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2 Download: 0

사진매체를 활용한 시간성 표현 연구

Title
사진매체를 활용한 시간성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Time Through Photographic Media: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on Objective, Subjective Time and Duration(la durée), Now(jetztzeit) Time
Authors
방지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사진기술이 등장한 이후로 많은 예술가들은 사진을 활용한 사실적이고 과학적인 이미지를 접하면서 사진매체의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시대상을 반영하는 새로운 작품양식을 실험하고 꾸준히 발전시켜 왔다. 미래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와 같은 예술양식은 사진매체의 도구적, 재료적 특성을 통해 시간의 모습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연출할 수 있었다. 한편, 시대와 문명의 발달에 따라 발전한 시계장치는 시간을 체계적이며 정량화된 개념으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과학과 철학은 시간에 대한 개념을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 이를 기반으로 본 논문은 시간의식의 유형을 객관적 시간, 주관적 시간, 지속으로서의 시간, 지금으로서의 시간으로 크게 구분하여 뉴턴, 아인슈타인, 베르그송, 아리스토텔레스, 발터 벤야민의 시간개념을 대입시켜 분석하고, 다시 각각의 시간을 세분화하여 시간성을 정의한다. 오늘날 모든 카메라 장치의 모델이 되는 카메라 옵스큐라의 기본 원리에 더해 렌즈, 셔터장치, 감광장치 등의 기술적인 진보는 육안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속도와 운동을 사진으로 기록할 수 있게 하였고 사람들에게 시간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사진의 기술을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념적이고 표현적인 방법을 다각도로 활용하면서 현대사진작가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을 통해 시간성을 표현해오고 있다. 카메라의 셔터를 활용한 빠른 셔터 노출 또는 긴 셔터 노출은 어떠한 시간의 모습을 표현하는지, 프레임을 병치하거나 중첩하는 식의 구성 방법에 따라 어떠한 시간의 표현이 가능한지, 그리고 선택한 사물에서 어떠한 시간의 의미를 끌어낼 수 있는지를 통해 시간을 설명하고 해석한다. 또한 사진에 드로잉 기법, 몽타주 기법, 그라타주 기법과 같은 회화적인 기법을 접목시켜 어떻게 시간성을 표현할 수 있는지 작품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시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사진매체를 활용한 시간 표현의 작품사례들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시간성 표현에 대한 작품을 연구,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작품 연구를 위해 크게 세 가지 측면을 조사, 분석하고 분류해 보았는데, 사진기술의 발달과 예술사적 전개에 있어서 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시간성의 표현, 시간의식의 발달과 시간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 및 정의, 그리고 사진에서의 회화적 기법의 적용과 그에 따른 시간성 표현이다. 본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 작품으로 시간을 개념적이고 내용적인 측면에서 다룬 <덧없음의 알레고리(Allegory of Vanity)> 작업과, 형식적이고 기법적인 측면에서 다룬 <시간의 몽타주(Time Montage)> 작업이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시간에 대한 표현 방법은, 소재의 선택, 촬영 방법, 그리고 촬영 후 이미지 프레임의 배치와 같은 조건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작품에서는 시간성을 표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회화적 기법의 하나인 드로잉 기법을 사진매체와 접목시켜 디지털 작업 과정과 결과이미지에서 만들어지는 시간의 모습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작품의 제목인 <시간의 드로잉(Time Drawing)>은 그러한 의미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작품의 표현적 특징은 형식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의 특징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형식적 측면으로는, 이미지 위에 레이어를 얹어 곡선의 끝없는 반복과 중첩을 남기는데, 선을 사용하여 드로잉을 하는 과정은 레이어를 긁어 지워내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과거의 이미지를 드러내는 과정이며, 선이 남기는 흔적이 선명하고 많아질수록 바탕에 놓인 이미지가 더 잘 드러나게 된다. 둘째, 의미적 측면으로는, 긴 시간동안 축적하는 드로잉은 망각의 레이어를 걷어내고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선 요소의 축적이 많아질수록 지나간 시간은 “이미지-기억”1(김병선, 2018, p.70 재인용)의 형태로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과거 이미지의 시간과 현재 이미지의 시간은 드로잉이라는 중간 매개작용에 의해 뒤섞이고 시간의 균열을 일으켜 예측 불가능하고 우연적인 혼합의 ‘지금시간’을 만든다. 본 연구 작품 <시간의 드로잉>은 사진매체에 회화적 기법을 응용하여 시간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촬영부터 프린트로 완성되는 단계까지 아날로그와 디지털 간의 재료 선택과 사용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자유롭게 넘나들며 시간성 표현을 위한 시각화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작업 방식으로 표현의 영역과 기술을 확장시킴으로써 시간의 개념이 어떻게 표현되고 그 의의와 의미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번 연구를 기점으로 사진예술 및 미디어아트 분야에서 보다 다양한 시간성의 표현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er’s own work on the visualization of time based on an analysis of related works that define the concept of time and express time through photographic media. The work was largely assessed from three perspectives: the expression of temporality achievable by photographs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ic media and the progress of art history, the development of the consciousness of time and several types of time concepts, and the application of painting techniques to photographs and the resulting expression of temporality. Following the emergence of photographic technology, many artists were exposed to realistic, scientific images obtained with photographic tools, and experimented with new approaches to develop works reflecting the trends of the times through photographic media. Under art movements such as futurism, Dadaism, and surrealism, various aspects of time were expressed and presented using the features unique to tools and materials of photographic media. With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s, devices used to measure time provided a systematic, quantifiable concept of time, while modern science and philosophy laid the foundation for freer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time. Today, the implementation of advanced technology to the basic principle of camera obscura has produced cameras with outstanding lenses, shutters, and photosensors. People have access to entirely new experiences of time thanks to cameras that are capable of capturing speed and motion at rates indiscernible by the human eye. Modern photographers have expressed temporality not only by utilizing such photographic techniques, but also by employing a variety of conceptual, expressive means. Some methods are short-exposure using a fast shutter speed, slow-shutter photography, the juxtaposition or overlaying of frames, and the intentional inclusion of an object representing time. Others have also attempted to express temporality by integrating painting techniques such as drawing techniques, montage, and grattage. Past works leading to the current study include “The Allegory of Vanity,” which examined time in terms of concept and content, and “Time Montage,” which focused on form and technique. The primary conclusion derived from past research was that the expression of time can vary with the choice of material, method of photography, and placement of image frames after shooting. This work adopted a new approach to the expression of time by integrating drawing, a type of painting technique, and photographic media, and recorded time as conceived in the working process and final images.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work was titled “Time Draw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form and meaning. First, in terms of form, layers are placed on top of images to achieve endlessly repeating, overlapping curves. Here, the process of drawing with lines involves scratching away layers while retrieving images at the same time, and the underlying images reveal themselves better when the traces left by the lines are clearer and greater in number. Second, in terms of meaning, the accumulation of drawings over a long period is the process of stripping away layers of oblivion and finding one’s way back to lost time. The greater the accumulation of lines, time that has passed becomes clearly revealed in the form of “memory-image”. This work combined photographic media and painting techniques to visually express the abstract concept of time. The key focus of the work was the visual expression of temporality, without imposing restrictions on analog vs. digital and the choice and of materials throughout all stages from photographing to prin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lies in expanding the realm of photographic expression. It is hoped that this work will stimulate more research on the visual expression of time in the fields of photographic arts and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