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1 Download: 0

한국의 실내악 수용 연구

Title
한국의 실내악 수용 연구
Other Titles
The Reception of Chamber Music in Korea : Focusing on String Quartet Ensembles organized in the 1920s and 1930s
Authors
문소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하
Abstract
본고는 1920~1930년대 한국에서 조직되었던 여러 현악사중주단의 활동을 통해 한국에 실내악이 수용, 정착되는 초기 과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20~1930년대 서양음악이 본격적으로 수용되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음악가들이 등장하면서 관현악단, 실내악단 등의 연주단체 역시도 하나 둘씩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 대표적인 실내악단으로 알려진 것은 1933년의 난파 트리오이다. 바이올린 세 대라는 독특한 구성을 가진 난파 트리오는 정식 실내악단을 꾸릴 연주자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단체를 조직하여 활동하고자 하였던 당대 음악인들의 의지를 드러낸다. 그러나 1920~1930년대 한국의 음악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난파 트리오 이외에도 여러 실내악단이 조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고는 그 중에서도 현악사중주단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에서 가장 먼저 현악사중주단을 조직하였던 것은 재조(在朝) 일본인 음악가들로, 1920년대에는 경성악우회, 경성관현단, 그리고 조선호텔 실내악단과 같은 재조 일본인 음악단체 내에서 현악사중주단이 조직되었다. 이는 비록 재조 일본인에 의해 조직된 현악사중주단이었으나 이들이 라디오 방송, 음악회 등 대외적인 활동을 하였다는 점, 그리고 현악사중주단이 결성되었던 단체 내 소수의 한국인 음악가들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동시대 한국 음악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1920년대 말, 한국 최초의 현악사중주단으로 추정되는 서울 현악사중주단의 등장에서 이러한 영향을 읽어낼 수 있다. 중앙악우회 내에서 결성된 서울 현악사중주단은 편성이 불분명하기는 하나, 한국의 음악계가 재조 일본인으로 대표되는 외부적 자극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자극에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있었다는 점을 증명한다. 전문적인 음악교육을 받은 음악가가 늘어나는 1930년대에는 본격적으로 현악사중주단이 조직되기 시작하였다. 1930년대 실내악 분야에서 많은 활동을 보여준 것은 독일 유학생들이었다. 이들은 유학 시절 경험하였던 독일의 실내악 문화를 한국의 음악계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하였는데, 현악사중주단 결성은 그 중 하나였다. 1930년대 채동선(蔡東鮮, 1901~1953)과 계정식(桂貞植, 1904~1974)이 각각 조직하였던 현악사중주단은 매우 다른 활동 양상을 보여주었지만 두 단체 모두 현악사중주 레퍼토리를 소개하고, 이후 실내악 운동에 참여할 음악인들을 길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이 시기에는 국내에서 음악교육을 받은 음악가들로 구성된 현악사중주단 역시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1930년대 말, 이들이 온전한 편성으로 정식 현악사중주 레퍼토리를 연주하였다는 사실은 이 시기 한국의 음악계가 현악사중주라는 장르를 수용할 충분한 역량을 갖추었음을 보여준다. 1920~1930년대 서양음악의 수용은 개화와 식민지배 탈피라는 이중의 압력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서양음악은 단순한 ‘문화’가 아닌 ‘선진 문물’로 받아들여졌고, 이는 서양음악의 수용에 당위성을 부여하였다. 실내악의 수용의 기저에서 특정 추동(推動)을 읽을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그 추동을 ‘악단’(樂團)과 ‘순수음악’에 관한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며, 실내악 수용 과정에 외부적 자극뿐만 아니라 내부적 동력이 작용하였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기존의 ‘양악사’에서 좀처럼 다루어지지 않았던 서양음악 연주사의 일부분을 밝히고, 그 내부의 동력을 설명함으로써 한국 실내악 수용의 초기 단계를 보다 더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arly stage of the reception of chamber music in Korea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string quartet ensembles organized in Korea in the 1920s and 1930s. The representative chamber ensemble of this period is so-called Nanpa Trio, which consisted of three violins. This unusual form of trio shows the willingness of musician to organize chamber ensemble despite the lack of educated musician. A closer look reveals the fact that there were other chamber ensembles in addition to the Nanpa trio. In this thesis, the focus of the research lies on the string quartet ensembles organized in the 1920s and 1930s. In the 1920s, it was the japanese musicians resided in Korea, who were first to organize string quartet ensemble. Several string quartet ensembles were organized in japanese music societies such as Chosun Hotel Chamber Orchestra. These music societies often included korean members, therefore the string quartet ensembles, which were organized within, had certain impact on korean musicians. Seoul String Quartet, the first korean string quartet ensemble organized in the late 1920s, proves that the impact was tangible. In the 1930s, the musicians who were educated in Germany played major roll in the reception of chamber music. Dongsun Chae, and Jungsik Keh, both studied in Germany, organized string quartet ensembles right after they came back to Korea. They introduced the string quartet repertoire and brought up musicians for chamber ensembles. On the other hand the string quartet ensembles, which consisted of musicians who were educated only in Korea, also started to appear. Their activities verify that the reception of string quartet genre was advanced in this period. It is possible to find certain impetus behind this process of the reception of chamber music. This is related to the situation that western music in Korea was accepted as a means of westernization. This thesis attempts to define this impetus in relation to the issues in the 1920s and 1930s and finally to understand the reception of chamber music in broader sen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