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표피 및 신체 담론에 의거한 현대 패션의 확장 현상

Title
표피 및 신체 담론에 의거한 현대 패션의 확장 현상
Other Titles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Fashion Based on the Discourse of Skin and Body
Authors
이재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현대사회는 디지털 기술에 기반을 둔 매체의 발전으로 인간의 지각과 인식방식을 변화시켰고 새로운 언어와 상상력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현대 예술 및 디자인 전반에서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매체 간의 융·복합 현상에 따른 기존 형식의 해체 등 다원화된 시각에 의한 탈경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21세기 변화와 성장의 시기에서 기존에 형성된 이론적 논의와 담론은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되며 기존의 이론들로는 설명이나 규정이 불가능한 양상으로 변모되어가고 있다. 특히, 인간 지각 경험의 한계는 현대에 들어서 끊임없이 재평가되고 확장되기 때문에 현실과 가상공간 속에서 인간 신체는 패션뿐만 아니라 예술과 건축 그리고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고 융합하는 문화 코드의 중심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변화의 양상과 다양한 표현방법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의 새로운 현상들을 뒷받침해줄 변화된 시각을 표피론과 신체론의 근현대적 담론에서 그 주요 개념을 탐색하고 표피와 신체에 연계된 현대 예술과 디자인 전반의 가치 변화 사례를 조사하여 오늘날 현대 패션에서 인식되는 신체의 달라진 위상과 신체 공간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표피와의 상관관계에서 나타나는 현대 패션의 확장 현상을 분석하여 현대 패션 디자인의 흐름을 재인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룰 내용은 현대 사회의 키워드인 표피와 신체의 확장이 현대 패션의 확장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논의이다. 이러한 연구대상의 논의에 있어 분석의 틀을 표피론과 신체론의 근현대 담론에서 제공받았다. 표피에 관련한 담론은 근대와 현대의 대표적 건축 이론가인 고트프리드 젬퍼와 콜린 로우, 현대 미디어 이론가인 빌렘 플루서 등으로부터 변화된 인식의 틀을 제공받았으며, 신체에 관련한 담론은 현대 철학자 모리스 메를로-퐁티와 질 들뢰즈, 현대 사회학자 마샬 맥루한으로부터 가져왔다. 이러한 담론은 현대 예술 및 디자인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설명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패션의 확장적 변화의 근거로 사용되었다. 이 중 특히 메를로-퐁티가 펼친 신체론은 지각의 주체를 이성에서 신체로 가져옴으로써 개인의 신체 감각과 지각 위주의 경험에 근거한 사고로의 전환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표피론과 신체론의 이론적 고찰 및 사례 분석 후에 패션에 나타난 표피와 신체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역사적으로 각 시대별 대표 현상들을 짚어보며 표피와 신체에 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하였고 표피와 신체 간의 상관관계 및 시대에 근거한 표피 우위와 신체 우위의 특징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격적으로 현대 패션의 확장 현상에 대한 실증적 규명을 위한 사례 수집과 연구대상의 선정은 신체를 새롭게 인식하고 새로운 미디어로서 활용하여 작품을 전개하는 산업계 및 학계의 디자이너를 선별하여 그들의 지난 30년간의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디자이너 선별과 사례 선정 과정은 국내 디자이너 및 패션 전공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전문가 10인과 면담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전문가 그룹의 선정으로 신체와 표피에 대한 철학을 가지고 신체와 패션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고자 시도하는 디자이너 및 브랜드의 작품 사례들을 추출하였고, 이후 표피와 신체의 근현대 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룬 표피론과 신체론의 고찰 이후 현대 미술과 디자인의 표피 및 신체 관련의 확장 사례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피에 나타나는 표상, 이미지는 기존에 형성되었던 관념적인 상징이나 의미의 연결이 사라지게 되면서, 의미와 깊이가 배제된 피상적인 이미지로서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표피에서는 시각 중심의 지각방식이 촉각 중심의 지각방식으로 변화되면서 촉각의 재인식에 의한 촉각 경험의 확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현대 디지털 기술과 상상력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기술적 이미지들로 인해 가상과 실재의 구분이 힘든 비물질적이고 탈물질적인 이미지들이 표피를 장식하게 됨으로써 감각이 확장된 표피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우리의 몸은 주체로서 외부세계에 참여하고 열린 매체적 존재성을 가지고 있다. 신체의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세계를 지각하고 반복된 경험의 과정을 겪으면서 신체 경험의 재구성은 신체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섯째, 몸과 결합한 도구는 감각의 상호작용에 의해 몸틀이 형성되고 이로써 도구와 일체화되며 내재화된 매개물은 감각기관과 신체로 확장된다. 여섯째, 신체기관은 더 이상 고정적이거나 확정적이지 않으며 유동적이고 변용되는 존재이다. 신체는 불확실성을 지닌 존재로서 기존의 신체에 대한 관념이 해체되고 분열되어 이질적인 것들에 의해 혼합되고 다시 재조합되면서 확장된다. 현대 패션의 확장의 유형을 신체-표피-환경의 관계 속에서 신체 주도, 표피 주도, 환경 주도로 분류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 주도적 확장은 신체를 중심으로 신체가 변화를 주도하는 확장 현상을 의미하며 신체의 물리적 공간 부여, 신체의 감각 및 감정 변화, 몸의 매체성에 의한 신체간의 상호매체화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피 주도적 확장 유형은 표피를 중심으로 표피가 변화를 주도하는 확장이며 열린 경계의 표피, 잠재성의 표피, 촉감각의 극대화 등으로 세부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환경 주도적 확장은 환경을 중심으로 환경이 변화를 주도하는 확장 현상을 의미하며, 환경 지각의 확대, 환경에 의한 조작, 가상환경의 결합 등의 유형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피와 신체의 근현대 담론을 토대로 현대 패션의 확장의 의미를 고찰한 결과, 현대 패션에서 확장은 매체적, 인터페이스적, 탈경계적 존재로서 의미를 가지며 변화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첫째, 현대 패션은 신체의 경험을 생성하고 신체의 공간을 확장시키며, 능동적 소통을 하는 매체적 존재로 거듭남을 의미한다. 둘째, 현대 패션은 신체와 환경, 실재와 가상, 가시와 비가시를 연결하고 접속해주는 인터페이스적 존재로서 역할과 의미를 가진다. 셋째, 현대 패션은 탈신체화 경향을 보이며, 또 한편으로는 신체와 패션의 일체화 경향과 위계가 해체되는 탈경계적 존재로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부각되고 있는 신체 확장에 대한 담론을 패션분야에 적용해보고, 확장된 신체론의 관점에서 패션디자인의 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의도로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표피와 신체에 대한 학자들의 깊이 있는 논의를 기반으로 현대 패션의 확장을 바라보는 연구 작업은 패션디자인 분야의 연구범위를 확대시키고 전문성의 깊이를 더해 패션디자인 연구의 활성화 및 질적 제고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도로서 본 연구는 학계 뿐 아니라 현재 활동 중인 산업계 브랜드를 중심으로 사례를 다룸으로써 산업 분야와 연계성을 가지고 패션의 현재를 논의함으로써 국내 패션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분석된 사례 연구 결과들이 섬유패션 제품을 개발하는 디자이너와 패션 관련 전공자들에게 표피와 신체에 기반한 이론 연구의 토대로서 활용되거나 작품디자인의 영감으로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Modern society has changed the way humans perceive and recognize thing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which enables the sharing of new languages and imaginations. In the realm of modern art and design, the phenomenon of "de-bordering" is emerging from a diversified perspective, including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dismantling of the existing forms based on the convergence and fusion of media. In addition, theoretical discussions and discourses formed during this period of change and growth in the 21st century, are now being reinterpreted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transformed into aspects that cannot be explained or regulated through existing theories. In particular, the human body in both real and virtual spaces is becoming a center of cultural codes that combine and fuse not only with fashion, but also with art, architecture, and digital technology since the limits of human perception and experience are constantly being re-evaluated and extended in modern times. This study started with an interest in the aspects of such changes and various expressions in contemporary fash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1) explore the main concepts in the contemporary discourse of skin theory and body theory from a changed perspective to support this new phenomena in modern society, 2) investigate changes in the values of modern art and design with respect to our skin and body, and 3) re-recognize the flow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y analyzing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fashion that is emerging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d status of the body in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skin surrounding the body space.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expansion of "skin" and "body," which have become buzzwords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lens of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fashion." The framework of analysis for our discussion of these research subjects was provided in the contemporary discourse of skin theory and body theory. The discourse of skin was based on the works of Gottfried Semper and Colin Lowe, representative architect theorist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world. In addition, a framework of changed perception was provided by Vilem Flusser, a modern media theorist. The discourse of the body, on the other hand, was based on the modern philosophers Maurice Merleau-Ponty and Gilles Deleuze, as well as the modern sociologist Marshall McLuhan. These discourses enabled in-depth explanations of the various phenomena appearing in the fields of contemporary art and design, and were ultimately used as the basis for the expansionary change in fashion. Among these theories,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transition to thinking based on personal physical sensations and perception-oriented experiences by expanding the concept of perception from reason to the body.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kin and body appearing in the fashion industry were examined after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analyses of skin theory and body theory. The representative phenomena of each era were compared and examined to confirm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kin and body, their interrelationship, and the superiority they gained over time. Cases were collected and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or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s from the industry and academia who recognized the body anew and used it as a new media tool to develop their works were selected. In addition, their works in the last 30 years were considered for our research. The selection of designers and cases was made after interviewing ten experts who were domestic designers and graduates in the field of fashion. A list of examples of works by designers (or brands) was obtained. These designers had attempted to re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fashion with their philosophy of body and skin. Thereafter, types and meanings were deriv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contemporary discourse of skin and body. The conclusions arrived at from the analysis of skin and body in the realms of modern art and design are as follows: First, the symbols and images appearing on skin have secured their originality as superficial images lacking meaning and depth, due to the disappearance of existing ideological symbol or meanings. Second, the tactile experience is being recognized anew and being expanded with the change in the emphasis from a visual perception to a tactile perception of the skin. Third, the skin is being increasingly decorated with highly sensory non-material and dematerialized images, which are difficult to differentiate as virtual or real due to modern digital technology, and technical images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imagination. Fourth,the body has increasingly been gaining an open media presence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outside world as a subject. The expansion of the body is a result of the reconstruction of bodily experiences as it perceives the world through concrete bodily experiences, and such perception of experiences recur repeatedly. Fifth, the combination of the body and a "medium" forms a bodily frame due to the interaction with the senses and becomes unitized; as a result of this, the internalized medium expands into the body and sensory organs. Sixth, body organs are no longer fixed or definitive, but are fluid and transformable. The body is a space with uncertainty, in which the existing idea of the body is dismantled and split into disparate things; as a result of this, the body expands by mixing and recombining with these things. The conclusions obtained by classifying the types of contemporary fashion expansion into "body-driven," "skin-driven," and "environment-driven" in the "body-skin-environment relationship," as well as the ca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body-driven" expansion refers to an expansion in which the body drives the changes centered on the body, and manifests itself as a physical space of the body, the sensory and emotional changes of the body, "mutual mediatization" as a result of the body being a medium, etc. Second, the "skin-driven" expansion refers to an expansion in which the skin drives the changes centered on the skin. The sub-types of the "skin-driven" expansion include open boundary skin, potential skin, the maximization of the tactile sensation. Third, the "environment-driven" expansion refers to an expansion in which the environment drives the changes centered on the environment. The types of "environment-driven" expansion include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perceptions, manipulation by the environment, and combinations of virtual environments. Finally, our examination of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fashion based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discourse of skin and body found that the expansion in contemporary fashion has meaning as a medium, interface, and "de-bordered being," and is constantly changing. First, contemporary fashion means creating physical experiences, expanding the space of the body, and being reborn as a medium that actively communicates. Second, contemporary fashion plays the role of an "interface being" that accesses and connects the body and environment, the real and virtual world, and the visible and invisible. Third, contemporary fashion shows a tendency to "disembody," while also having significance as a "de-bordered being" in which the tendency for "unitization" and the hierarchy of body and fashion are dismantled. This study is meaningful primarily because it applied the discourse of expansion of the body to fashion. The discourse of expansion of the body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in modern society. It is also meaningful because it attempted to expand the scope of fashion design based on the expanded body theory. Research by scholars on skin and body for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fashion can widen the existing scope of research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add depth of expertise,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and qualitative enhancement of fashion design research. With this int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by dealing with cases that focus not only on academia but also on industry brands; it also discussed the current status of the fashion industry with links to the industrial sector.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that were analyzed on a theoretical basis may be used by designers and fashion designing majors to developing textile design and fashion products, as a basis for theoretical research on skin and body, as well as basic material that may become an inspiration for work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