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3 Download: 0

<수궁가> 中 ‘별주부 모친 만류’대목 비교연구

Title
<수궁가> 中 ‘별주부 모친 만류’대목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Mother Dissuading Byeoljubu’Passage in Sugungga: Focused on Kim, Su-yeon and Kim, Young-ja
Authors
박세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판소리 5바탕 중 하나인 수궁가의 여러 유파 가운데 동편계열의 박초월제와 정광수제 <수궁가>의 성립과정과 김수연과 김영자의 <별주부 모친 만류>대목을 사설·장단·선율 등의 기준에 따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김수연 명창과 김영자 명창의 음반으로 <별주부 모친 만류>대목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궁가 중 <별주부 모친 만류>대목의 두 유파의 사설의 음절수는 비슷하였으며 두 명창의 사설은 부르는 부분이 앞뒤로 다를 뿐 많은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동일한 사설이 56%, 유사한 사설이 16%, 다른 사설이 28%의 비율을 보였으며 장단 역시 두 유파 모두‘진양조’를 사용했다. 붙임새는‘대마디 대장단’만을 사용하였으며 가사의 음절은 김영자가 더 긴데도 불구하고 김수연의 장단이 더 많은 것은 김수연이 사설을 늘려서 소리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수궁가 중 <별주부 모친 만류>대목의 선율을 분석해 본 결과 음역과 음고를 비교해보면 김수연은 좀 더 낮은 음역대 김영자는 좀 더 높은 음역대를 쓰고 있으나 두 명창 모두 옥타브를 넘나들며 상청과 하청을 고루 넓게 쓰는 넓은 음역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수연은 7개의 음을 시작음으로 사용하였으며 8개의 음을 종지음로 사용하여 주로 위에서 아래로 하행하는 선율진행을 알 수 있다. 김영자는 8개의 음을 시작음으로 6개의 음을 종지음으로 사용하여 김수연과 마찬가지로 주로 위에서 아래로 하행하는 선율진행흐름을 알 수 있다. 셋째, 김수연을 기준으로 동일한 사설끼리 나눠 동일한 사설 별로 음정, 선율진행방향, 리듬 3가지에 기준을 두고 동일한 선율진행, 유사한 선율진행, 상이 선율진행 형태의 형식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음원을 듣고 채보한 악보를 토대로 비교해 본 결과 동일한 선율은 0%, 유사한 선율은 김수연 6장단, 김영자 5.5장단으로 24%임을 알 수 있었다. 상이한 선율은 음역의 차이가 큰 유형이 4장단, 선율진행방향이 상이한 유형이 5장단, 리듬의 차이가 큰 유형이 3장단으로 정리되어 총 김수연 12장단, 김영자 11.5장단으로 48%임을 알 수 있었고 없는 사설 선율은 7장단으로 28%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선율적인 부분에서 두 명창의 <별주부 모친 만류>대목은 선율이 매우 상이한 곡임을 알 수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김수연과 김영자의 수궁가 중 <별주부 모친 만류>대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출현하는 사설·장단·음역·선율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필자는 이 연구를 시작으로 수궁가의 바디별 비교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akchowal-je and Jungwangsu-je of the Dongpyeon series among the various styles of Sugungga, one of the Pansori 5-Batang,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assage of two masters, Kim Su-yeon and Kim Young-ja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contents·rhythm·melody.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passage with Kim Su-yeon master and Kim Young-ja master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ntent syllables of the two styles in the passage in Sugungga was similar. The contents of the two masters did not differ much as the parts they sing are different back and forth. 56% was the same contents, 16% was similar contents, and 28% was other contents. In the case of rhythm, both styles used 'Jinyang-jo', and only 'Daemadi Daejangdan' was used for the Buchimsae. In the case of lyrics syllables, even though Kim Young-ja’s is longer, the rhythms are more in Kim Su-yeon’s, which mean that Kim Su-yeon sang with increasing the cont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lody of passage among Sugungga, in terms of range and pitch, Kim Su-yeon uses a lower range, and Kim Young-ja uses a higher range. However, both masters use a wide range that uses the upper and lower sounds evenly across the octave. Kim Su-yeon uses 7 notes as the starting sound, and 8 notes as the ending sound, mainly performing melodic progression from top to bottom. Kim Young-ja uses 8 notes as the starting sound and 6 notes as the ending sound, and like Kim Su-yeon, she mainly performs melodic progression from top to bottom. Third, the same contents were classified based on Kim Su-yeon’s, and the same melodic progression, similar melodic progression, and different melodic progression typ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ree criteria: pitch, melodic progression direction, and rhythm. As a result based on the scores recorded after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the same melody was 0%, and similar melody was 24% with Kim Su-yeon 6 Jangdan, Kim Young-ja 5.5 Jangdan. In the case of different melody, the type with a large difference in range was 4 Jangdan, the type with a different melodic progression direction was 5 Jangdan, and the type with a large rhythm difference was 3 Jangdan. That is, total 12 Jangdan of Kim Su-yeon and 11.5 Jangdan Kim Young-ja, which was 48%. The missing contents melody was 7 Jangdan, 28%. In other words, it is found that the passage of of the two masters is very different in terms of melody. Through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masters’ passage in their Sugungga were compa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rhythm, range, and melody were identified. Starting with this study, it is hoped more comparative studies to be conducted like analysis of Sugungga by Bad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