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1 Download: 0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 경험

Title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 경험
Other Titles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among newly graduated nurses
Authors
박영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현장에서 신규간호사가 경험한 직장 내 폭력을 기술하여, 향후 직장 내 폭력 대책 마련을 위한 인식의 제고와 실효성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편의 표집과 눈덩이 굴리기 방법을 이용하여 2018년 11월 28일부터 2019년 10월 30일까지 대상자를 모집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직장 내 폭력을 경험한 신규간호사 11명으로 반 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평균 75분 동안 면대면 심층 면담을 하였다. 면담은 1회∼2회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 경험은 4개의 주제와 13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모두에게 을인 입장에서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됨’, ‘폭력은 견디어야 하는 일상으로 자리 잡음’, ‘몸과 마음이 병들어 간호가 필요함’, ‘개인의 노력으로는 벗어나기 힘듦’ 이었다. 2.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 경험을 종합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은 병원에서 의료인의 위계질서에 가장 아래에 위치하였으며, 구조적인 권력 관계로 인하여 발생 되는 폭력으로부터 피할 곳이 없었다. 미숙한 업무 능력으로 비인격적인 평가와 지속적인 폭력을 당하며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불합리한 간섭과 비난을 감내하고 사생활까지 거론 당하는 현실에 회의를 느끼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대상자들로부터의 폭력을 당하면 적극적인 대응을 하는 것을 어려워하여 의미를 두지 않거나 무시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장 내에서 못 미더운 사람으로 취급받으며 불신과 무시로 더 긴장 속에 근무할 수밖에 없었고, 긴장은 실수를 유발하기도 하였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폭력을 경험하며 마음이 멍 들어가고 있었으며 같은 업무 공간에서 동료가 폭력을 경험하는 모습을 보면서 나도 언제든지 피해자가 될 수 있겠다는 두려움과 아무런 도움이 되어주지 못했다는 미안함에 가슴 아파하였다. 이렇게 일상화된 폭력 속에 연구 참여자들은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으로 고통을 받고 있었으며 폭력의 영향은 삶 전반을 피폐하게 만들었다. 시간이 흘러 본인들이 후배 신규간호사에게 똑같이 폭력을 행사하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는데 연구 참여자들은 직장 내 폭력이 만연한 환경에서 폭력을 답습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폭력의 상황을 극복해보고자 마음을 다잡고,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생각해 보거나 같은 상황이 반복되지 않도록 업무에 최선을 다하고, 때로는 힘들었던 폭력 경험을 동료에게 털어놓는 등의 노력을 하였다. 때로는 폭력 상황에 맞서 대응해 보지만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결국, 연구 참여자들은 신규간호사라는 이유로 모두에게 을인 입장에서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된 현실을 경험하였고 간호사로서의 일을 지속하는 것에 대해서 불행함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마음속에 담아두고 감정을 표출하기보다는 아무렇지 않은 척 근무하는 때도 있지만, 결국 반복되는 폭력의 두려움을 견디지 못하고 더 이상의 피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 간호직을 떠나기로 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직장 내 폭력을 경험한 신규간호사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직장 내 폭력 경험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사 집단의 위계적 문화, 의료기관의 권위적 분위기, 환자의 간호직에 대한 이해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신규간호사들이 전문직으로 자긍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도록 개인과 조직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향후 피해자의 익명이 보장되는 신문고 보고시스템 도입과 신규간호사의 실무 적응을 위한 교육 기간및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직장 내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investigate the violence that newly graduated nurses experience at the workplace in the field of nursing. It strives to raise awareness on workplace violence in order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and serve as primary data when preparing effective institutional strategi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were employed when recruiting research subjects, who attended in-depth face-to-face interviews. The participants were 11 newly graduated nurses who experienced workplace viol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pproximately 75-minute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and open-ended questions between November 28, 2018 and October 30, 2019.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 total of four topics and 13 categories were derived on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d by newly graduated nurses. The four topics are “defenselessly exposed to violence while being in an inferior position to all others,” “violence is a routine occurrence that must be endured when working,” “in need of care as the body and the mind are unwell,” and “difficult to escape such situations through individual efforts.” 2.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t the lowest rank of order in the hierarchy of medical personnel at their hospitals, and were unable to avoid violence stemming from the structural power dynamics. They were feeling skeptical about the reality where they were inhumanely evaluated and under constant violence for inexperienced work performance, having to endure unreasonable meddling and criticisms, which even included gossip about their private lives. The participants tried not to give much thought and attempted to ignore the violence inflicted on them by patients they were to provide care for as it was difficult to actively respond against them. The participants were treated as unreliable people in the workplace, and were forced to work in a tense environment due to others’ distrust and disdain, which at times led to them making mistake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were in fear when having witnessed colleagues become subject to violence as they could be in similar positions one day, and were remorseful that they could not be of help.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pain due to the institutionalized violence, where its impact infiltrated into their general lives. In addition, with time, some participants also used violence on newly graduated nurses. Having become inflictors from subjects of violence, these nurses we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conflicts and illnesses of the mind as they had diverged from the work ethics they once envisioned for themselves. The participants made the effort to pull themselves together to overcome violent situations, put themselves in the other people’s shoes, try their best to avoid making the same mistakes while working, and confide in colleagues about their harsh experience with violence. At times, they tried to fight against the violent situations, but it was difficult to overcome them. Ultimately, as newly graduated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defenselessly exposed to violence as they were in an inferior position, and were feeling unhappy about continuing work as nurses. While some continued to work as if they were unaffected and carried on without expressing their feelings, others left their nursing job because they could no longer bear with the reoccurring fear from violence and refused to continue to be victim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recognized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d among newly graduated nurses. This study aims to change social perceptions related to the hierarchical culture among nurses, the authoritative atmosphere at medical institutions, and a lack of understanding from patients regarding the nursing profession. Moreover, it strives to highlight the need for activ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orts so that newly graduated nurses can work with pride as professiona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when developing effective arbitra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the nursing environment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