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경기민요 ‘이별가’, ‘양산도’ 비교연구

Title
경기민요 ‘이별가’, ‘양산도’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Gyeonggi folk song 'Song of Farewell' and 'Yangsando' : Focused on the melody of Ahn Bichwi, Lee Chunhui, Lee Hoyeon
Authors
김소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경기민요는 서울, 경기지방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온 민요로, 일자다음식의 선율이 많아 한 글자의 음을 길게 늘어뜨리는 소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굴곡이 많은 선율 ‘솔라도레미’,‘라도레미솔’의 음계로 불리우기도 하고, 굿거리 장단, 세마치 장단, 타령 장단과 같이 다양한 장단으로도 나타나며, 곡별로 다채로운 음악어법을 볼 수 있는 장르이다. 본고는 경기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두 곡으로 서로 박과 음계의 성질이 다른 <이별가>와 <양산도>를 선택하고, 한 계보를 잇는 세 명의 창자별 소리를 분석하여, 실제 경기민요의 특징과 창자별로 고유한 색을 형성하는 음악적 요소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세 명의 창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57호 경기민요 보유자였던 안비취와, 그의 계보를 잇는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인 이춘희, 그리고 전수교육조교인 이호연이다. <이별가>와 <양산도>의 이론적 배경과 세 창자 안비취·이춘희·이호연의 생애와 음악활동을 먼저 살펴보고, 세 창자의 음원과 그를 채보한 악보를 기반으로 악곡을 부른 창자별 음역대, 사설과 사설붙임새, 선율구조와 시김새를 어떻게 구사하고 있는지 연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곡에서 창자별 노래를 부른 실음역대는 서로 유사한 범위인데, 안비취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이춘희나 이호연이 이별가에서는 음역대를 더 확장하고, 양산도에서도 시김새로 하여금 음역대를 조금 더 넓게 활용하며, 보다 고조되거나 밝고 흥겨운 느낌으로 들린다. 곡별로 살펴보면, <이별가>에서 안비취의 음역대는 B♭음에서 b♭음의 한 옥타브로 나타나고, 이춘희는 A♭음에서 c♭음의 10도, 이호연은 E♭음에서 c♭음의 13도로 더 넓게 나타났다. 주선율의 음역대는 안비취가 이춘희와 이호연의 노래보다 반음 높지만, 시김새의 표현이나 빈도에 의해 이춘희와 이호연의 노래가 좀 더 밝고 동적으로 들린다. <양산도>는 안비취의 음역대는 E♭음에서 B♭음의 한 옥타브로 나타났고, 이춘희는 F음에서 e♭음, 이호연은 E♭음에서 e♭음의 14도에 이른다. <양산도>에서 세 창자는 서로 유사한 음역대에 놓여 있는데, 안비취를 기준으로 할 때 이호연의 음역대는 1/4음 정도 미세하게 높고, 이춘희는 장2도 높게 불러 두 창자 모두 안비취의 소리보다 좀 더 밝고 흥겨운 음색으로 느껴진다. 둘째, <이별가>는 세 창자 간 사설이 동일하고, 양산도는 세 창자가 모두 같거나, 한 창자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주로 이춘희와 이호연이 같고 안비취가 다른 사설을 가지고 있었다. 사설붙임새에 있어, <이별가>는 일자다음식의 경기민요의 특징이 두드러지고, 무장단에 각 창자의 호흡과 기량에 따라 가사를 얹으며 프레이즈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산도>는 도입부의 구음을 제외하면 세 창자의 사설이 같거나, 각각 다른 부분도 있다. 사설붙임새에 있어, <양산도>는 9/8박자 위에 굴곡 있는 선율이 진행하면서 주로 제 1박, 제 4박, 제 6박, 제 7박에 가사를 얹고, 이후 마무리 하는 가사는 안비취와 이춘희는 제 8박에, 이호연은 제 9박에 얹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선율진행 분석에서 <이별가>는 세 창자별로 선율의 주요음이 머무르는 박 이나 음역대에 차이가 보인다. 안비취를 기준으로 볼 때 이춘희 이호연이 각 악구가 한 두박씩 짧고, 음 이동이 많으며, 주요음이 제시되는 박이 앞이나 뒤로 한 두박씩 차이가 난다. 반면, 양산도는 세 창자의 선율 간에 시김새에 의해 약간의 리듬차이가 있을 뿐, 전반적인 선율진행은 모두 같은 음으로 박마다 흥겹게 이어진다. 넷째, <이별가>는 무박으로 규칙적이지 않은 박으로 전개하면서 창자별 선율에 조금 더 자유도가 있고, 선율진행에 차이가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던 바, 안비취의 소리에 비해 이춘희와 이호연이 음 이동이 더 적극적이고, 동적이며, 시김새 또한 조금 더 넓은 음역대를 활용하여 구사하고 있었다. 반면, 8/9박자로 상대적으로 규칙적이고 보다 박절적으로 진행한 <양산도>는 세 창자의 선율진행은 동일하였고, 시김새의 음높이나 구사하는 박에 따라 창자별로 소리의 맛을 달리하고 있었다. 다섯째, 세 창자 모두 경기민요의 특징적인 시김새의 하나인 ‘굴리듯 감는 목()’을 주요한 시김새로 활용하고 있다. <이별가>에서 안비취는 6회, 이춘희는 6회, 이호연은 12회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양산도>에서 다시 ‘굴리듯 감는 목()’을 안비취는 19회, 이춘희는 10회, 이호연은 19회로 세 창자 모두 여러 시김새 중 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같은 선율 진행이더라도, 창자 별로 개인의 기량이나 음악적 특징을 살려 부르고자, 시김새를 구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경기민요의 대표적인 두 곡이자 음계와 박의 특성이 다른 <이별가>, <양산도> 두 곡을 택하여 창자별로 비교함으로써, 노래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 요소와 창자별 특성을 형성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곡의 이론적 배경으로부터 안비취·이춘희·이호연 세 창자의 노래를 부른 실음역대, 사설과 사설붙임새, 선율과 시김새를 비교분석한 결과, 한 계보를 잇는 세 창자의 사설이나 선율은 유사하고, '굴리듯 감는 목'을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한 것 외에, 다양한 시김새의 종류와 빈도, 위치에 의해 창자별로 그 소리의 멋을 차별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비취가 단조롭게 주선율을 중심으로 부르고, 이춘희와 이호연은 머무르는 음에서 시김새를 연속적으로 구사하거나 시김새에 의해 음역대를 확장하면서 보다 화려하게 부르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주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며 같은 선율일지라도 시김새를 어떻게 구사하느냐에 따라 더 고유한 색을 만들어갈 수 있는 부분에 포커스 하였고, 이 연구가 본인의 색체를 찾아가고 있는 다른 소리꾼들에게도 방법론에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Kyonggi folksong is handed down mainl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ljadaeumsik method has a characteristic that uses a long sound of one letter because it has a lot of melodies. It is also called the scale of ‘sol-la-do-re-mi’ and ‘la-do-re-mi-sol-’ with a lot of curvatures. It appears in various rhythms such as Gutgeori rhythm, Semachi rhythm, and Taryeong rhythm. It is a genre where you can see various musical phrases for each song.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Kyonggi folksong and selects and , which have different tempo and scal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will also analyze the sound of each of the three Chang-ja following a genealog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Kyonggi folksong and the musical elements that form the unique colors of the Chang-ja. The three Chang-jas are Ahn Bichwi, a holder of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57 Kyonggi folksong, Lee Chunhui, a heritage bearer linking his lineage, and Lee Hoyeon, a teaching assistan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nd and the life and musical activities of three Chang-ja Ahn Bichwi, Lee Chunhui, and Lee Hoyeon will be examined first. Based on Chang-ja's sound source and the music scores that he captured, he studied how to use the musical range of the Chang-ja stars, Saseol and Saseol Butimsae, melody and Sigimsa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actual range in which the Chang-ja songs were sung in the two songs was in a similar range, Lee Chunhui or Lee Hoyeon expanded the range in Song of Farewell based on Ahn Bichwi. Even in Yangsando, Sigimsae makes the transliteration a bit wider and sounds more exalted or bright and cheerful. Looking through each song, Ahn Bichwi's range in appears as an octave of B♭ to b♭, Lee Chunhui is 10 degrees of c♭ to A♭, and Lee Hoyeon c♭ to E♭ It was wider at a negative 13 degrees. The main melody range is Ahn Bichwi's halftone higher than Lee Chunhui's and Lee Hoyeon's songs, but depending on the expression or frequency of Sigimsae, Lee Chunhui's and Lee Hoyeon's songs sound brighter and more dynamic. In , the transverse range of Ahn Bichwi appeared as one octave of E♭ to B♭, Lee Chunhui is e to F, and Lee Hoyeon is 14 degrees to E♭. In , the three Chang-ja are located in similar to each other and based on Ahn Bichwi, Lee Hoyeon's range is slightly higher, about 1/4 note, and Lee Chunhui's chapter 2 is high. Both Chang-ja feels a little brighter and more pleasant than the sound of Ahn Bichwi. Second, has the same Saseol between three Chang-ja, and Yangsando shows all three Chang-ja are the same or one Chang-ja is different. Mainly, Lee Chunhui and Lee Hoyeon were the same, and Ahn Bichwi had a different Saseol. About Saseol Butimsae is found to be character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Kyonggi folksong of the Iljadaeumsik method, putting lyrics on each rhythm and putting lyrics in accordance with each Chang-ja's breathing and skill. In , except for the Gueum note at the beginning, the three Saseols of Chang-ja are the same or different. About Saseol Butimsae puts lyrics on the first night, the fourth night, the sixth night, and the seventh night as the melodic melody on the 9/8 beat progresses. After that, the lyrics of Ahn Bichwi and Lee Chunhui tended to be put on the 8th night and Lee Hoyeon on the 9th. Third, in the melody progress analysis, shows a difference in the tempo or the range of the melodies where the main melody of each melody stays. Based on Ahn Bichwi, Lee Chunhui Lee Hoyeon has a short one or two beats for each phrase, a lot of sound movement, and a beat with a major note that differs one or two beats before or after. On the other hand, Yangsando has only a slight rhythmic difference by Sigimsae between the melody of the three Chang-ja, and the overall melody progresses with the same note, and a pleasant blur follows every beat. Fourth, is unbeatable and unfolded with irregular beats. There was a difference in melody progression, and Lee Chunhui and Lee Hoyeon were more active and dynamic in sound movement than Ahn Bichwi, and Sigimsae was also using a slightly wider range. On the other hand, , which was relatively regular and more timely with 8/9 beats, had the same melody progression among the three Chang-ja. Depending on the pitch of Sigimsae or the savory gourd, the taste of the sound was different for each Chang-ja. Fifth, all three Chang-ja use 'Rolling Mok', one of the characteristic Sigimsae of Kyonggi folksong, as the main Sigimsae. In , Ahn Bichwi used 6 times, Lee Chunhui 6 times, and Lee Hoyeon 12 times, which is the most used among the three. In , I used 'Rolling Mok' again 19 times for Ahn Bichwi, 10 times for Lee Chunhui, and 19 times for Lee Hoyeon. All three Chang-ja used it the most among several Sigimsae. Even in the same melody, it can be confirmed that Sigimsae is used by Chang-ja in an effort to make use of individual skill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selected and , which are two representative songs of Kyonggi folksong, and have different scales and beats. By comparing this with each Chang-ja, we tried to find out the common elements of the song and the factors that form characteristics for each Chang-ja.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wo songs, Saseol and Saseol Butimsae, melodies and Sigimsae, which are the actual ranges of three Chang-ja songs Ahn Bichwi·Lee, Chunhui·Lee, and Hoye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Saseol and melody of the three Chang-jas that follow a lineage are similar, and 'Rolling Mok' is commonly u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different types of Sigimsae differentiated the style of the sound by Chang-ja by type, frequency, and location. Ahn Bichwi sings monotonically around the main melody, and Lee Chunhui and Lee Hoyeon tend to sing Sigimsae in succession or expand the range by Sigimsae to sing more colorfully. From the performer's point of view, this paper focused on the part where we could create more unique colors depending on how we use Sigimsae even with the same melody. I hope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the methodology for other Sori singers who are looking for their col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