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9 Download: 0

특수목적고 졸업생의 문화자본, 사회자본 그리고 계층재생산에 관한 연구

Title
특수목적고 졸업생의 문화자본, 사회자본 그리고 계층재생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Class Reproduction: The Case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uthors
이지원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목적고등학교(이하 ‘특목고’)가 대학 졸업 이후 직업세계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문화자본, 사회자본, 그리고 경제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목고는 교육의 다양성과 수월성에 대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고교다양화 정책 하에 확대되었으나 사교육 유발과 교육기회의 평등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특목고 관련 선행연구는 특목고의 단기적 교육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쳐 있어 특목고 제도가 합축하고 있는 사회구조적 맥락을 포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문화재생산론과 자본 개념에 기반하여 특목고 졸업이 대졸자의 임금, 문화자본, 그리고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목고 졸업은 경력 초기 임금(경제자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특목고 졸업생이 보유한 문화자본은 어떤 양상을 띠는가? 셋째, 특목고 졸업생이 보유한 사회자본은 어떤 양상을 띠는가? 넷째, 특목고 졸업생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은 대졸자의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의 두 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양적 분석에서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여 특목고 졸업이 경력 초기 단계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이때 분석결과의 선택편의를 최대한 보정하기 위해 경향점수를 활용한 인과효과 추정 방식으로, 특목고 졸업의 처치효과를 독립표본 t검정과 회귀모형을 통해 보여주었다. 모형에 따라 특목고 졸업의 처치효과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모든 모형에서 특목고가 임금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이 보고되어, 경력 초기의 임금에 대해 특목고 졸업이 가정배경, 상위대학 진학과는 독립적인 영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질적 분석에서는 외국어고와 과학고 졸업생 14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특목고 졸업생들의 특수성과, 이들이 보유한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특목고 학생들은 전문직 부모 밑에서 유복하게 자랐고, ‘교육특구’ 출신이라는 구별된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학업적 능력 뿐만 아니라 부모의 경제자본을 바탕으로 체화된 문화자본을 보유하고 있다. 특목고 학생들은 학교차원의 전방위적 지원을 받아 상당수가 수시전형으로 명문대로 진학하여, 대학 학력자본도 획득하게 된다. 특목고 학생들의 특수성은 졸업 이후에 개개인의 우수한 능력을 상징하는 제도화된 문화자본으로 전환된다. ‘좋은 학교’를 나온 엘리트라는 특목고 졸업생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에서는 장학금과 같은 기회를, 직장에서는 면접에서부터 타지원자에 비해 더 많은 관심을 받을 뿐만 아니라 상급자의 높은 기대치에 걸맞은 업무 기회가 주어져서 동료에 비해 좋은 성과를 내기에 유리한 조건을 보유하게 된다. 특목고 졸업생들이 보유하고 있는 사회자본은 과거 ‘명문고’ 학연과 유사한 배타적 이익집단의 모습을 보였다. 특목고는 가정배경이 비슷한 학생들이 모여 동질적인 집단을 형성하는 곳이며 졸업 후 특목고 동문 연결망은 소수의 특권적 지위를 가진 집단으로써 연줄이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특목고 졸업생들은 고등학교 동문 커뮤니티를 본인의 학력 및 경력에 대한 준거집단으로 삼고 있어, 특목고의 사회자본은 대학 졸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강화된다. 본 연구는 특목고가 경력 초기 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형태로 이후의 삶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특목고 졸업생이 보유한 제도화된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서열화된 고교체제의 상징적 폭력을 통해 정당한 것으로 여겨지며 결과적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재생산하는 사회적·문화적 결과를 낳았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특목고에 대한 통념을 경험적 자료로 확인하고자 했으며,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부르디외의 이론적 틀 안에서 해석함으로써 특목고가 한국 사회에서 가지는 함의를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on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in the context of recent college graduates.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have expanded in number under th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to meet the demand for diverse and elite education.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re being criticized for causing excessive private tutoring and therefore undermining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Prior research on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re limited to short-term educational effects, which poses a difficulty in considering the complex structural context embedded in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Drawing on Bourdieu’s cultural reproduction theor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mpact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on college graduates' wages,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on wage (economic capital) in early stages of college graduates’ career? Second, how is the cultural capital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graduates formed or cultivated? Third, how is the social capital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graduates formed or cultivated? Fourth, how does the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graduates affect the transition process into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ng college?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GOMS(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is used to estimate the impact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on wage for college graduates. To adjust for selection bias, propensity score methods and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draw a causal inference. Specifically, the treatment effect was estimated with independent t-test, a covariate adjustment model, and a matched sample model. Although results slightly vary, the treatment effect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was reported in all models, showing that graduating from a special purpose high school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early career wage net of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university prestige. In the qualitative analysis, 14 in-depth interviews o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nd science high schools were conducted to take a closer look on the formation and cultivation of their cultural and social capital.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graduates and their cultural and social capital. Special purpose high school students are generally from neighborhoods that are famous for educational enthusiasm, and have parents with high socio-economic status. Moreover, they possess embodied state of cultural capital based on the economic capital of their parents, thus having a distinctive cultural taste. With the all-round support at the school level, many of them enter prestigious universities using a special admission process that are de facto designed in favor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students is converted to cultural capital in the institutionalized state, symbolizing the excellence of the individual. The general perception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graduates illustrates a well-rounded elite. Based on this perception they are given more opportunities in college such as scholarships. Not only do they get more attention than other applicants during job interviews, but they also get advanced work opportunities that meet the high expectations of their superiors in the workplace. As a result, they perform better than their peers at school and at work and obtain a higher status because of their accumulative advantages. The social capital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graduates resembles school ties of elite high schools in the past.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work as a sorting mechanism that systematically pools students with similar family background, forming a homogeneous group. Their alumni networks have an identity of a the privileged few. In addition, their alumni networks work as a reference group, motivating its members to aim higher in their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attainment. This mechanism strengthens their school ties and enables their social capital to be maintained reinforced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This study shows that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work as a sorting mechanism that also cultivates their cultural and social capital, resulting in a significant long-term effect on their wage and status in society. This study argues that the institutionalized state of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graduates is justified through the symbolic violence exercised by the current stratified high school system, resulting in the social and cultural reproduction of socioeconomic stat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long-term implications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in the Korean context, by identifying the specific mechanisms using Bourdieu’s theoretical frame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