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창작중심 현대음악 교수학습 지도안

Title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창작중심 현대음악 교수학습 지도안
Other Titles
A study on Lesson plans for Contemporary Music and Music Creation based on Smart Learning theory
Authors
김지원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창작중심 현대음악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고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유형, 국내외 스마트러닝 사례, 현대음악의 정의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내용과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본 지도안은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을 중심으로 5차시, 우연성 음악을 중심으로 하여 3차시, 총 8차시를 개발하였다.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8차시의 지도안 개발을 위해 임걸(2011)의 스마트러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또한 수업 동안의 창작 활동에 있어서는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창작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지도안은 교육대학원 교수와 현직 음악 교사에게 내용타당도 및 현장적합도 검증을 실시하고 검증 내용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5차시는 스마트러닝을 적용하여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을 중심으로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1차시에서는 녹음 기술과 음악 재생 매체의 발전 과정에 대해 수업하며 수업 내용을 조별로 정리하여 발표하고 카세트 테이프 녹음기를 통해 녹음하는 활동을 계획하였다. 2차시에서는 제재곡을 피에르 셰페르의 로 선정하였으며, 태블릿 PC로 원곡의 악보에 음향이 변화된 부분을 표시하는 활동과,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구체음악의 소재가 될 수 있는 소리를 녹음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3차시는 슈톡하우젠의 와 리게티의 을 감상하고 활동지에 QR코드를 삽입함으로써 조별활동에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간단한 전자음을 만드는 활동을 계획하였다. 4차시에서는 구체음악 창작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조별로 작품계획서를 구상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5차시에서는 작품계획서를 토대로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체음악을 창작하고 플랫폼에 업로드 하였다. 둘째, 6-8차시는 스마트러닝을 적용하여 우연성 음악을 중심으로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6차시에선 다양한 우연성 음악을 감상하고 우연적 요소에 대해 이야기한다. 7차시에서는 얼브라운의 악보를 가지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즉흥 연주하였다. 마지막 8차시에서는 조별로 우연성 악보를 직접 제작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다른 조의 악보를 즉흥 연주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평가는 모든 활동지가 포트폴리오로 쓰이며, 창작활동 후 각자 평가지를 작성지도를 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지도안을 개발 후 교육대학원 교수 2인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현직 음악 교사 3인에게 현장적합도 검증을 의뢰하였다. 그 결과, 본 지도안은 다양한 스마트러닝을 활용하여 창작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과 자신감 신장, 흥미 유발에 적합함을 확인했다. 또한 본 지도안대로 수업이 이루어지기에 아직 수업 환경 구축이 미비하므로 다양한 변수 발생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음악 수업에 보다 흥미를 느끼고,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창의성 계발과 문제해결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이 진행될 수 있기를 바라며. 더 나아가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창작 수업 연구가 다양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lesson plans of contemporary music and music creation based on smart learning theory and to verify the on-site suitability. To this end, the concept and types of smart learning, domestic and foreign smart learning cases, the theoretical content of the definition of contemporary music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the prior study was considered. Total of eight lesson plans were developed: five for Concrete Music and Electronic Music; three for Chance Music. The smart learning model of Lim(2011) was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ight class lesson plans using smart learning, as well as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based music creation activity model was also applied. After developing the lesson plan, a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ask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and a current music teacher to verify the on-site suitabil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five lesson plans focus on Concrete Music and Electronic Music. In the first session, students learn about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cording media and music playback media, and present the contents of the class in groups. Students also record various sounds with cassette tape recorders. In the second session, is compared to the original Bach's music to show the changed parts of the sound, and the recording application is used to record sounds that could be material for Concrete Music. The third session was designed to listen to and . And the QR code was inserted in the class activity sheet for so that it could be used in the group activities. In the fourth session, applications and software programs were introduced to create Concrete Music. Finally in the 5th session, each group of students write a music creation plan for Concrete Music, followed by composing and uploading a created musical work. Second, from the 6th to the 8th sessions, the lesson plans were developed focusing on chance music. In the sixth session, students listen to various Chance Music works, as well as talk about the features and composition method of Chance Music. In the seventh session, students improvise with a musical application. In the final eighth session, groups make their own Chance Music score, and improvise another group’s score. Evaluation is based on portfolio of students working process and assessment sheets from class activities. Third, after developing the lesson plan of this study, we asked one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ree music teachers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and on-site suitability. As a result, by using various smart learning to musical creation, the lesson plan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suitable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self-confidence and interest. However, teachers gave opinions that opinions that current classroom environments are not enough yet for developed smart learning lesson plans. Thus, the teachers suggested need for solutions to respond various variables. solutions to the occurrence of various variables would be needed.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ill be more interested in music classes, as well as the lesson plans develop student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Furthermore, I hope that music creation classes applying smart learning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and active w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