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태국어 전치사의 형태통사론적 대조 연구

Title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태국어 전치사의 형태통사론적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Thai preposition
Authors
DENSAKULCHAI, NACHANUCH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태국어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요소 즉, 부사격 조사와 전치사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통하여 형태론적과 통사론적으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한국어 부사격 조사가 태국어 전치사에 비해서 어떤 특징이 있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I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논의의 대상 및 구성을 소개하고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태국어 전치사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II장에서는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태국어 전치사의 개념을 각각 제시하고, 몇 가지의 기준을 설정하여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다루는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태국어 전치사의 체계를 제시하고 그들을 연구 대상으로 다루게 되는 이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III장에서는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태국어 전치사의 형태론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별도의 품사 설정 문제에 대해 깊게 논의하며 언어 유형론적 차이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의미 기능을 비교하여 한국어 부사격 조사가 태국어 전치사와의 차이를 형태론적 특징에 따라 밝혔다. IV장에서는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태국어 전치사의 통사론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태국어 전치사가 문장에서 핵어 명사와 서술어와의 결합제약에 대하여 기술하고 결합을 통해 만들어진 부사어의 문장 안에서 위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부사격 조사가 태국어 전치사와 대조되는 통사론적 특징을 밝혔다. V장에서는 본고에서 살펴본 바들을 정리하고 결론을 내렸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한·태 대조 연구에서 연구할 가치가 있는 점들도 언급하였다. 핵심어: 부사격 조사, 전치사, 한국어, 태국어,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 기능;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lements of Korean and Thai language that have the same grammatical function, which is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Thai preposition. This study has defin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Thai preposition, by reviewing the morphology and syntax of it. Chapter I introduces the study’s purpose, range, and methods. It also points out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describes the prior studies of both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Thai preposition Chapter II expounds the concept of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Thai preposition and on this basis presenting specific objects of the study according to a few set standards. Chapter III reviews the morphology of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Thai preposition. It first thoroughly reviews the word class of two languages related to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Thai preposition, in order to define the difference of linguistic typology. Then it reviews the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Thai preposition, in order to define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by comparing it with Thai preposition. Chapter IV reviews the syntax of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Thai preposition. It reviews the combinational restriction of between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Thai preposition, and a head noun and predicate. It also reviews sentence structures of the adverb which made by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and prepositional phrase. Lastly, It defines the syntactic features of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by comparing it with Thai preposition. Finally, in Chapter V, conclusive summarize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represented aiming to show the limits of this study, as well as presents the thesis that is valuable to be discussed in follow-up studies of contrastive studies between Korean and Thai. Key words: adverbial case marker, preposition, Korean, Thai, morphological feature, syntactic features, semantic func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