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허용업 <취타>·<길군악>의 해금가락 연구

Title
허용업 <취타>·<길군악>의 해금가락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aegeum Melodies of Chwita and Gilgunak Played by Heo Yong-eop : Compared with National Gugak Center and Kim Yeong-jae Melodies
Authors
정영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취타>와 <길군악>은 모두 행악에 속하며 현재 궁중음악· 민속음악·무속음악의 세 갈래에서 공통적으로 연주된다. 그리고 이들은 전승 공간과 전승자에 따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전해진다. 본 논문은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15호 구리 갈매동 도당굿 예능 보유자이며 중요무형문화재 제104호 서울 새남굿 보존회 기능자인 허용업이 연주하는 <취타>· <길군악>의 해금가락 및 연주법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허용업의 <취타>·<길군악>을 중심으로 국립국악원과 김영재의 <취타>·<길군악>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장단 및 출현음, 선율, 연주법’의 항목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취타>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허용업 취타>는 4박의 허튼타령 장단으로 연주된다. 반면 국악원·김영재 <취타>는 12박의 취타 장단이 사용되어 단위 장단의 길이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허용업 취타>의 출현음은 ‘㑣, 㑲, 黃, 太, 姑, 林, 南, 潢’으로 국악원·김영재 <취타>와 동일하다. 선율분석은 <허용업 취타>를 중심으로 국악원·김영재 <취타>와 각각 비교하였고, 점 사분음표(󰁜) 네 개를 기준으로 동일선율·유사선율·상이선율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허용업 취타>와 <국악원 취타>의 63개의 선율 중 동일선율은 6.35% (4선율), 유사선율은 87.30% (55선율), 상이선율은 6.35% (4선율)로 나타났다. <허용업 취타>와 <김영재 취타>의 63개의 선율 중 동일선율은 9.52% (6선율), 유사선율은 66.67% (42선율), 상이선율은 23.81% (15선율)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허용업 취타>는 크게 국악원·김영재 <취타>와 대동소이하나, <국악원 취타>와 보다 더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연주법은 크게 운지법과 음 내림 주법 두 가지로 살펴보았다. <허용업 취타>의 운지 이동은 1지(指)를 ‘黃’에서 잡는 방법과 ‘太’에서 잡는 방법이 사용되며 <국악원 취타>와 동일하다. 반면 <김영재 취타>는 1지(指)를 ‘黃’, ‘太’,‘林’에서 잡는 세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南’은 본래 4지(指)로 연주되나 <허용업 취타>는 4지(指)가 아닌 3지(指)로도 연주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는 다르게 국악원·김영재 <취타>는 선율이 아닌 시김새로서 추성이 표현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음 내림 주법의 특징을 살펴보면 ‘太’의 1지(指) 음 내림은 세 곡에서 공통적으로 표현되지만, ‘姑’의 2지(指) 음 내림은 허용업·김영재 <취타>에만 나타난다. 둘째, <길군악>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허용업 길군악>의 장단은 8박의 길군악 장단이 사용되어, 국악원·김영재의 <길군악>과 동일하다. <허용업 길군악>의 출현음은 국악원·김영재의 공통 출현음‘㑣, 黃, 太, 姑, 林, 南, 潢’에서 ‘蕤’, ‘應’음이 추가되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선율분석은 <허용업 길군악>을 중심으로 국악원·김영재 <길군악>과 각각 비교하였고, 점 사분음표(󰁜) 두 개를 기준으로 동일선율·유사선율·상이선율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허용업 길군악>과 <국악원 길군악>의 24개의 선율 중 동일선율은 20.83%(5선율)로 나타났고, 유사선율은 41.67% (10선율), 상이선율은 37.5%(9선율)로 나타났다. <허용업 길군악>과 <김영재 길군악>의 24개의 선율 중 동일선율은 12.5%(3선율)로 나타났고, 유사선율은 41.67%(10선율), 상이선율은 45.83%(11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허용업 길군악>은 크게 국악원·김영재 <길군악>과 대동소이하나 <취타>에 비해 독창적인 선율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연주법은 크게 운지법과 음 내림 주법 두 가지로 살펴보았다. <허용업 길군악>의 운지 이동은 1지(指)를 ‘太’에서 잡는 방법이 사용되며 국악원·김영재 <길군악>과 동일하다. 또한 ‘南’은 본래 4지(指)로 연주되나 <허용업 길군악>은 4지(指)가 아닌 3지(指)로도 연주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는 다르게 국악원·김영재 <길군악>은 선율이 아닌 시김새로서 추성 또는 요성이 표현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음 내림 주법의 특징을 살펴보면 ‘太’의 1지(指) 음 내림, ‘姑’의 2지(指) 음 내림은 허용업·김영재 <길군악>에만 나타난다.;Chwita and Gilgunak belong to haengak (haengak is a gen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nsisting of military music played by wind and percussion instruments, generally performed while king's march), and they are performed in court music, folk music, and shaman music. And, these piec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paces performed and performers. This paper is a research to examine the haegeum melody and performance skills applied to play Chwita and Gilgunak by Heo Yong-eop, artistic skill holder of Guri Galmedong Dodanggu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15 of Gyeonggi province, and skill holder of Seoul Saenamgut Conservation Association,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104. To examine them, this paper used Chwita and Gilgunak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NGC) version and the Kim Yeong-jae version as comparison. Comparison of the three versions (Heo Yong-eop, National Gugak Center, Kim Yeong-jae) by dividing the songs into ‘jangdan, first sound, melody, playing technique'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analysis of Chwita is as follows. Heo Yong-eop version Chwita [Heo Chwita] is performed with heoteuntaryeong jangdan having 4 beats. In contrast, NGC version Chwita [NGC Chwita] and Kim Yeong-jae version Chwita [Kim Chwita] are played with Chwita jangdan having 12 beats. Starting sounds of Heo Chwita are ‘㑣, 㑲, 黃, 太, 姑, 林, 南, 潢’which are the same as those of NGC Chwita and Kim Chwita. Melody analysis was done centering on the melody of Heo Chwita, which was compared with those of NGC Chwita and Kim Chwita. Based on 4 point quadrant notes (󰁜), melodies were divided into the same melodies, similar melodies, and different melodies. It was found that Heo Chwita and NGC Chwita have 4 same melodies (6.35%), 55 similar melodies (87.30%), and 4 different melodies (6.35%). Heo Chwita and Kim Chwita have 6 same melodies (9.52%), 42 similar melodies (66.67%), and 15 different melodies (23.81%). In short, while Heo Chwita is similar to NGC Chwita and Kim Chwita, it is more similar to NGC Chwita. For playing techniques, this research observed two things: finger-using techniques and sound-lowering techniques. In Heo Chwita, the techniques of catching the first finger on ‘黃’ and on ‘太’ are used. The same techniques are used in NGC Chwita. In contrast, in Kim Chwita, three techniques of catching the first finger on ‘黃’ , ‘太’, and on 林’ are used. Besides, while ‘南’was originally played with the forth finger, it is played with the third finger in Heo Chwita. On the contrary, in NGC Chwita and Kim Chwita, chu sound is expressed not with melody, but with sigimsae. In sound-lowering techniques, while all the three versions of Chwita use sound-lowering techniques of ‘太’, only Heo Chwita and Kim Chwita use the techniques on ‘姑’. Second, The findings of Gilgunak are as follows. The jangdan of Heo Gilgunak is Gilgunak jangdan with 8 beats. The same is true for NGC Gilgunak and Kim Gilgunak. As the starting sounds, Heo Gilgunak adds ‘蕤’, ‘應’ sounds to what NGC Gilgunak and Kim Gilgunak commonly use: 㑣, 黃, 太, 姑, 林, 南, 潢’ Melody analysis was done centering on the melody of Heo Gilgunak, which was compared with those of NGC Gilgunak and Kim Gilgunak. Based on 4 point quadrant notes (󰁜), melodies were divided into the same melodies, similar melodies, and different melodies. Among the 24 melodies, Heo Gilgunak and NGC Gilgunak have 5 same melodies (20.83%), 10 similar melodies (41.67%), and 9 different melodies (37.5%). Heo Gilgunak and Kim Gilgunak have 3 same melodies (12.5%), 10 similar melodies (41.67), and 10+1 different melodies (45.83%). It was found that while Heo Gilgunak is similar to NGC Gilgunak and Kim Gilgunak, it has more unique melodies compared with the case of Heo Chwita, For playing techniques, this research observed two things: finger-using techniques and sound-lowering techniques. In Heo Gilgunak, the technique of catching the first finger on‘太’ is used. The same technique is used in NGC Gilgunak and Kim Gilgunak.. While ‘南’was originally played with the forth finger, it is played with the third finger in Heo Gilgunak. On the contrary, in NGC Chwita and Kim Chwita, chu or yo sound is expressed not with melody, but with sigimsae. Next, sound-lowering techniques of ‘太’and ‘姑’are discovered only in Heo Gilgunak and Kim Gilguna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