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9 Download: 0

이건용 작곡 12현 가야금 독주곡 <여름 정원에서> 분석 연구

Title
이건용 작곡 12현 가야금 독주곡 <여름 정원에서>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f
Authors
임가람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고는 이건용 작곡 12현 가야금 독주곡 <여름정원에서> 를 분석연구 한 것이다. 곡의 분석을 위하여 작곡가와의 대담을 통하여 작곡가의 음악관과 작품경향을 알아보고 작품개요를 통해 작품 해설, 악곡구조, 조현법 및 악곡에 사용된 부호를 알아보았다. <여름정원에서>는 단악장 형태의 총 208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본고는 빠르기와 박자의 변화를 기준으로 A·B·C·D 총 네 단락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선율 형식에 따라 A단락은 A형식, B단락은 B형식, C단락은 C형식과 C'형식, D단락은 CODA와 CODA‘로 구분하였다. 각 부분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단락은 제1마디~제43마디로 총 43마디이다. 16분음표가 끊임없이 움직이는 음형이 반복되고 이를 통한 상행, 하행 진행의 변화를 보이고, 음역을 확장 시키는 것과 박자를 바꾸어가며 곡이 전개된다. 일부분에서 경드름 음 진행 구조를 찾아볼 수 있으며, 반음계적 음정 진행과 불협화 음정 진행을 통해 작곡가가 의도한 건조한 여름 햇빛의 분위기를 암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B단락은 제44마디~제72마디로 총 28마디로, 이 단락은 가을빛을 표현한 부분으로 장구 연주 시 느리게 시작하여 리듬이 점진적으로 빨라져 가는 장구 다스름의 형식이 가야금으로 응용되어 나타난다. 가야금 선율은 기본 리듬에서 변화하며 일정한 패턴에서 두 마디 단위로 리듬이 계속 추가되어 발전해가는 형태로, 타악기적 음색으로 나타나며 다양한 리듬 유형이 등장한다. 셋째, C단락은 제73~제166마디까지 총 93마디이며, 2회 조율이 변화한다. 이 단락은 담양 명옥헌의 정경을 표현하였으며 이를 정두경의 시조 초장과 중장을 얹어 가야금연주자가 직접 노래한다. 󰆴단락은 크게 C와 C'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C 유형은 제73마디부터 제97마디이고 노래와 가야금이 서로 선율을 이어받거나 가야금과 노래가 unision 으로 선율이 진행된다. C'는 제98마디부터 제166마디로, 제98마디부터 제140마디까지 노래에 대한 가야금의 제 1변주 부분이다. 제141마디~제166마디는 노래에 대한 가야금의 제 2변주 부분이다. 넷째, D단락은 제167마디~제208마디로 총 41마디이며, 제167~제179마디는 느린 부분의 이완과 빠른 부분의 긴장이 서로 대비되며 선행 제시된 선율의 형태가 함축적으로 등장하는 CODA로 보고, 제180마디~제208마디를 CODA' 의 형식으로 본다. 이 단락은 작곡가의 여름 파리의 경험과 다음 해의 여름 체험인 담양 명옥헌 정경의 체험을 엮은 부분으로 A단락의 16분음표 음형과 C단락의 노래선율이 왼손주법의 음으로 나타나며, 이 두 단락에 사용되었던 선율이 축약되어 나타나며 전체 음악에 대한 종결구로 볼 수 있다. 12현 가야금 독주곡 <여름 정원에서> 는 경드름 음 진행과 다스름 형식 사용, 전성과 농현 등의 주법의 사용을 통한 전통적인 어법과 반음계 음정 진행, 노래와 가야금의 unison, 왼손주법과 트레몰로 등 현대적인 연주법을 사용한 서양음악의 어법을 혼용한 작품으로써 현 시대 창작음악의 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 현재 가야금 창작음악 중 25현 가야금 창작음악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으나 12현 전통가야금만이 가진 고유의 음색과 전통적인 주법을 사용한 창작곡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보다 많은 12현 가야금 독주곡의 체계적인 연구와 작품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추후에도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여름 정원에서>를 연주하는 가야금 연주자들에게 작품의 이해와 곡을 연주하는 데에 있어서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다. ;This manuscript is written for an analyzation of for solo 12-string gayageum composed by Lee Gunyong. Interview with the composer himself described the tendency of his work that can be seen in his Korean music works, Structure of the piece, tuning methods used in this piece. was first played on November 29th,2011 as a commissioned song for Jeong Yukyung, (KOUS) kayageum recital. This manuscript specifically analyzes the score of this music personally handed by the composer himself and describe s the melody tune of each section. These sections are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analyzation of sections. This piece is composed in 208measures as a single movement. Based on the of the tempo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 rhythm) A·B·C·D separated the analysis into four sections following the pattern of the melody tune. 󰆲Asection A type, B section B type, C section C type C' type and D section is classified as CODA and CODA’. Each section is a detailed analyzation divided into parts of sub sections. First, A section A consists measure 1 to 43. The motive of this section is a constant repetitive movement of the 16thnote and in this section,various changes of its motive appear. The tune expands the range a sit changes the rhythm at a constantpace. We can hear gyeongdeureum sounds in the parts o f the tune structure, chromatic progression and dissonant interval progression display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 trying to accentuate the Summer sunshine. Second, B section B consists measure 41 to 72 which is a total of 28 measures, this part of the section expressed the autumnal tints starting off (slow)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Janggu as it slowly paces applying the gayageum convention. The gayageum tune changes from a basic rhythm into a constant pattern, consistently adding per two measures improving the shape of the tune. This shows the tone of the percussion expressing versatile shape of rhythm. Third, C section consists measure 73to166 which is a total of 93 measures with the tune changing twice. The section expresses the politics of Damyang Myung Ok Hun had and is personally sang by the gayageum musician himself, whilst adding sijo of Jeung Du Kyungs from the first line, up until the mib line. C sec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ubsection C and C’. subsection C starts from measure 73 to 97 and the tune is passed along from a song to gayageum in the section, or it is played as a unison. C’ starts from measure 98 to 166. This section is the first variation of the gayageum starting from measure 98 up until 140. From measure 141 to 166 is the second variation of the gayageum. Fourth, D paragraph consists of measure 167 to 208 which is a total of 41 measures. From measure 167, up until 179, shows the relaxed slow pace of the music as it compares to the fast pace of tune in the section, which can be seen as CODA and bar180~208 can be seen as CODA’ form. This section explains the composer’s experience in Summer of Paris, with the mix of his special experience in Damyang myung ok hun canon visited exactly a year after Paris. 󰆴section 16th note in the tune is expressed through a sound of the left-handed technique. These two sections basically summarize the song itself as it can be seen as the final part of this piece. for solo 12-string gayageum uses gyeongdeureum and daseuleum sounds and uses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 playing techniques such as Junseong and Nonghyun. These traditional techniques, chromatic progression, unison of the song and the gayageum, and the use of the left-handed technique truly shows how well it mixed the modern playing techniques with the Korean traditional ways. The well technically mixed piece is still considered valuable in the contemporary composi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ost of the music created with the Gayageum today are music’s for 25-strings gayageum, however the 12-string gayageum itself has its own unique playing technique and sound which is still considered very valuable up until this day. In conclusion, I believ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and use of 12-string gayageum. I also hope to see it used continuously in the contemporary composi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urthermore, I wish this manuscript can help the gayageum players understand and play the ofte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