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전통음악 제작을 위한 국악 가상악기 발전 방향 연구

Title
전통음악 제작을 위한 국악 가상악기 발전 방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dvanced Direc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Virtual Instruments for Producing its Music: Focused on Haegeum Sanjo and Praat
Authors
차경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음원시장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어쿠스틱 악기들은 가상악기로 만들어지거나 DAW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샘플로 만들어지고 있다. 컴퓨터 음악은 편집의 간편함, 예산 절감, 수준 높은 퀄리티의 가상악기 개발로 사용자가 증가했으며, 그 음악을 소비하는 대중도 증가했다. 이제는 교육, 치료,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가상악기와 샘플들이 사용되며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악기의 사용성과 활용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현존하는 가상악기의 장점과 한계점을 파악하고 앞으로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제Ⅱ장에서는 현존하는 가상악기의 종류 및 특성을 파악해 음역대가 넓고 가상악기 주법의 수가 많은 국악(Gugak)을 선정한 후, 프로그램을 통해 pitch(음고)와 음길이를 측정했다. pitch는 Ab2부터 E5까지 모든 음정의 평주법과 굵은 요성 주법의 주파수를 추출했다. cent단위로 변환한 결과 평주법보다 굵은 농음 주법에서 음고가 불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평주법에서는 A#2와 B2가 평균율대비 25cent이상 플랫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길이는 주법별로 최대 음 지속시간을 측정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평주법은 3.5초, 가는 요성1·2주법은 4초 굵은 요성 주법은 2초로 다양한 음악을 제작하는데 무리가 있는 음길이로 측정되었다. 제 Ⅲ장에서는 Praat를 이용해 해금 산조를 측정하고 국악(Gugak)을 통해 해금 산조를 제작했다. 해금 산조는 pitch와 intensity(강도)를 분석했고, 분석 범위는 진양 제 1·5·9·15장단과 자진모리 제 1-4장단이다. 가상악기로 연주한 해금 산조 음원은 (1) 대상 장단의 악보를 보고 키보드로 midi note를 입력, (2) 김영재 연주 지영희류 해금 산조와 동일한 템포로 조정, (3) 조절한 midi note를 오디오 파일로 추출, (4) 추출한 오디오 파일에 melodyne을 사용해 cent값 조절, (5) 데이터 값에 따라 automation volume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만들었다. 해금 산조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 값은 (4),(5)단계에서 국악(Gugak)에 적용했다. 제 Ⅳ장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청취조사를 시행했다. 전문가는 전문 연주 단체에서 최소 5년 이상 근무했거나 석사학위 이상 소유자로 구성했다. 조사는 1차 설문, 2차 심층 인터뷰로 총 두 번의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수집했다. 1차 설문에는 청취를 위한 동영상을 삽입했고, 아날로그 음원과 가상악기로 제작한 음원의 유사성을 전혀 같지 않음 1점부터 매우 같음 10점까지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실시했다. 2차 심층 인터뷰는 가상악기 음원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한 후 질문의 범위를 좁혀나가는 반구조화(semi-structured)된 인터뷰를 실시했다. 1차 설문 결과 청취조사 결과 느린 장단인 진양에서 아날로그 음원과 활 속도 변화 주법이 6.7점으로 가장 유사하고 3.67점으로 짧은 음의 연결이 가장 어색하다고 느꼈고, 빠른 장단인 자진모리에서 아날로그 음원과 꺾는 음이 5.8점으로 가장 유사하고 3.55점으로 짧은 음의 연결이 가장 어색하다고 느꼈다. 2차 심층 인터뷰 결과 가락의 붙임새가 아쉽고 농현이 일관된 점, 한 장단 내에서 악기의 음색이 달라지고 활의 연결 부분이 어색한 것, sfz의 어택을 살리지 못하는 것, 농현의 마무리 후 음 연결하는 부분이 어색한 점, 전통 악기의 민족적인 음색을 살리지 못하는 점을 한계로 지적했다. 데시벨 조절을 통해 활의 속도 변화를 어느 정도 재현할 수 있는 것, 꺾는 음의 내장 사운드가 훌륭한 것, pitch 조절을 통해 경기제의 느낌이 살아난 것을 좋았던 점으로 이야기 했다. 또, 국악기 가상악기의 필요성에 동의하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전통음악 사운드를 재현하는 가상악기가 발전되었으면 좋겠다고 첨언했다. 이상과 같이 현존하는 국악기 가상악기를 분석하고, 가상악기를 통해 재현한 해금 산조음원의 청취조사를 실시해 객관적 수치를 도출했다. 이 연구를 통해 국악기 가상악기가 발전하는데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국악기의 음색을 디지털화 하는 방안이나, 국악기의 주법에 따른 음색 변화에 대한 연구 등 국악기를 컴퓨터 음악에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더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As the music market has become digitalized, acoustic instruments are made into virtual instruments or samples that are ease of use in DAW. These changes made easy access to high-quality virtual musical instruments. Lower cost, diverse source and quality of music lured mass users into this market. Usage and range of virtual instruments are expanding rapidly on various areas such as education, medication and game industries. In this study, as the usability and utilization range of virtual musical instruments have increased, people try to grasp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s and discuss on the its potentials and suggest directions. Chapter II discusses existing virtual instruments, especially Gugak, which has the most diverse characteristics with a wide range and a large number of virtual musical instruments. Gugak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pitch and length of note. In terms of pitch, the author extracted the frequencies of all major notes including thick vibration and plain melody line which musical range is from Ab2 to E5. As a result of converting pitch to the cent, the pitch was unstable in the thick-tone note rather than the plain-tone note. The plain-tone note was discovered that A#2 and B2 were lower than 25 cent in comparison to the average rate. The length of notes was measured in each technique to sustain the maximum notes. The most used plain-tone typically lasts 3.5 seconds, thin vibration lasts 4 seconds, and the super thick vibration lasts 2 seconds. These characteristics proved that such length of note is unable to produce different genre of music. In Chapter Ⅲ, the melody of Haegeum Sanjo was analyzed by employing Praat and the virtual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 Gugak, played the Sanjo. The pitch and decibel was the main element to explore Haegeum Sanjo and the range of the song is 1·5·9·15 jangdan of Jinyang and 1-4 jangdan of Jajinmori., which have variety of ornamentation. The sound material of Haegeum Sanjo played in a virtual instrument, (1) used the score of haegeum sanjo to insert it in the program (2) was adjusted to the same tempo as Youngjae Kim Haegeum Sanjo (3) used adjusted midi note into the audio file, (4) is adjusted to cent by using melodyne, (5) modified automation volume according to data. The data obtained by analyzing the sanjo was applied to the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Gugak in stages (4), (5). In Chapter IV, a survey on listening and evaluating this music was conducted by a professional group. The professional group is comprised of the member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al orchestra more than five years or earned at least master’s degree on haegeum performan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 and personal interview. In the primary questionnaire, videos for listening were inserted and produced with analog sound sources and virtual instruments. The participants were inquired the similarity of the scores between actual instruments and virtual instruments and were required to mark the degree of similarity of two from 1 to 10. Additionally, the personal interviews with ten experts were progressed in a form of conversation with author individually about the virtual instrument sound source and the content of the topic on conversation had been narrowed such as a Semi-structured interview. Regarding the first query, Jinyang (lit. a long and slow tempo), the analog sound source and a changeable speed of using a bow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similar with a score of 6.7. The connection of the short note to the point was considered very awkward with a score of 3.67. Jajinmori (lit. fast tempo), analog sound source and the broken sound went to the point in 5.8, and 3.55 with short note connection. As a result of the personal interviews, the tone of the rhythm was unsatisfactory, and Nonghyeon was consistent. After the completion of Nonghyeon,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the part that connects the sound is awkward. Sforzando attack was difficult to pinpoint, and there is a limitation to make use of the ethnicity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In contradictory, positive comments also appeared. The fact that the speed of the bow could be adjusted through decibel adjustmen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reproducing some extent, sound of breaking was excellent, and the Gyeonggi style was noticeable through the pitch section. With the necessity of virtual musical instruments, they had hoped that further development of virtual musical instruments could be made to reproduce the sound of traditional music through further research. A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re analyz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virtual musical instruments. The objective value was derived by listening to the survey of the Haegeum Sanjo Sound Source. We hope that the virtual musical instrument will be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virtual musical instrument. It is predictable that more active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how to us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in computer music, such as a study on how to discuss about or change the tone according to the main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