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박종선과 한일섭의 태평소시나위 선율비교

Title
박종선과 한일섭의 태평소시나위 선율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the Melodies of Jong-sun Park's and Il-sup Han's Taepyeongso Sinawes: Gutguri and Jajinmori Jangdans
Authors
홍지혜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This paper provides a comparison of the melodies of the gutgury and jajinmori rhythms used in Jong-sun Park’s and Il-sup Han’s taepyeongso sinawes. First, the music structures of the two sinawes were juxtaposed and divided into phrases to compare the distribution of notes and key of scale. Based on this, Park’s melodies were contrasted with those of Han to identify similar and identical melodies that were used in both sinawes, as well Park’s created melodies that are unique to his mus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music structures of Park’s and Han’s taepyeongso sinawes revealed that the rhythmic structure of the former was composed of gutguri-jajinmori-eotmori-dongsalpuri-hwimori-gutguri, and that of the latter consisted of gutguri-jajinmori-fast-paced jajinmori, incorporating a more diverse range of rhythms. In terms of length, Park’s melody contained a total of 127 jangdans consisting of 63 gutguri and 64 jajinmori jangdans. This was distinguishable from Han’s shorter melody of 110 jangdans, which consists of 62 gutguri rhythms and 48 jajinmori jangdans. Second, a comparison of the melodies of the gutguri rhythms in Park’s and Han’s taeopyeongso sinawes led to the conclusion that both sinawes are yukjabaegitori made up of Bb boncheong gyemyeonjo and Eb boncheong gyemyeonjo. Further evaluation of their note distribution showed that yukjabaegi’s basic techniques of boncheong-vibrating cheong-deoeum cheong, rather than boncheong-bending cheong-vibrating cheong, were used with importance. While it is true that namdo sinawe, which is also a yukjabaegitori, used deoeum cheong, its role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Park’s and Han’s taepyeongso sinawes, however, deoeum cheong note Ab was used as not only an embellishment, but also a secondary bending note. Of the 60 gutguri jangdans in Park’s taepyeongso sinawe, which excludes 3 jangdans without a melody, 15 jangdans were identified as identical melodies, 27 as similar melodies, and 18 as created melodies. By ratio, identical and similar melodies accounted for 25 percent and 45 percent of the gutguri rhythms, respectively, whereas created melodies constituted a mere 30 percent. Despite its low composition, Park’s created melodies differed from those of Han. They had been modified and further developed to compose new created melodies in the final gutguri rhythms. A closer study of their melodies showed that Park’s melodies resembled the melodies and notes from Han’s sinawe, but also contained melodies with different rhythms and, in the majority of instances, changed the melody itself by adding additional notes to Han’s melodies. It was apparent that Park incorporated a large part of Han’s work, as similar and identical melodies appeared in high frequencies particularly at the beginning of the music, and only started to introduce a blend of identical and created melodies after the 25th jangdan. Third, an examination of the melodies of Park’s and Han’s jajinmori rhythm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As was the case with gutguri rhythms, both sinawes used Bb boncheong gyemyeonjo and Eb boncheong gyemyeonjo. Moreover, based on their note distribution, it was apparent that Park mainly used boncheong, vibrating cheong, and doeum cheong, whereas Han used boncheong, vibrating cheong, and bending cheong. By using doeum cheong note Ab, Park was able to create a diverse range of melodies. The 64 jajinmori jangdans in Park’s taepyeongso sinawe consisted of 8 identical melodies, 18 similar melodies, 37 created melodies, and 1 jangdan without a melody. By ratio, identical, similar, and created melodies made up 12.6 percent, 28.5 percent, and 58.7 percent of the jajinmori jangdans, respectively. What stood out about Park’s created melodies was that he had modified parts of the gutguri melodies and used them in his jajinmori created melodies, especially repetitively in the final parts of his music. In contrast, the beginning phrases of the jajinmori were mostly composed of identical and similar melodies. It was not until the 78th jangdan that Park’s created melodies started to appear in large numbers.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a comparison of the melodies of the gutguri and jajinmori jangdans from Park’s and Han’s taepyeongso sinawes. Based on the analysis that 70 percent of the melodies of the gutguri jangdan from Park’s taepyeongso sinawe were either similar or identical to those of Han, and that 58.7 percent of the melodies of the jajinmori jangdan consisted of Park’s created melodies, it can be concluded that Park had borrowed a significant part of Han’s music and that it was not until the jajinmori jangdan that Park began to incorporate his own created melodies. Park’s individual taepyeongso sinawe was completed with the later addition of eotmori, dongsalpuri, and hwimori. Going forward, it is my hope and expectation to see more in-depth analysis of Park’s and Han’s taeypyeongso as well as general research on taepeyongso sinawe.;본 논문은 박종선과 한일섭의 태평소시나위 중 굿거리와 자진모리의 선율을 비교 연구하였다. 먼저, 악곡구성을 비교하고 단락을 나누어 출현음을 바탕으로 음의 비중과 선법을 비교하고 박종선의 가락에서 한일섭과 동일한 선율, 유사한 선율과 박종선의 창작선율을 살펴보았다. 첫째, 박종선과 한일섭의 태평소시나위 악곡구성을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박종선의 태평소시나위의 장단구성은 굿거리-자진모리-엇모리-동살풀이-휘모리-굿거리이며 한일섭의 태평소시나위의 장단구성은 굿거리-자진모리-빠른자진모리로 박종선의 태평소시나위가 더 다양한 장단으로 구성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박종선의 굿거리는 63장단, 자진모리는 64장단으로 총 127장단이며 한일섭의 굿거리는 62장단, 자진모리는 48장단으로 총 110장단으로 박종선의 가락이 더 길었다. 둘째, 박종선과 한일섭의 태평소시나위 중 굿거리장단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시나위는 모두 육자배기토리로 Bb본청계면조와 Eb본청계면조로 이루어져있었고, 음의 비중을 살펴본 결과 육자배기 기본골격인 본청, 꺾는 청, 떠는 청이 아닌 본청, 떠는 청, 더음 청이 중요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육자배기토리인 남도시나위에서도 더음청의 사용을 볼 수 있지만 그 역할이 매우 빈약하다. 하지만 박종선과 한일섭의 태평소시나위에서는 더음청인 Ab음이 장식음으로만 사용된 것이 아니라‘제 2의 꺾는 음’으로서의 기능을 하기도 했다. 그 중 bb-Ab-Gb-F음으로 하행하는 진행은 전형적인 육자배기 토리에서 벗어난 독창적인 선율진행으로 두 시나위에서 특징적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박종선의 태평소시나위 중 굿거리 63장단에서 선율이 나타나지 않는 장단을 제외한 60장단 중 동일선율은 15장단, 유사선율은 27장단, 창작선율은 18장단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선율 25%, 유사선율 45%, 창작선율은 30%의 비중을 차지했다. 박종선과 한일섭의 굿거리의 유사선율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박종선의 선율은 한일섭의 가락과 음 진행은 동일하지만 리듬의 차이가 나타나는 선율이 많았으며 한일섭의 가락에 음을 추가하여 선율의 변화를 주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두 시나위의 상이한 특징으로는 박종선은 Db-C-Bb음으로 진행할 때 Db음을 추가해 Db-C-Db-Bb음으로 하행하였고, 한일섭은 Ab음-bb음으로 상행진행시 F음을 장식음으로 사용해 Ab-F-bb음으로 진행하는 것이었다. 유사선율과 동일선율은 곡의 앞부분에서 특히 그 비중이 높았는데 박종선은 굿거리 선율 앞 대부분을 한일섭의 가락에서 차용했음을 알 수 있었고 제 25장단 이후부터는 박종선의 창작선율이 나타나며 유사성과 독창성을 가진 선율들이 등장했음을 알 수 있었다. 박종선의 창작선율은 30%로 그 비중이 낮았지만 자신의 창작선율을 변화, 발전시켜 굿거리 뒷부분에서 또 다른 창작선율들을 만들어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박종선과 한일섭의 자진모리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굿거리와 마찬가지로 두 시나위는 Bb본청계면조와 Eb본청계면조로 이루어졌으며 음의 비중을 살펴본 결과 박종선은 본 청, 떠는 청, 더음 청이 주요음으로 사용되었고, 한일섭은 본청, 떠는 청, 꺾는 청이 주요음으로 사용되었다. 박종선은 더음청인 Ab음을 주요음으로 사용해 창작선율에서 다양한 선율진행들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박종선의 태평소시나위의 자진모리 64장단 중 선율이 나타나지 않는 장단을 뺀 63장단 중 동일선율은 8장단, 유사선율은 18장단, 창작선율은 37장단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선율 12.6%, 유사선율 28.5% 총 41.1%, 창작선율은 58.7%의 비중을 차지했다. 동일선율과 유사선율은 곡의 앞 부분에서 특히 비중이 높아 박종선의 자진모리 앞 부분은 대부분 한일섭의 가락과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제 78장단부터는 박종선의 창작선율이 다량 등장하면서 독창성을 가진 선율들이 나타났고 자진모리는 한일섭과 유사하지 않은 박종선의 창작선율들이 비중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박종선의 창작선율은 자신의 굿거리 가락을 변형시켜 자진모리에서 사용했으며, 자신의 창작선율을 곡의 뒷 부분에서 반복해서 사용하였다. 이상 본 논문에서는 박종선과 한일섭의 태평소시나위 중 굿거리와 자진모리의 선율을 비교 연구하였다. 박종선과 한일섭의 굿거리에서는 동일선율과 유사선율 비율이 총 70%로 박종선의 선율 대부분이 한일섭의 가락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고, 자진모리에서는 박종선의 창작선율의 비율이 58.7%로 자진모리부터 박종선의 독창성을 가진 새로운 가락이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박종선은 엇모리, 동살풀이, 휘모리 장단을 추가해 자신만의 태평소시나위를 완성시켰다. 앞으로 본 논문을 통해 한일섭과 박종선의 태평소에 관한 연구가 더 활성화되고 태평소시나위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가 더 발전되길 기대해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