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8 Download: 0

국어의 ‘-적(的)’ 파생어 연구

Title
국어의 ‘-적(的)’ 파생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in Korea
Authors
장지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본고는 국어의 ‘-적(的)’ 파생어와 관련해서 문제로 거론되는 ‘범위와 유형’, ‘형성’, ‘품사’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접미사 ‘-적(的)’은 현대 국어에서 생산성이 높다고 언급되어 온 것으로 현대 국어에서 사용되는 ‘-적(的)’ 파생어에는 사전에 등재된 실제어뿐 아니라 임시어로서의 ‘-적(的)’ 파생어들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는 임시어로 존재하는 ‘-적(的)’ 파생어를 논의 대상에 포함시켜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 분류를 통해 분석한 내부 구조를 기반으로 ‘-적(的)’ 파생어의 형성과 품사를 논의하였다. 1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목적을 확인하고 ‘-적(的)’ 파생어에 대한 기존 연구를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범위와 유형’, ‘형성’, ‘품사’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기존 연구들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논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본고의 연구 대상이 되는 ‘-적(的)’ 파생어를 밝히고 논의의 구성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적(的)’ 파생어의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한 ‘-적(的)’ 파생어를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적(的)’ 파생어의 범위는 본격적인 ‘-적(的)’ 파생어의 분석에 들어가기 전 논의 대상의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임시어로서 존재하는 ‘-적(的)’ 파생어와 접두 파생이 관여하는 ‘-적(的)’ 파생어를 논의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 측면의 임시어 개념을 사용하여 특정 화자가 형성한 단어로 사회적 공인을 거치지 않은 등재어 전 단계의 단어들을 임시어라 보고 임시어로서 존재하는 ‘-적(的)’ 파생어를 논의 대상에 포함시켰다. 접두 파생이 관여한 ‘-적(的)’ 파생어의 경우, 접두사를 제외한 ‘X적’은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만 ‘-적(的)’을 제외한 접두사가 결합한 어근이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단어는 논의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적(的)’ 파생어의 범위 설정 후, 어근의 어종과 어근과 ‘-적(的)’ 파생어의 의미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였다. ‘-적(的)’ 파생어의 어근의 어종에 따른 유형은 한자어, 외래어, 고유어, 혼종어로 분류되고 어근과 ‘-적(的)’ 파생어의 의미에 따른 유형은 어근과 ‘-적(的)’ 파생어의 의미가 일치하는 유형, 어근보다 ‘-적(的)’ 파생어의 의미가 더 많은 유형, 어근의 의미가 ‘-적(的)’ 파생어의 의미보다 더 많은 유형, 어근과 ‘-적(的)’ 파생어의 의미의 수는 일치하지만 서로 대당되지 않는 유형, 어근과 ‘-적(的)’ 파 생어의 의미를 비교할 수 없는 유형으로 분류된다. ‘-적(的)’ 파생어의 유형 분류를 통해 분석한 ‘-적(的)’ 파생어의 내부 구조는 ‘-적(的)’ 파생어의 형성을 유추적 형성으로 논의하는 기반이 된다. 3장에서는 ‘-적(的)’ 파생어의 형성 과정을 유추로 설명할 수 있음을 밝히고 형성과 관련된 현상으로 저지현상을 논의하였다. 유추적 형성의 ‘-적(的)’ 파생어들은 개별 단어에 기반한 유추적 형성과 유추의 틀에 기반한 유추적 형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개별 단어에 기반한 유추적 형성에서는 구조적 유사성과 의미적 유사성, 형식적 유사성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유추적 형성의 ‘-적(的)’ 파생어와 오직 구조적 유사성에 기초한 ‘-적(的)’ 파생어를 제시하였다. 저지현상에서는 임시어를 포함한 ‘-적(的)’ 파생어와 형용사 파생 접미사 ‘-롭-’, ‘-스럽-’, ‘-하-’에 의한 파생어들이 어근을 공유하는 경우들을 제시해 이들 사이에 저지가 나타나지 않음을 밝히고 그 이유로 어휘부의 잉여성과 언중들의 표현 욕구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적(的)’ 파생어의 품사와 관련해 문제가 되는 관형사, 부사에 대해 기존 연구들의 입장을 정리하고 품사 분류 기준에 기반해 ‘-적(的)’ 파생어를 관형사와 부사로 처리하는 것에 대한 본고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 감탄사로 사용되는 ‘-적(的)’ 파생어에 주목해 감탄사도 ‘-적(的)’ 파생어의 품사의 하나로 인정할 수 있는 지 논의하였다. ‘-적(的)’ 파생어의 품사를 설정한 후, 둘 이상의 품사를 가지는 ‘-적 (的)’ 파생어를 품사 통용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적(的)’ 파생어가 가지는 품사 통용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udy the formation and part of speech of the derivative of ‘-jeok’ in Korean. The suffix ‘-jeok’ has been mentioned as highly productive in Korean, the derivative of ‘-jeok’ used in modern Korean exist not only the actual words listed in the dictionary, but also the derivative of ‘-jeok’ as nonce words. So, this paper classifies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as nonce words and discusses the formation and part of speech based on the internal structure analyzed through classification. Chapter 1 identifi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divid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into three parts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Range and Type’, ‘Formation’, ‘Part of speech’ and establishes the direction of discussion of this study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It also identifies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that is subject to the study and suggests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the discussion. Chapter 2 sets the range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and classifies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The range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is the process of setting the range before full-scale analysis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and discusses whether it is possible to include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that exist as nonce words and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involving prefix derivation. The study considers nonce word to be words of all levels of registered words that have not received social recognition as words formed by certain speakers, and includes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that exists as nonce words in this study. In the case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involving prefix derivation, words that ‘X-jeok’ is listed in dictionary but is not listed root that contain prefixes except ‘-jeok’ in dictionary are excluded from discussion. After setting the range,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ord type of root and the meaning relationship between root and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The types of word types of root are classified as Chinese, Loanword, Native word, Hybrid word. And the types of the meaning between root and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are classified as types in which the meaning of the root matches the meaning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types in which the meaning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is more than that of the root, types in which the meaning of the root is more than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types in which the meanings of the root and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are not matched, and types in which the meaning between the root and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cannot be identifi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ypes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is analyzed, which is based on the discussion of formation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as analogical formations. Chapter 3 reveals that the formation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can be explained in analogy and discusses the blocking associated with formation.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of analogical formation are divided into analogical formation based on individual words and analogical schema. The analogical formation based on individual words presents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of analogical formation with a combination of structural and semantic similarities and formal similarities and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based solely on structual similarities. Blocking presents cases in which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including nonce words and adjectives derived suffixes ‘-rob-(-롭-)’ ‘-sirapt-(-스럽-)’, ‘-ha-(-하-)’ share the root, indicating that there is no blocking between them and for this reason, redundancy of the lexicon and the desire of the words to express themselves are suggested. Chapter 4 summariz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djectives and adverbs that are controversial in relation to the part of speech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and also discusses whether interjection can be recognized as one of the part of speech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noting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used as an interjection. After setting up the part of speech,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which has more than one part of speech, was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multifunctionality and suggests the type of multifunctionality of the derivative words of ‘-jeok’ in Korean.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study and suggests the remaining iss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