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계성원 작곡 <용두레 주제에 의한 환상곡> 분석 연구

Title
계성원 작곡 <용두레 주제에 의한 환상곡>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research, composed by Seongwon Kye
Authors
김고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논문은 강화도 지역의 토속민요인 ‘용두레질 소리’를 모티브로 계성원이 작곡한 25현 가야금 4중주곡 <용두레 주제에 의한 환상곡>을 분석한 것이다. 토속민요 ‘용두레질 소리’의 선율을 모티브로 한 <용두레 주제에 의한 환상곡>에서 나타나는 주제선율과 변주선율을 중심으로 A, B, C의 총 3단락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A단락은 총 68마디이며 도입부, Ⓐ, Ⓐ', Ⓐ’’, Ⓑ, Ⓐ’’’, Ⓑ'의 총 7개의 악구로 나누어진다. A단락의 주제선율은 도입부에서 제시되며 제1가야금이 주제선율과 이를 모티브로 하는 변주선율을 연주하는데 이 때 3박 이상 지속하는 음정을 트레몰로로 연주하여 물이 흐르는 것을 표현하였다. 제2가야금~제4가야금은 주로 반주선율의 역할로 싱커페이션과 헤미올라 리듬, 순차적 진행의 아르페지오 선율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바소 오스티나토 형식을 갖는다. 그러므로 A단락은 주제선율과 그에 상응하는 반주선율이 끈임 없이 반복되는 진행을 통해 본 곡의 주제선율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둘 째, B단락은 총 97마디이며 Ⓒ, Ⓓ, Ⓔ, Ⓔ’, Ⓔ’’, Ⓕ, Ⓕ’, Ⓒ’의 총 8개의 악구로 나누어진다. B단락에서는 A단락의 12/8박자 형태의 주제선율이 3/4, 4/4박자로 변박되며 다양한 변주형태의 주제선율로 진행한다. 반주 선율은 화음적 성격의 아르페지오로 진행한다. 또한 B단락의 시작인 Ⓒ악구와 마지막 악구인 Ⓒ’악구에서는 B단락 선율의 시작과 종지를 암시하는 연결구의 선율로 진행하며 9/8, 8/8, 10/8의 혼합박자로 이루어져있다. 연주법으로는 스타카토, 악센트, 악센트 스타카토, 글리산도, 아르페지오의 새로운 연주법이 사용되며, 동일한 음을 한 줄 아래 현을 눌러서 연주하는 전통적인 연주법도 사용된다. 셋 째, C단락은 총 74마디로 Ⓖ, Ⓗ, Ⓗ’, Ⓖ’, Ⓗ’’, Ⓗ’’’, Ⓘ, Ⓙ, Ⓙ’, Ⓙ’’의 총 10개의 악구로 나누어진다. C단락은 A단락과 다른 새로운 주제선율이 제시되는데 이는 ‘용두레질 소리’의 주제선율을 차용한 선율 진행으로 12/8박 형태의 A단락 주제선율과 다른 10/8박의 주제선율이 제시된다. 또한 주제선율의 변주선율이 총 4가지 유형으로 출현하며 이를 4파트의 가야금으로 주고받으며 연주한다. 반주선율은 바소 오스티나토 형식의 반주 선율이 두드러지게 드러나며 후반부 악구에서는 제2가야금~제4가야금의 오스티나토 형식의 선율 위에 제1가야금이 자유롭게 선율을 변형시키며 꾸밈음 성격의 연결구로 진행한다. 계성원 작곡의 <용두레 주제에 의한 환상곡>은 서도민요의 선법이 강하게 나타나는 강화도 지역 토속민요 ‘용두레질 소리’의 주제선율을 모티브로 창작된 곡이다. 본 곡은 고음부와 저음부의 8개 선율로 나뉜 총 4파트의 25현 가야금이 제시된 주제선율 및 변주선율과 싱커페이션, 헤미올라, 아르페지오의 리듬이 사용된 오스티나토 형식의 반주선율을 서로 주고받으며 연주한다. 이를 통해 ‘용두레'와 ‘물'에 관한 심상을 담아내려는 작곡가의 의도가 돋보였으며 25현 가야금의 맑은 음색이 강조되고 각 파트의 선율들이 조화를 이루어 화성적인 효과가 잘 나타나도록 표현하였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창작 국악 작품이 토속민요의 색채가 드러나는 선율을 유지하면서 현대적으로 새롭게 재해석되어 다른 새로운 작품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토속민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이를 창작 국악의 요소로 재발견하여 다양한 작품들이 활발히 작곡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is dissertation studied for 25 strings gayageum quartet which Seongwon Kye composed in the motive of ‘Yongdulejil Sori’. With the priority given to theme melody and variation melody that appears in using melody of folk song ‘Yongdulejil sori’ as motive, it was analyzed in 3 verses; A, B, C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agraph A consists of total 68 measures, and 7 passages which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 Ⓐ', Ⓐ’’, Ⓑ, Ⓐ’’’, Ⓑ'. The theme melody of A verse is proposed at the introduction, with the first gayageum performing the theme melody and the variation that follows the motive of the theme. At this point, by the tune that continues for 3 beats using tremolo, portrayed flowing water. The second to forth gayageum mainly does the role of variation melody which has the form of basso ostinato that continuously repeats syncopation, hemiola rhythm, arpeggio: continuing with sequential order. Therefore clearly betraying the theme melody of this music by using continuous repetition of the theme melody and the corresponding variation melody. Second, Paragraph B consists of total 97 measures, and 8 passages which is divided into Ⓒ, Ⓓ, Ⓔ, Ⓔ’, Ⓔ’’, Ⓕ, Ⓕ’, Ⓒ’. In paragraph B, the theme melody at paragraph A in 12/8 changes its time signature to 3/4, 4/4, proceeding with the theme melody in diverse form of variations. Accompaniment melodies continues with harmonic arpeggio. Also, Ⓒpassage which is the start and Ⓒ’passage which is the last of paragraph B proceeds with the melody of connecting phrases that implies beginning and the cadence, composed with compound beats of 9/8, 8/8, 10/8. For the technique, new method such as staccato, accent, accent staccato, glissando, arpeggio has been employed and also traditional technique of performing same note by pressing under one string has been used. Third, Paragraph C consists of total 74 measures, and 10 passages which is divided into Ⓖ, Ⓗ, Ⓗ’, Ⓖ’, Ⓗ’’, Ⓗ’’’, Ⓘ, Ⓙ, Ⓙ’, Ⓙ’’. Paragraph C presents distinct theme melody from Paragraph A which is a progression of tunes that adopted the theme melody of ‘Yongdulejil Sori’, showing 10/8 form which is different from theme melody of Paragraph A; 12/8 form. Furthermore variation melody of the theme melody appears in 4 patterns, performing while exchanging its melody in 4 parts. Variation melody has strong emerging form of basso ostinato, while at the latter part, on the top of the ostinato form of second to forth gayageum, first gayageum modifies the tune freely making the melodic link that of a characteristic of grace note. composed by Seongwon Kye is a tune created by bringing its motive from ‘Yongdulejil sori’; local folk song of Kanghwa Island which emerges strong ‘Seodominyo’ mode. Following tune performs by exchanging theme melody which proposes gayageum in 25 string quartet divided by 8 melodies of treble and bass, along with variation melody in the form of ostinato which uses presented theme melody as well as variation melody, syncopation, hemiola, arpeggio rhythm. Through this method, the composer’s intention to express imagery of ‘Yongdule’ and ‘water’ was stood out, also highlighting voiceless sound of 25 string gayageum, as well as harmonic effect from each part of balanced melody. One confirmed new compositions of gugak(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an be reinterpreted into a new piece of music while maintaining its tunes with ambience of folk songs through this study. Therefore looking forward to increased regards for folk songs along with rediscovering component for new compositions of gugak, consequentially resulting diverse pieces of music actively being compo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