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0 Download: 0

Are Welfare Supporters Egalitarians? Public Attitude on Distributive Justice of Health Care

Title
Are Welfare Supporters Egalitarians? Public Attitude on Distributive Justice of Health Care
Other Titles
복지 지지자들은 평등 지지자인가? : 보건 복지 분배 정의에 대한 31개국의 태도 비교
Authors
김석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지
Abstract
This research highlights welfare supporters’ pursuit of equality based on the distributive justice of health care. There have been copious studies uncovering determinants of public attitude on welfare support, which connected the pursuit of equality as one of the main predictors of welfare supporting attitude. As such, welfare supporting attitude has been taken-for-granted as support for equality, which explained people who support redistribution are in favor of policies promoting equality. However, are the welfare supporters really egalitarians? Revolving around the spectrum of distributive justice between equality and differentiation, support for redistribution does not automatically correspond to equality. Therefore, it is unclear whether welfare supporters are supporters of equality and underlying distributive justice they value needs to be studi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what they support. Therefore, this research takes a step in revealing the intentions of welfare supporters by testing their attitude toward two different distributive justice in health care, which are (1) equal treatment and (2) equal access for equal need. The result shows that while welfare supporters advocate distributive justice of equal access for equal need in health care, they do not support equal treatment approach. This implies that while welfare supporters advocate the minimal provision of equality in health care, allowing equal access of health care to anyone including socially marginalized groups such as non-citizens and the irresponsible, full support of equality which guarantees the equal quality of treatment to anyone regardless of financial ability is neglected. This reveals that welfare supporters are limited supporters of equality. However, this tendency is moderated with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Examining 31 countries from the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ISSP) dataset of 2011 on attitude toward health system, the research brings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al factors from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WDI) and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UIA) to study the effect. The result proved that national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ize of the government health expenditure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of states’ INGO memberships are both positively effective in mediating the welfare supporters’ attitude toward distributive justice of health care. While welfare supporters had minimal support of equality by only responding to the equal access for equal need approach, when institutional factors were added as interaction with the welfare supporting attitude, they positively responded not only to the equal access but also the equal treatment approach. This provides that while welfare expansion does not always lead to a linear expansion of equality, with institutional contexts such as larger government spending on the health system and stronger embeddedness in the international norms, it can bring a positive prospect for extended equality.;본 연구는 복지 지지자들의 평등 의식을 분석한다. 대중의 복지 태도는 정책의 방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왔고, 복지 태도를 결정짓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그 중 하나의 요인으로 평등 의식이 대두되었고, 평등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복지 국가를 지지한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졌다. 하지만 복지지지자들이 정말 평등 지지자라고 할 수 있을까? 평등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복지 국가를 지지하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복지의 확대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평등을 지지하는가의 역 인과관계 (reverse causation)는 새롭게 밝혀보아야 할 문제이다. 이는 분배 정의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분배 정의는 평등의 원리와 구별의 원리 사이의 스펙트럼에서 다양한 개념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재분배에 대한 동의가 평등한 정책에 대한 동의로 이어지는 가에 대해서는 독립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본 연구는 복지 지지자들이 가지고 있는 분배 정의를 밝히고자 한다. 보건 정책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두 가지의 다른 분배 정의인 (1) 질적 평등과 (2) 접근의 평등에 대해 복지 지지자들의 태도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복지 지지자들은 의료 시스템에 대한 접근의 평등에 대해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치료의 질적 평등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복지 지지자들은 평등한 의료 정책으로의 진입에 대해 제한적인 지지만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는 제도적 특성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두 가지의 제도적 변수를 활용하여 복지 지지자들의 평등한 의료 정책에 대한 태도가 제도적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국가의 제도적 특성인 정부 보건 지출 크기와 국제적 제도적 특성인 국제 사회 규범 친숙도는 복지지지자들의 평등 태도에 정적인 조정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복지 지지자들이 가지고 있는 의료 시스템의 접근의 평등에 대한 태도에서는 기존의 정적 상관관계가 두 제도적 특성으로 강화되었다. 더 흥미로운 점은 복지 지지자들의 의료 시스템의 질적 평등에 대한 태도는 단독 관계에서 효과가 드러나지 않았던 반면, 두 제도적 특성과의 상호작용에서는 정적 효과를 가지는 점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복지의 확대가 평등의 확대로 반드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국가의 복지 크기와 국제화의 규범 친숙이 진행될수록 의료 시스템의 선별적인 평등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