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5 Download: 0

일베 남성성의 관계적 구성과 재생산

Title
일베 남성성의 관계적 구성과 재생산
Other Titles
Relative Construction and Reproduction of the Ilbe Masculinity : Focusing on the Discourse of the Ilgan Best Jeojangso
Authors
송민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허라금
Abstract
본 연구는 일간베스트저장소(이하 일베) 사용자들이 필요에 따라 적절한 남성성을 변주하고 재구성하였으며 남성연대 유지에 공모하는 방식으로 수행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일베를 단일한 정체성을 가진 집단으로 상정하거나 일베 남성성을 특수하게 규정하지 않고, 일베의 여성혐오가 곧 좌절하고 실패한 남성성의 결과물이라고 보는 관점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일베 문화가 사회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베에서 강화된 여성혐오가 확산된 것은 일베가 다양한 사회적 조건을 가진 사용자들이 유동적으로 드나들며 담론을 형성하는 열린 공간이었기 때문이라는 관점에서 일베 남성이 형성되고 재구성되며 수행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푸코의 담론 개념을 중심으로 한 담론 분석을 채택하였고 일베의 남성성 수행 관련 게시물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일베 사용자들은 사회적으로 흔히 온라인상에 모여 폭력성을 분출하는 사회적인 루저로 인식되곤 했으나, 이는 일베 문화의 근간에 있는 루저 문화에만 집중함으로써 빠지게 되는 함정이다. 일베 사용자들은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반감을 기반으로 모여드는 불특정 다수로서 ‘모든 사용자는 같은 루저’라는 전제에 암묵적으로 동의하는 것뿐이다. 일베 사용자들은 사용자들 간의 평등과 극단적인 재미를 추구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처한 현실이 다름에도 같은 루저라는 전제에서 혐오 발화에 임한다. 또한 여성혐오를 함에 있어서도 한국의 젊은 남성들이 ‘절대적인 약자’로서 루저가 될 수밖에 없다는 상황 인식을 전제로 공유한다. 그러나 일베 사용자들이 처한 현실의 다양성이 드러날 때 ‘항의하는 남성성’으로서 정당화되던 루저 남성성은 균열이 일어난다. ‘루저가 아닌’ 사용자들이 등장하며 사용자들 간의 차이가 가시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베 사용자들은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메우기 위해 경제력과 여성에 대한 통제력을 담지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함께 추구한다. 일베 사용자들은 성적 물화된 여성을 일종의 자원으로서 나누며 친밀감을 형성하고, 이때 폭력적으로 발화하는 여성혐오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에게 ‘남성’으로서 인정받는다. 이로써 일베 사용자들은 다시 연결되며 일베에서 표방되던 루저 남성성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좇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남성성 가운데 하나가 된다. 일베 사용자들은 외부 집단들과 갈등을 겪을 때마다 단발적으로 집단화되는데, 특히 남성집단들과 부딪칠 때 해당 집단들의 성격에 따라 다른 남성성들이 배태된다. 일베 사용자들이 대립하는 외부 남성집단은 크게 정치적인 성향과 세대에 따라 나뉜다. 먼저, 일베 사용자들이 정치적으로 반대 지점에 있다고 여기는 좌파 남성의 경우, 일베 사용자들은 이들이 ‘도덕적인 남성성’을 추구한다고 여긴다. 일베 사용자들의 관점에서 이는 감정적인 ‘선동’만 이끌어낼 뿐, ‘합리성’과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일베의 ‘이성적인 남성성’에 비해 열등하다. 일베에서 586세대 남성은 좌파의 원형으로 통한다. 일베 사용자들은 586세대 남성이 고도성장기의 경제적 혜택과 가부장제의 수혜를 아무런 대가 없이 누리고도 다음 세대의 남성들을 핍박하며 문화적으로 미개하다고 여긴다. 이들의 ‘야만적인 남성성’은 일베 사용자들의 격렬한 비난의 대상이 된다. 이때 중심 근거로 활용되는 것은 586세대의 ‘추악한 성 문화’다. 일베 사용자들은 ‘문명화된 남성성’을 형성함으로써 이들과 구분되고자 한다. 일베 사용자들은 이처럼 대응하는 남성집단에 따라 다른 남성성을 추구하나, 이는 남성집단 간의 위계를 다투기 위한 것일 뿐 근본적인 남성성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일베 사용자들은 대립하는 남성집단에게 젠더 관계에 관한 모든 잘못을 떠넘기며 정치적인 책임을 도외시한다. 이는 586세대 남성이야말로 ‘김치녀’와 ‘페미니스트’를 만들어내 성별 갈등을 조장한 원흉이라고 지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2015년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성폭력의 기반이 되는 남성중심적 성 문화에 대한 사회적 반성이 요구됐지만, 일베 사용자들은 기존의 성 문화를 포기할 필요성은 느끼지 못한다. 이로써 성폭력 사건에 대한 담론은 남성성 수행의 장이 된다. 일베 사용자들은 성폭력 사건들을 의도적으로 남성 중심적인 시각에서 독해함으로써 남성 우위의 젠더 관계를 고착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베 남성성은 공통적인 수행 원리를 가진다. 일베 사용자들은 자신들을 ‘남성’으로 집단화하고, 남성의 가해를 ‘능력’으로 치환하며, 정치적인 책임을 외면하는 동시에 여성의 피해를 ‘자원’으로 공유하고, 피해 여성에게 ‘반감’을 가진다. 일베 사용자들의 남성성 수행은 필연적으로 성 대결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본질주의적인 여성혐오가 소환된다. 이는 정치성향과 세대 차이를 뛰어넘는 ‘공감’을 이끌어내며 남성연대의 결속을 이루어낸다. 이처럼 남성연대 유지에 복무하는 순간 일베 사용자들이 자신들과 외부 남성집단을 구별하며 벌려내고자 했던 차이는 사라져버린다. 지금까지 일베 남성성은 루저 남성성으로 단일하게 해석되고 논의되었다. 그러나 일베가 수행하는 남성성은 단일하지 않으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추구와 함께 지속적으로 변주된다. 일베에서 생성되는 남성성들이 가지는 역동성을 포착하고 해석해야만 일베 사용자들이 젠더 관계에 대해 때때로 모순적이고 분열적인 의견을 펼치면서도 일베라는 공간에서 함께 남성 우위의 젠더 관계를 견지해나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일베의 여성혐오 또한 좌절된 루저 남성성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 아닌 일베 사용자들이 남성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쓰이는 주요한 도구라고 분석했다. 그럼으로써 일베에 대한 우리 사회의 비판이 일베에서 나타나는 여성혐오 현상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일베 사용자들이 이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이상적인 남성상까지 나아갈 것을 제안하고자 했다. 주제어: 일베, 헤게모니적 남성성, 여성혐오, 디지털 성폭력, 남성연대;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he Ilgan Best Jeojangso(hereinafter Ilbe) users have modified and reconstructed their proper masculinities depending on their needs, and peformed them with the ways for colluding to maintain men's solidarity. For this purpose, it has been necessary to avoid the idea considering that the Ilbe's misogyny as the results of frustrated and failed masculinity, without regarding the group as that with a single identity or defining the Ilbe's own masculinity in a particular way. In the sense that the social influences of the Ilbe Culture and spread-out of misogyny enhanced from the Ilbe attribute to that it has been an open space to form discourses through flexible visits by its users with various societal backgrounds, the study has traced the process of the Ilbe masculinities' formation, reconstruction, and performance. The discourse analysis focusing on its concept by Michel Foucault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the posts related to masculinities in the Ilbe were analyzed. The Ilbe users have been recognized as societal losers to express violences together in online space in the society. However, it could be a trap by concentrating on the loser culture underpinning the Ilbe Culture. The Ilbe users just agree implicitly the premise that ‘all the users are same losers’, considering themselves as unspecific people who gather based on antipathy against ‘political correctness’. It is the Ilbe users' pursuit for equality among them and their extreme fun. The Ilbe users, despite differences of their individual situations, engage the hate speech based on the premise of their identity as losers. They also share the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 that the young men's generation should become losers as the ‘absolute underprivileged’ for misogyny. However, when diversity is revealed in the situations of the Ilbe users, the loser masculinity, which has been justified as the ‘protest masculinity’, is cracked. Then, the users who are not the ‘losers’ emerge, visualiz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users. Accordingly, the Ilbe users pursue together the hegemonic masculinity to control economic power and women in order to bridge the gap among them. The Ilbe users make friendships, sharing the sexually objectified women as a kind of resources, and are recognized as the ‘men’ by other users through the misogyny with violence. So they are reconnected, and the loser masculinity shown in the Ilbe becomes one of those used in the pursuit of the hegemonic masculinity. The Ilbe users are grouping themselves in moment whenever they face conflicts with other men's groups, and these outsider groups, which they try to defy even if bending their perspectives a ‘fragmentary individual’, could be divided according to political orientations and generations. Firstly, the Ilbe users think that the lefist men, whom they regard as the politically opposite to them, pursue the ‘moral masculinity’. In the Ilbe users' perspective, it leads to emotional ‘stirring’ only and is inferior to the Ilbe's own ‘ideal masculinities’ based on the ‘reasonableness’ and ‘facts’. For them, the 586 Generation is a prototype of the lefists. The Ilbe users regard that the men who belong to the 586 generation have benefited from wealth in the era of the high economic growth and patriarchy without at no cost, and yet they persecute the men in next generation, considering them as culturally uncivilized. Their ‘brutal masculinity’ is the target of furious blame by the Ilbe users. Then, the main evidence is the ‘ugly sexual culture’ by the generation. The Ilbe users try to be distinguished with them, forming the ‘civilized masculinities’. The Ilbe users' pursuits of a variety of masculinities depending on the other corresponded men's groups is not that of essential changes, and yet, it is just for competing hierarchy among men's groups. The Ilbe users handle all the wrongs about the gender relations to their opposite men's groups and disregard their own political responsibilities. The argue that the men who belong to the 586 generation are the villains who have caused gender conflicts, making ‘kimchinyeo’ and ‘feminists.’ Since the Feminism Reboot in 2015, the social reflection on men-oriented sexual culture, the basis of sexual violence has been requested, and yet, the Ilbe users don't feel the necessity to give up the conventional sexual culture. Therefore, the discourses about sexual violences become the locus of performing masculinity. The Ilbe users read intentionally the sexual violence cases in the men-oriented perspectives and fix the gender relationship under men's superiority. The Ilbe's masculinities have the common principle of performance in spite of their variations according to the corresponded groups. The Ilbe users make the group of 'men', replace men's doing harms with ‘ability’, ignoring their political responsibilities, and share women's damages as 'resources', having ‘antipathy’ against the victims. The Ilbe users' performing masculinities leads inevitably to gender conflicts, and then, the essentialist misogyny is summoned to justify them. It makes the ties of men's solidarity, leading to ‘empathy’ beyond political orientations and generations. As participating in maintenance of men's solidarity, there are disappearing differences, which the Ilbe users have tried to distinguish themselves with the other men's groups. The discussions of the Ilbe's masculinity have been simply interpreted as the that of losers. However, the masculinities performed by the Ilbe are not simple and uniform, continue to show variations with their own pursuit of hegemonic masculinity. When capturing and interpreting the dynamics of the masculinities produced in the Ilbe, we could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Ilbe users' maintaining the gender relations with men's superiority in the space called Ilbe even though they sometimes contradictory or conflicting opinions in the gender relations.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this study analyzed the misogyny by the Ilbe is not the result of the failed loser masculinity but a main tool of their own for performing the masculinity. Therefore, the study tries to suggest that our society's critics on the Ilbe shall also reach the model of an ideal man pursued by the Ilbe users through misogyny among them. Keywords: Ilbe, Hegemonic Masculinity, Misogyny, Digital Sexual Violence, Men's Solida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