워드 드 보노(Adward de bono) 박사의 ‘수평적 사고’가 시의 창작 과정의 사고와 닮아 있어 수평적 사고 기법을 시의 사례로서 제시하여 창의성 발현을 위한 대안으로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을 제안하였다.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의 주체는 디자이너로 한정하고 3단계로 나누어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을 시도하였다. 그 이전에 통찰력과 시의 시각화 수업에 대한 선행수업 과정이 이루어졌다. 통찰력의 경우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가 시적(詩的) 회화로 유명하여 그의 회화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그림’에 대해 설명하고 수사학, 광고 언어, 생각하는 디자인과의 관계와 함께 통찰력 있는 디자인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이어서 시의 시각화 수업은 ‘시를 시각화 하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실습으로 이어졌는데 감상, 디자이너의 정신 활동으로 이미지 형상화, 이미지 구체화(시각화)의 3단계를 거치며 완성했다. 연구 결과로는 3단계 이후 제품이나 패션, 공간 등의 디자인 창작물로도 이어갈 수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창의성 발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는 앞으로 더욱 깊이 있게 연구되어야 한다.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은 당초 예상했던 수평적 사고와 창의성 발현 효과 외에도 의외의 동반효과가 있었다. 시의 감상,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과정의 각 단계별 효과는 감상으로부터 ① 언어정보의 학습 및 그룹화 ② 감성언어의 이해 ③ 통찰을 학습할 수 있었으며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으로부터 ① 정보 디자인 실습 ② 텍스트의 이미지화, 이미지의 텍스트화가 실험되었고 종합적으로는 정서적 효과, 창의적 발상, 스토리 디자인의 기초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즉 인문학의 한 분야인 시와 디자인의 융합적 시도를 한 본 연구는 창의 발상 연구를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수평적 사고를 실험하기 위한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은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의 기대 이상의 효과를 나타냈다. 첫째, 정보로서의 언어 둘째, 텍스트 이미지 셋째, 정서적 효과 넷째, 통찰 및 창의 다섯째, 스토리 디자인에의 기초 학습에 대한 기대이다.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고 이를 역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참여한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설문조사를 실시, 결과지를 첨부하였다. 처음에는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으로 창의성을 구현하는 작업에만 몰두하려고 하였으나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은 의외로 저절로 체득되는 것이 많았다. 수업 중 학생들의 변화를 감지한 후 ‘효과’에 집중하기 시작하였고, 그 효과를 정리한 것이며 미래 연구의 지향점도 획득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인문학의 한 분야인 ‘시’와 ‘디자인’의 융합을 시도하여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을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창의성’발현과 ‘정보 리터러시’의 기초 학습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었다. 다만, 고백하건대 연구의 시작 전에 나무를 볼 것인가 숲을 볼 것인가를 두고 고민했다는 점이다. 나무를 본다는 것은 시적(詩的) 이미지에서 ‘시’와 ‘이미지’의 분야, ‘형상화’까지 전문적으로 나누고 쪼개어 선행이론을 찾아 제시해야 하는 것이 옳은 일이다. 다음 연구는 ‘나무’를 보는 연구로 듬성듬성한 기둥 사이를 메우는 일일 것이며, 그 첫 번째가 시의 시각화 사례를 유형별로 수집하여 분석을 시도하는 일이다. 아직 경험이 미천하여 많은 사례를 가지고 있지 않음이 숲을 볼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되었음을 밝힌다. ;‘'Man is a social animal' is not just used to mean that man cannot live away from society. Humans, like chameleons, adapt and change easily to the environment. The extent to which the World Wide Web extends is truly vast. While trying to integrate with humanities, focusing on the designer's revelation of‘creativity’, it has already come to information design, an interest in the latest design, that has taken step by step from the basic idea that all art is one. By the time the beginning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was announced, creativity and criticism were among the top priorities of the skills required in the future. Not only scholars but also people's attention began to focus on creativity, and studied creativity and originality, and then criticism began to be studied, but while the research on creativity seemed to be poor, the answer was tried to be found in the poetry. Just in time, Dr. Edward de Bono's ‘lateral thinking’ of the creative process resembled that of the poetry, so lateral thinking techniques were presented as examples of poetry, suggesting poetic image visualization activities as an alternative to expressing creativity. The subject of the poetic image visualization activity was limited to the designer and divided into three stages to attempt the poetic image visualization activity. Prior to that, a prior course was taken on insight and poetry visualization classes. In the case of insight, Rene Magritte is famous for his poetic paintings, explaining about 'thinking pictures' mainly with his paintings and suggested to deliver insightful designs along with relationships with rhetoric, advertising language and thought design. The poetry visualization class then presented various examples, starting with the question, "Is it possible to visualize poetry?" And it led to the practice of visualizing poetic images, which was completed through three stages of appreciation, image shaping as designer’s mental activities, and image embodying(visualiz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possible to continue to design creations such as products, fashion, and space after the three stages, but specifically, it should be studied in more depth in the future about how creativity is revealed. In addition to the laterall thinking and the revelation of creativity that were originally expected, the poetic image visualization activity had an unexpected companion effect. As the effect of each step of the process of appreciation of poetry and poetic image visualization, ①learning language information and grouping, ②understanding of emotional language, and ③insight could be learned from appreciation, and ①the practice of information design, ②imaging of text and texting of image could be experimented from the activities of poetic image visualization and overall, emotional effect, creative ideas, and basic learning effect of story design could be expected. In other words, this study, which tried a fusion of poetry, a branch of humanities, and design, was attempted for the study of creative ideas, and the activities of poetic image visualization to experiment the lateral thinking had more effect than expected in the following areas: First, language as information second, text image third, emotional effect fourth, insight and creativity fifth, expectation for basic learning in story design. After seeing this effect, a non-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on 30 student participants to prove it reversely and the result sheet is attached. At first, it was focussed only on implementing creativity as a poetic image visualization activity which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many things that could be learned on its own. After sensing changes in students during class, the study began to focus on the 'effects', and the effects were summarized, and also achieved a future research orient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tegrate 'poetry', a field of humanities, and 'design' and experimented with 'poetic image visualization activities', and as a result, it was expected to play a role as basic learning of 'creativity' revel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However, I confess that I agonized over whether to look at the trees or the forest before the study began. Seeing trees is to divide and split up the ‘poetry’, ‘image’, and visualization professionally to find and present prior researches. The next study will be to fill up the stump of columns with the study of looking at 'trees', and the first thing is to try to collect and analyze the visualizations of poetry by types. One of the reasons to see the ‘forest’ in this study is the lack of exper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3 Ⅱ. 시(詩)와 수평적 사고 5 A. 수평적 사고의 이해 5 1. 직관의 이해 13 2. 영감의 이해 21 3. 통찰력의 이해 22 B. 시(詩)와 수평적 사고 26 1. 시와 수평적 사고 30 2. 패턴의 재구성- 대안의 생성, 가정의 검토 34 3. 판단의 연기, 의미의 확장 36 C. 시인의 통찰 41 Ⅲ.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45 A. 시의 감상 45 B.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52 C.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로부터의 발상 59 D. 창의 디자인을 만나다 62 1. 르네 마그리트(Ren Magritte), 통찰력을 주제로 한 선행학습 64 2. [시(詩)의 시각화] 이론 수업 강의지침 및 프리젠테이션 66 3. 시와의 만남 72 E. 사례별 스케치 74 Ⅳ. 시와 상상놀이 85 A. 정철훈 '비를 맞으며' 86 B. 김소월 '진달래 꽃' 92 C. 진은영 '영화처럼' 96 D. 문정희 '늙은 꽃' 101 E. 이린아 '돌의 문서' 105 F. 트렌드 키워드의 시각화 111 Ⅴ.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의 5가지 효과 121 A. 정보로서의 언어 124 1. 언어 정보의 학습 및 그룹화 124 2. 감성언어의 이해 125 3. 정보 디자인 실습 129 B. 텍스트 이미지 134 C. 정서적 효과 138 D. 창의적 발상 142 E. 스토리 디자인 기초 학습 145 1. 스토리 디자인 145 2. 시와 서사의 관계 162 Ⅵ. 결론 164 참고문헌 167 부록1. 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 활동 사례 1 171 부록2. 시적 이미지 형상화 활동에 대한 설문 177 ABSTRACT 1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082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시적(詩的) 이미지 형상화를 통한 창의 발상 및 효과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Creative Ideas through Poetic Image Visualization-
dc.format.pagex, 18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