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8 Download: 0

부인과 복강경 수술 환자의 불편감, 불확실성 및 퇴원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Title
부인과 복강경 수술 환자의 불편감, 불확실성 및 퇴원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iscomfort, Uncertainty, and Discharge Nursing Needs of Patients After Gynecological Laparoscopic Surgery
Authors
김근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본 연구는 부인과 복강경 수술환자의 불편감, 불확실성 및 퇴원교육요구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소재 A 대학병원 부인 종양 센터를 통해 복강경 수술을 받고 퇴원 예정인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2일부터 2017년 3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도구 중 불편감 측정 도구는 송규남이 개발하고 김은영, 최의순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선행연구와 전문가의 조언을 토대로 수술 후 통증과 체온변화에 따른 불편감을 반영하여 전문가 5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은 10문항을 사용하였다. 불확실성 측정 도구는 Michel이 개발한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MUIS)을 정재원, 이미현, 도혜경이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퇴원교육요구 측정 도구는 이종경, 이미순이 개발하고 김효진, 김동희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선행연구와 전문가의 조언을 토대로 부인과 환자의 수술 후 성생활 적응 영역을 추가하여 전문가 5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은 24문항을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편감, 불확실성, 퇴원교육요구 대상자의 불편감의 경우 심호흡이나 기침에 따른 불편감이 3.11±1.1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울렁거림 점수가 1.83±1.0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불확실성은 불예측성 점수가 2.85±.60점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복잡성 점수가 2.34±.6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퇴원교육요구는 식이관리 분야가 4.11±.91점으로 가장 높았고 성지식과 수술 후 성생활 적응에 관한 교육 분야가 3.61±1.2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불편감, 불확실성, 퇴원교육요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불편감은 연령이 낮을수록 불편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3.536, p=.009), 과거 질병력이 있는 환자보다 없는 환자가 상대적으로 불편감을 더 크게(F=-2.182, p=.031) 느끼고, 과거 수술력이 있는 환자보다 없는 환자가 상대적으로 불편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F=-2.445, p=.016).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은 질병력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F=2.669, p=.008). 퇴원교육요구의 경우 세부 분야별 교육요구에서 연령에 따른 성생활 교육(F=5.189, p=.001) 및 퇴원치료 교육(F=6.195, p=.003)에 대한 요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 불편감, 불확실성, 퇴원교육요구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불편감과 퇴원교육요구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369, p<.001). 또한 불확실성과 퇴원교육요구 간에도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r=.267,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부인과 복강경 수술을 받는 환자의 불편감은 연령, 질병 및 수술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확실성은 과거질병이 있는 경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퇴원교육요구는 연령에 따라 세부적인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불편감과 불확실성을 높게 느끼는 환자일수록 퇴원 시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인과 수술을 받는 환자의 특성에 따라서 퇴원교육요구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획일화되어 있는 퇴원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환자의 연령 및 과거 질병, 수술 경험 등에 따른 퇴원교육요구를 고려한 퇴원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 부인과 복강경 수술환자에 대한 서비스 및 퇴원교육 중재 프로그램이 미흡한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환자의 특성을 프로그램에 반영함으로써 복강경 수술환자 간호에 대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hat identifies discomfort, uncertainty, and discharge nursing needs of patients who have undergone laparoscopic surgery. Data conducted from March 2, 2016 to March 1, 2017 were collected from 144 patients who were scheduled to b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undergoing laparoscopic surgery through the gynecologic cancer center of University Hospital A in Seoul. Among the research tools, the discomfort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Gyunam Kim (1994)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Eunyeong Kim and Euisoon Choi (2010) was used to reflect discomfort caused by post-operative pain and temperature changes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expert advice. Ten questions were used for the research after the approval of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by five experts. 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 developed by Michel (1981) was utilized as an uncertainty scale. The tool developed by Jonggyeong Lee and Misoon Lee (2003)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Hyojin Kim and Donghee (2011) was used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expert advice, and 24 questions that were approved by five experts on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by adding the post-operative sexual life adaptive zone of gynecologic patient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operatives using SPSS Statistics version 26.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Discomfort, uncertainty, and discharge nursing needs of the subjects Uncertainty was the highest in the unpredictability score of 2.85 ±.60 and complexity was found to be the lowest with a 2.34 ±.63 score. The discharge nursing needs was the highest in diet management with a 4.11 ±.91 score, the nursing needs field about sex knowledge and post-operative sexual life adaptation was the lowest with a 3.61 ± 1.20 score. 2. Discomfort, uncertainty, and discharge nursing need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patients’ age, the more discomfort they experienced (F=3.536, p=.009), patients without past medical history felt relatively more discomfort than those with a past medical history (F=-2.182, p=.031), and the patients without previous surgery in the past felt relatively more discomfort than the patients with previous surgery (F=-2.445, p=.016). Uncertainty due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lower for the patients with no medical history than for the patients with medical history (F=2.669, p=.008). Regarding discharge nursing needs, the demand for sexual life nursing needs by age (F=5.189, p=.001) and discharge treatment nursing needs (F=6.195, p=.003)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nursing needs by the detailed field. 3. Correlation between discomfort, uncertainty, and discharge nursing needs The discomfort and discharge nursing needs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r=369, p<.001). In addition, uncertainty and discharge nursing needs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as well (r=.267, p=.001). In conclusion,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s after undergoing laparoscopic gynecological surgery relied on factors such as age, disease and surgical experience, and the uncertainty varied depending on cases of previous disease. Discharge nursing needs varied in specific areas depending on age. Furthermore, the patients who felt more discomfort and uncertainty had a higher demand for nursing education when discharged.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nursing and nursing need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fter undergoing gynecological surgery which is why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 types of discharge nursing programs that consider age, previous disease, and surgical experience of patients. Since there is a lack of this now, we hope to apply the results of our study to contribute to patient well-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