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막힘 양상과 개선 방안 연구

Title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막힘 양상과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ing International Students' Academic Writing Block: Academic Community Interaction-Based
Authors
안기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difficulty that international students face when writing academic papers. In this paper, I aim to solve the problem of academic writing block in international students as well as help these students grow as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The ultimate goal of academic writing for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not simply be to learn writing strategies or how to express knowledge of specific areas but to improve one’s ability to convey the exploration process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In an academic writing course, the majority of students experience writing block as a major obstacle. This writing block is influenced by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comprehension, interpretation of meaning, the assigned task, and the environment; all of these factors have a direct effect on the final product. Therefore, after investigating the nature of the writing block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we must prepare a systematic method to combat the factors leading to this issue.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outl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spects of writing block do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in the course of academic writing, and what factors affect this writing block? Second, how do the factors of writing block manifest in academic writing courses, and what type of assistance do students need in order to overcome this writing block? Third, what changes do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action research as they address the problem of academic writing block?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eries of processes to find answers to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stage of research involved administering a questionnaire of writing block and conducting a case study on international students; the results were collected and used to diagnos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major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suffered from academic writing block and, despite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there was not enough support from the community to do so. Second, the students identified writing block as any time that they were unable to progress in their writing due to either lack of necessary knowledge or difficulty using a second language.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comprehension, interpretation of meaning, the assigned task, and the environment, the following were shown to have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writing block: text understanding and content creation, content structure, writing anxiety and negative attitude, writing efficacy, evaluation of the task, environment in which the task is done, and lack of academic writing knowledge. However, the influence that each of these factors has on writing block is somewhat different. Fourth, each factor that contributes to writing block does not exist independently but interacts with the other factors to either strengthen or weaken the writing block. Fifth, although the support of the community is necessary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an academic writing course, the community is not established in a way that effectively provides this supp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ffective assistance measures that reflect th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Based on the diagnosis of the problem, four methods were designed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struggling with writing block. These methods include: supporting students struggling with comprehension problems, helping students control problems that occur at the emotional level, correcting repeated errors students make in regards to the kinds of expressions used in used in different writing genres, and recognizing the problems students have in academic writing as well as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bove all, meaningful interaction must occur within the community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grow academically. Accordingly, the aforementioned solutions were implemented in a writing block-mitigation program that focused on assisted community interaction rather than the teaching-learning approach. In this program, the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maintain a relationship as equals within the community. Through action research, we explored the process of reducing writing block in the participants as well as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researchers who acted as facilitators. First, the participants separated the concept of writing block and writing pause to recognize their academic writing difficulty as the writing block phenomenon.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discover the nature of the difficulties they were experiencing with academic writing, which effectively helped the participants overcome writing block. Second, the writing block-mitigation program helped cultivate students’ knowledge of different types of writing as well as the type of content generally included in each type.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their respective research articles, students gained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o create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 how to structure their writing logically, and what methods to use when writing different chapters of their research articles. Most importantly, this program made it possible to effectively address students’ individual shortcomings. Third, in the course of the writing block-mitigation program, the improvement in comprehension as well as the ability to handle evaluations led to an emotional change in the students. As a result,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ble to control their negative emotions in the process of writing research articles, which helped ease their writing block. Fourth, the academic writing block-mitigation program helped research participants grow into members of the community. Research participants cultivated their interaction skills within the community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ir research progress with the researchers, which fostered a desire to both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research as well as to complete their research articles. This study does not stop at helping international students acquire academic writing skills but at helping international students grow in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is result has been achieved through our study. Fifth, the writing block-mitigation program not only helped international students overcome writing block and achieve growth in the academic community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requirements that should be necessary for one to become a facilitator. The facilitator must have sufficient knowledge and qualifications to determine the proper scope of assistance that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within the program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overcome their personal shortcomings so that the students can solve the problems contributing to their writing block and grow as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Based on the positive changes observed in both the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 action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an academic writing block-mitigation program as well as a program to train the facilitators of this program. The academic writing block-mitigation program is a program in which international students interact one-on-one with facilitator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research article. Through this program, international students can objectively explore their own obstacles in academic writing and solve these problems in order to successfully conduct their research.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writing block-mitigation program as well as design a training program for facilitators to ensure that the program is properly implemented. The facilitators of this program must be properly trained to assist each student with their individual problem areas and to provide a sense of emotional stability so that the students can grow into community member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problem of writing block experienced by international students while writing academic pap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onsiders the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members of the discourse community who could both support the learning process as well as act as individual members within the community. In this study, the writing block-mitigation program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international students’ writing block and training students to interact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this is the first step to changing academic writing from something students want to avoid to something that they can handle. This can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growth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academic communities in the long term.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쓰기가 원만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쓰기 막힘(writing block) 현상에 접근하여, 공동체 내에서 학술적 글쓰기 막힘 문제를 해결하고 학문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에 관한 탐구이다.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 목적 글쓰기 지원 방향의 최종적인 목적은 단순히 학술적 글쓰기 전략이나 장르 지식을 전달하고 습득시키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유학생들이 학문 공동체 내에서 자신의 탐구 과정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학술적 쓰기 능력 신장에 두어야 한다.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장애가 되는 쓰기 막힘 문제는 다수의 필자에게 발생하는 매우 보편적인 현상이다. 필자의 쓰기 막힘은 인지․정의․과제․환경 등 여러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이는 쓰기 결과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유학생들의 쓰기 막힘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우선 학술적 글쓰기 막힘의 본질을 탐색한 후, 쓰기 막힘을 발생시키는 요인들을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쓰기 막힘 양상은 어떠하며 어떤 요인이 쓰기 막힘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쓰기 막힘 발생 요인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제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어떻게 발현되며 유학생들에게 어떠한 도움이 필요한가? 셋째, 실행연구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와 연구자는 학술적 글쓰기 막힘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가?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연구 수행의 첫 단계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쓰기 막힘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진단되었다. 첫째, 다수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쓰기 막힘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쓰기 막힘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공동체로부터 학술적 글쓰기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학생들은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 필요한 지식 부족과 제2 언어 사용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쓰기가 진행되지 못하는 모든 순간을 쓰기 막힘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쓰기 막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정의․과제․환경 요인의 하위 요인 중 ‘텍스트 이해 및 내용 생성, 내용 조직, 쓰기 불안 및 부정적 태도, 쓰기 효능감, 과제 평가, 과제 환경, 학술적 글쓰기 지식 부족’등으로 나타났다. 단, 각 요인들이 쓰기 막힘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소 차이를 보인다. 넷째, 쓰기 막힘을 발생시키는 각 요인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작용하여 쓰기 막힘 문제를 강화시키기도 하고 완화시키기도 한다. 다섯째, 유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공동체의 조력이 필수적이지만 현재 공동체의 조력은 효과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유학생들의 개별 차를 반영한 효과적인 조력 방안이 필요하다. 문제점 진단을 바탕으로 설계된 쓰기 막힘 해결 방안은 쓰기 막힘을 유발하는 인지적 영역에서 부족한 부분을 지원하는 방안, 유학생의 정서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 장기 기억으로 이어지는 장르 표현 관련 오류 수정 방안, 유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학술적 글쓰기 막힘 상태와 막힘이 발생하는 원인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의 4가지로 마련하였다. 본고에서는 유학생들의 학문적인 성장을 위해서 무엇보다 공동체 내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함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제시한 해결 방안은 교수-학습 차원이 아닌 조력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쓰기 막힘 완화 프로그램으로 실행되었다. 조력의 형태로 수행된 프로그램에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평등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실행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쓰기 막힘이 완화되는 과정과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한 연구자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탐색되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가 쓰기 막힘과 쓰기 멈춤의 개념을 분리시켜 인지하고 학술적 글쓰기의 어려움을 쓰기 막힘 현상으로 이해한 결과, 연구 참여자는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쓰기 어려움의 실체를 스스로 탐색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쓰기 막힘을 완화시키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둘째, 쓰기 막힘 완화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의 연구 보고서 작성 과정에서 각 장별 논문 작성 방법과 논리적인 구조, 주제에 대한 내용 생성, 오류 습득 등 장르 지식과 내용 지식의 성장을 도왔다. 무엇보다 프로그램을 통해 개별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탐색하여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셋째, 학술적 글쓰기 막힘 완화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가 체득한 인지적 영역의 성장과 평가 상황에서의 대체 능력 등은 정의적인 영역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를 통해 유학생 필자는 연구 보고서 작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쓰기 막힘을 완화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넷째, 학술적 글쓰기 막힘 완화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가 공동체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도왔다. 연구 참여자는 본인의 연구 진행 과정에 대해서 연구자와 논의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 내 상호작용 과정을 훈련할 수 있었고, 이는 본인 연구의 질적 수준을 높여 논문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는 의지로 이어졌다. 이는 유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획득에 그치지 않고 유학생의 공동체 내 성장을 목표로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쓰기 막힘 완화 프로그램은 유학생의 쓰기 막힘 문제 해결과 학문 공동체에서의 성장을 도왔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조력자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에 대해서 반성적으로 탐색할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조력자는 유학생들이 학술적 글쓰기 막힘 문제를 해결하여 공동체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에서 조력의 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도움이 필요한 유학생 개인의 부족한 영역을 채워줄 수 있도록 충분한 지식과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행연구를 통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반으로 학술적 글쓰기 막힘 완화 프로그램과 학술적 글쓰기 막힘 조력자 양성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학술적 글쓰기 막힘 완화 프로그램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 편의 연구 보고서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조력자와 1:1로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유학생들은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자신의 쓰기 막힘을 객관적으로 탐색하고 쓰기 막힘 문제를 해결하여 성공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쓰기 막힘 완화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목적에 합당하게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 조력자의 필요성에 따라 학술적 글쓰기 막힘 조력자 양성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쓰기 막힘 조력자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각 유학생들에게 인지적으로 부족한 영역을 지원하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부여하여 유학생들을 공동체 구성원으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조력자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충분히 훈련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적 글쓰기 활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해 쓰기의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 상황을 실제 유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막힘 현상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의 전 과정에서 유학생의 지위를, 학습 과정을 지원해야 할 대상인 동시에 담화 공동체에서 성장해야 할 구성원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유학생들의 쓰기 막힘 완화와 공동체 내 상호작용 훈련을 목적으로 설계된 쓰기 막힘 완화 프로그램은 공동체 논의의 장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학술적 글쓰기의 수식어를 ‘피하고 싶은’에서 ‘해결 가능한’으로 바꾸어 주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유학생과 학문 공동체가 질적으로 성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