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Benjamin Britten의 Cabaret Songs에 대한 연구

Title
Benjamin Britten의 Cabaret Songs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abaret Songs’ by Benjamin Britten
Authors
홍안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원
Abstract
본 논문은 벤자민 브리튼(Benjamin Britten, 1913-1976)의 Cabaret Songs(카바레 노래들)를 분석하여 카바레 음악이 브리튼의 음악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Cabaret Songs는 오든의 시에 벤자민 브리튼이 음 악을 붙인 네 개의 곡으로, 소프라노 헤들리 앤더슨(Hedli Anderson, 1907-1990) 에 의해 불려진 후, 1980년에 출판되었다. 먼저 곡의 제목인 카바레 음악에 대한 이해를 위해 카바레 문화가 생성된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상황을 파악하고 카바레 문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카바레는 19세기 말, 프랑스의 예술가들이 카페나 술집에서 즐기던 작은 공연 문화를 말한 다. 순수 예술에 풍자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지배 계층에 대한 불만을 풍자하고 사회적 이슈를 고발하였고 이로써 그들은 삶의 애환을 웃음으로 승화했다. 즉흥적인 공연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친숙한 선율이나 예로부터 내려온 춤곡의 형태, 노동요나 종교 음악에서 비롯된 음악적 요소들이 자주 등장하고, 반복되었다. 카바레는 시대를 거쳐 각 나라의 다양한 공연예술과 결합되어 또다른 장르를 탄생시키는 실험적인 연결고리가 되기도 했다. 카바레 음악은 순수예술과 대중성이 결합된 특징을 보인다. 대부분의 카바레 음악은 선율선이 단순하여 대중에게 접근성이 높고, 리듬패턴이나 후렴구가 반복적 이다. 화성은 후기 낭만주의 음악의 색채를 띄는데, 불협화음과 7화음, 9화음의 잦은 사용과 반음계적 이동은 조성을 흐리는 20세기 음악으로 향하는 양상을 보인다. 작곡가 벤자민 브리튼이 오든의 시에 카바레 음악을 접목한 양상에서도 카바레 음악의 대표적인 특징들이 담겨있다. 블루스(Blues), 스윙(Swing)과 같은 춤곡의 리듬, 칼립소(Calypso)와 같은 라틴 음악계 리듬을 반주패턴으로 사용하였다. 선 율의 움직임은 상당히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후렴구가 자주 등장한다. 조성이 없는 부분이나 반음계적인 전조는 20세기 음악을 따르고 있다. 말하는 듯한 창법으로 오페라를 연상시키거나 호루라기를 부는 등의 다양한 변화를 통해 대중의 흥미를 충분히 유발한다. 더불어 Cabaret Songs에 나타난 브리튼만의 작곡기법과 20세기 음악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브리튼은 시의 분위기에 따라 반주형과 조성, 템포에 변화를 주는 통절형식을 자주 사용했고, 시의 단어나 풍경을 묘사하기 위하여 음향적으로도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조성음악을 벗어나는 20세기 작곡가들의 특징을 보 인다. 각 곡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통해 브리튼의 Cabaret Songs가 가지는 전체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있고 연주자로서 곡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This paper analyzes specifically how Britten's Cabaret Songs(1913-1976) embody the cabaret music. Cabaret Songs consists of four songs by Benjamin Britten on Auden's poems. The songs were sung by soprano singer Hedley Anderson (Hedli Anderson, 1907-1990) and published in 1980. First, to understand the title of the song, cabaret music, my research identifies the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situation in which cabaret culture was created,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cabaret culture. Cabaret refers to the small performing culture that French artists enjoyed in cafes and bar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y satirized the society, manifesting the discontent with the ruling class and parodied social issues and sublimated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into laughter. Since it was mostly improvised performances, musical elements from familiar melodies or forms of dance songs from ancient times or from labor songs or religious music frequently are employed. Cabaret has been combined with various performing arts from various countries over time, becoming an experimental link that creates a new genre. Cabaret music features the combination of pure and popular arts. Most cabaret music contains a simple melody accessible to the public, along with the repetitive rhythmic pattern and chorus. Chord has the color of late Romantic music, and the frequent use of dissonant, seventh chord, ninth chord and chromatic harmonic progressions imply the trend of the 20th-century music that obscures tonality. Benjamin Britten integrated Auden's poetry and cabaret music such as blues, swing, and Latin rhythms. They were utilized in the piano accompaniment patterns. The Calypso melody contour is quite simple and repetitive and the chorus frequently reappears. The atonal passages and chromatic modulations display the modern sonority. Various vocal techniques such as making vocalists sing as if they were speaking, or blowing whistles make the audience get deeply involved and feel excited about the songs. There’s the link between Britten's own composing technique and 20th century music uncovered Cabaret Songs. Britten often used a common form and then transforming the accompaniment, structure and tempo, in order to reflect the mood of the poem. Various techniques were also used acoustically to describe the words and atmosphere of the poem. The in depth analysis of each song provides a fresh insight into Britten's Cabaret Songs and gives a guideline for performance and comprehension of this song cyc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