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이효석 소설의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

Title
이효석 소설의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xuality in Lee Hyo-Suk's Novels
Authors
전청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Lee Hyo-seok’s novels from a sexuality approach interwoven with politics and cultures, instead of an esthetic and non-political eroticism. The sexuality approach of this study refers to historical and unstable constitutes, not biological and intrinsic human nature. Through such sexual motives represented in his novels, Lee Hyo-seok manifested his sexual awareness into novels by expanding political thoughts that are intersected with subjects, others, esthetics and hybridity. Therefore, a sexual awareness represented in his works have multi-layered and hybrid aspects in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contexts. This paper explains the sexuality aspects that can shed light on many different relationships of authority including colonialism, Europeanism, gender, and subjects. The following three sub-sections specifically explain this topic. In the first section titled ‘Reorganization of Family Romance and Subversive Sexuality,’ I explain the family romance motive represented in Lee Hyo-seok’s novel in a view that incestuous crave that stem from an orphan’s unconscious. This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edipus organization that cent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mother and children. This motive presents a schism-analysis that is not transferred to an Oedipus’ structure, which shows a micro-political, revolutionary politics that cracks the imperialist structure. In addition, I explained that how Lee’s works have reorganized the traditional family romance motive that focused on colonization of female, maternity, and a sister-complex, which depicted a woman subject that counters men. Importantly, Lee drew independent images of women in his works, which pushes a traditional modernistic Korean literature forward that depicted a family romance in a typical way. In the third section titled ‘rifts of homo-society and ecstatic sexuality,’ I explain how Lee Hyo-seok’s works that highlighted masculinity-related discourses have been challenged by complicated and contradictory discourses. In Lee’s novels, homosexual love was depicted in a sense that has masculinity intertwined with gender authority, rather than naturalistic sexuality. Hence, Lee’s novel represents a masculine bond that homoeroticism is removed. This implies a rift within the masculinity, which is in line with a homo-society. In addition, masculinity in a homo-society sets up authority through dictating others, and women subjects in Lee’s novels supports this argument by detaching and objecting themselves. Perceiving themselves as a ghost, women subjects in his novels tend to disturb the gender-authority hierarchy. They follow the men-centric viewpoint while representing themselves as unstable ones. This approach ultimately confuses an authoritative homogeneity. Masculinity in Lee Hyo-seok’s works exists on such a feeble basis, which is achieved by relying on others’ acknowledgement. In the fourth section titled ‘sexual objectified implosion and subversive sexuality,’ I further explain how subversive sexual motives represented in Lee Hyo-seok’s novels imply political attributions. Male figures in Lee’s works present imperialistic masculinity that objectifies feminine via a voyeuristic viewpoint. However, such views imply motives that raise shamefulness, which confirms a rif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mperialism-nation-men’ that objectifies ‘colony-people-women.’ Also, novels of Lee Hyo-seok reveal a truth behind of men that sticks to a symbolic authority and partial objects through femme fatales. These women imply a rift and a void of symbolism through feminine jouissance. In all, Lee Hyo-seok’s works have political and historical implications, beyond naturalism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opics including colonialism- imperialism, subjects-objects, and gender-sexual love, and self-consciousness are prevalent in his works. Lee implies his political orientations through the lens of his works. Therefore, this study can help people reconsider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Lee’s works, which separated a socialist orientation from a modernistic orientation. In the end, I hope re-structuring political consciousness and content in his work that have been criticized as imperialism and fascism.;본 연구의 목적은 이효석 소설의 성적 모티프를 단순히 심미주의적이고 탈정치적인 에로티시즘이 아닌 정치적이고 문화적인 구조가 교차하는 섹슈얼리티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때의 섹슈얼리티는 생물학적이고 본질적인 본성이 아닌 역사적이고 불안정한 구성물을 지칭한다. 이효석은 소설 속의 성적 모티프를 통해 정치적으로 탈색된 자연적 원시성을 지향한 것이 아니라, 주체와 타자, 미학, 혼종성이 교차하는 정치적 사유를 확장시켜 그의 성의식을 소설의 모티프로 발현한 것이다. 따라서 이효석의 문학작품 속 성의식은 정치적이고 역사적인 맥락 안에서 다층적이고 혼종적인 양상을 띠고 있으며, 사회주의적 동반자 문학과 모더니즘적 문학으로 양분화된 그의 문학적 갈등과 진폭을 아우르는 경향을 가진다. 식민주의, 구라파주의, 젠더, 주체 등의 여러 권력 관계를 조명해볼 수 있는 풍부한 연구 주제인 섹슈얼리티의 양상을 본고에서는 세 장으로 나누어 설명해보았다. Ⅱ장의‘가족로망스의 재편과 전복적 섹슈얼리티’에서는 이효석의 소설 속 가족로망스의 모티프가 아버지와 어머니, 아이를 중심으로 하는 오이디푸스적 구조가 아닌, 식민지적 고아의 무의식을 통해 비오이디푸스적 근친상간의 욕망을 가지는 전복적 섹슈얼리티의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때의 근친상간의 모티프는 정신분석학적 오이디푸스의 구조로 환원되지 않는 분열분석적 성격을 띠며,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적 담론을 균열시키는 미시적이고 혁명적인 정치성으로 드러난다. 또한 모성에 대한 은유와 누이 콤플렉스를 통해 여성 인물을 남성 주체의 대타항으로 그려내었던 한국 근대문학 속 가족로망스의 전형성에서 벗어나, 인륜적 자매애를 사회적 보편성으로 확장시키는 주체적인 여성상을 그려내며 여성 식민지적인 가족로망스를 재편하는 의의를 지닌다. Ⅲ장의 ‘남성동성사회의 균열과 탈아적 섹슈얼리티’에서는 이효석의 소설 속에서 남성성이 재구성되고 도전받는 양상을 설명하였다. 보편적이고 지배적이라고 생각해왔던 남성성 또한 복합적이고 상호모순적인 담론으로 구성된 불안정한 결과물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효석의 소설 속에서 동성애의 모티프는 자연적이고 순수한 성이 아닌 남성동성사회의 젠더 권력과 교차하는 다층적인 양상을 가짐으로써 유동하는 남성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담론의 무대로 그려진다. 따라서 이효석의 소설 속 동성애는 호모에로티시즘이 제거된 이상적인 남성 간의 우애를 뜻하는 남성결사적 동성애의 면모를 보이고, 남성동성사회 욕망과 맥을 함께하며 균열된 남성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남성동성사회 욕망 안에서 남성성은 일련의 타자들에 대한 지배를 통해 권위를 정립하는데, 이효석의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은 이러한 타자화와 객체화의 시선에 대항하여 유령의 모습으로 자신을 현시한다. 스스로를 여성 유령의 모습으로 가시화하는 여성 인물들은 남성중심주의적 시선에 응하면서도 이를 불완전한 상태로 재현하며 젠더 권력의 위계를 교란시키는 역할을 드러낸다. 단일한 타자가 아닌 혼종화된 유령적 주체들을 통해 권위적인 동일성의 담론에 균열을 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효석의 소설 속 남성성은 자기정립적인 지배적 권력이 아닌 타인의 인정에 의존해서만 존재할 수 있는 탈아(脫我)적인 담론의 구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Ⅳ장의 ‘물화된 성애의 내파와 전위적 섹슈얼리티’에서는 이효석의 소설에 나타난 전위적인 성적 모티프들의 모습이 물화된 성애를 내파하는 정치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효석의 소설 속 남성 인물들은 관음증적인 시선을 통해 제국주의적 남성성과 여성을 물화시키고 대상화하는 욕망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관음증적인 시선에는 이러한 환상을 해체시키고 수치심을 불러일으키는 모티프가 함께 존재하며, 이를 통해 ‘식민지-국민-여성’을 대상화하는 ‘제국-국가-남성’의 시선이 성찰의 의식을 가지고 균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효석의 소설 속 여성의 신체를 물화하는 남성주의적 시선을 농락하는 팜므파탈의 여성 인물들은 상징계의 권력과 부분대상에 집착하는 남성적 주체의 실체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여성 인물들은 여성적 주이상스라는 실재의 행위를 통해 상징계의 균열과 공백을 시사하는 정치성을 가진다. 이처럼 이효석의 소설 속 섹슈얼리티의 양상을 살펴보면, 그의 작품에 나타난 성적 모티프들이 단순한 자연주의나 미의식에만 치중되어있지 않고 오히려 정치적이고 역사적인 맥락과 함께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식민주의와 제국주의, 주체와 타자, 젠더와 성애와 같은 주제들과 이에 대한 명백한 자의식이 그의 작품 내에 산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작가 스스로가 지닌 정치적 지향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를 통해 이효석의 문학작품을 바라볼 경우, 동반자 문학이 보여주는 사회주의적 지향과 그 이후의 모더니즘적인 지향을 단절적인 것으로 바라보았던 기존의 독해를 재고해볼 수 있으며, 파시즘 혹은 제국주의적 보편주의로 비판받았던 정치적 의식의 전략과 내용 또한 재구축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