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1 Download: 0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민요 가창 지도방안 연구

Title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민요 가창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inyo singing lesson plans applying the theory of generative musical learning for middle school music class :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본 연구는 보드만(E.Boardman)의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역별 토리를 중심으로 한 민요 가창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하여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토대로 상징체계를 형성하고, 지역의 토리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음악 경험으로 구성된 민요 가창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지도안의 제재곡은 2015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을 분석하여 각 지역의 민요마다 가장 많이 실려 있고, 그 지역적 토리의 특징을 잘 나타내어 토리를 흥미있고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는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에 따른 토리별 제재곡은 경기민요 <한강수타령>, 서도민요 <몽금포타령>, 동부민요 <강원도아리랑>, 남도민요 <진도아리랑>, 제주민요 <이어도사나>를 선정하였다. 지도안은 각 토리별 민요로 총 8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의 지식 제시의 양식을 따라 신체를 활용한 작동적 양식, 사진·영상 등의 이미지를 활용한 영상적 양식, 그리고 악보를 활용한 상징적 양식을 사용하여 차시별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구성하였다. 제재곡별 지도안은 한강수타령, 몽금포타령, 강원도아리랑은 각각 2차시로 구성되어 있고 진도아리랑, 이어도사나는 각각 1차시로 구성되어 있는데, 보통 1차시에서는 환경, 방언, 시김새, 구성음 요소의 활동이고, 2차시에서는 장단과 요소들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재곡별 1차시 작동적 양식으로는 제재곡 노래하기, 선율의 느낌 선으로 나타내기, 사투리 배워보기, 영상적 양식으로는 시김새 카드 활용하여 시김새 연습하기, 관련 영상 감상하고 이야기해보기, 상직적 양식으로는 토리의 구성음, 악보 보면서 노래하기 등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차시 작동적 양식으로는 장단 배우기, 신체표현을 통한 장단 익히기, 장단 밟기를 통한 장단 익히기, 무릎장단 치면서 노래 부르기, 영상적 양식으로는 말붙임새와 시김새 적기, 영상을 보고 비교하기, 상직적 양식으로는 시김새 만들기, 정간보에 장단 그리기, 악보 보면서 시김새 살려 노래하기, 가락 만들기, 노랫말 바꾸기, 모둠별로 발표하기 등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성된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민요 가창 교수·학습 지도안은 음악교육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학교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현직 교사들에게 현장 적합성 검증을 하여 이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지도안의 내용과 구성이 중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며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내용에 적합한 개념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의 인지적 사고를 파악하며 수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교사는 섬세한 피드백을 하며 수업을 진행해야 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지도안의 현장 적용 가능성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통하여 그 지역 토리의 특징적인 부분을 쉽게 이해하고, 토리의 특징을 살려 노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는 다양한 신체표현을 개발하고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가 실제 국악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길 바라면서,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민요 가창 지도안을 통해 학생들이 국악에 재미를 느끼고, 즐기는 태도를 가지 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sic lesson plans for Korean folksong, Minyo singing and learning centered on regional tori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E. Boardman‘s the Theory of Generative Musical Learning. Folk songs contain people’s emotions and life of a specific region. Each region has different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ifferent languages, customs, and natural environments. This is called 'Tori'. In order to properly sing regional folk songs, it is necessary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ori. However, after analyzing 14 music textbooks of Music National Standards (2015 revision), there were insufficient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at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ori.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developed a symbolic system based on various musical experiences using. The theory of generative musical learning and developed eight folk song singing lesson plans composed of practical experiences that can express the feeling of local Tori. The folk songs included in the instructional guide were selected through analyzing 14 junior high music textbooks(2015 revision). The list is composed of folk songs that were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deemed suitable for educational purposes. The folk songs curated by regional tory include the following : Gyeonggi folk songs , Western folk songs , Eastern folk songs , South folk songs , Jeju folk songs The lesson plans consist of a total of eight folk songs, two from Gyeonggi, Western(Seodo), Estern(Dongbu) each and one from Southern(Namdo) and Jeju each. The lesson activities help students understanding local environment, dialect, accent, and tone to sing the folk songs for each region. In addition, the guide includes Shigimse cards, body expression, and tune composition by region in different presentation modes (Enactive, Iconic, Symbolical) used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Tori for singing The instructional plans based on the Theory of Generative Musical Learning was verified by music education experts. Furthermore, the lesson plans were verified by in-service music teachers in order to see on-site suitabil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concept and content of the lesson plans were appropriat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lesson plans induced interest and the educational content was considered suitable. However, it is proposed that the teachers give detailed feedback as they need to grasp the students’ cognitive think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uitability of developed lesson plans for use in school is appropriate. Third, through various musical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ori can be easily understood by students and applied to sing folk songs accordingly.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develop and utilize various body expressions. I hope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help students develop a fun and enjoyable attitude towards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the lesson plans using the Theory of Generative Musical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