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2 Download: 0

Top-Down Cognitive Process in Music Emotion Regulation

Title
Top-Down Cognitive Process in Music Emotion Regulation
Other Titles
음악 정서조절의 인지적 과정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Emotion regulation (ER) has been proposed as a significant factor in mental health and psychopathology. Accordingly, ER studies in various research fields have increased over time. A myriad of studies has reported music as an effective means for inducing various emotions. Emotions can be induced depending on the intrinsic and/or extrinsic features of the music and the listener. including attributes of the listener and how they perceive characteristics of the associated information and cognitive processes of the music.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both mechanisms work in conjunction. Intrinsic musical features express specific emotion-related qualities, such as valence and arousal, that are generally transferred to all listeners uniformly, whereas extrinsic musical features are interpreted differently by listeners depending up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further affects cognitive processes during music. Hence, music-induced emotions are processed by automatic bottom-up processes that are largely affected by intrinsic musical features and top-down cognitive processes. Along with the increased interest in ER, studies on music for ER have rapidly expanded as well. Despite growing interest in and appreciation for the role of music in ER, the research remains limited in terms of providing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regulatory mechanism involved. More research is needed regarding the top-down cognitive processes that are a distinctive feature of ER so that a framework may be developed for clinical applications with clients with emotional and/or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us, in the current study, I aimed to examine whether musical valence and musical arousal in terms of intrinsic musical features affected cognitive ER processing during music listening (ML). Also examined were the complex music ER process associated with intrinsic musical featur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presumably affect extrinsic musical features. For this purpose, a survey experiment was conducted comprised of four ML tasks with music excerpt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musical valence and musical arousal. Each task involved four music conditions: (a) positive valence- high arousal (PvHa), positive valence-low arousal (PvLa), negative valence-low arousal (NvLa), and negative valence-high arousal (NvHa). In each music condition, responses, including emotional responses, cognitive ER ratings, perceived emotions to music, and music appraisals, were collected. In addition, a musical background questionnaire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s (i.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 [DASS-21]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were administe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variables on cognitive ER processes. Data analysis procedures were carried out as follow: (a) repeated measures ANOVA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ER and other responses among music conditions, (b) linear mixed model to examine the main effect of musical valence and arousal, (c) linear mixed model to examine the main effect of psychological variables on cognitive ER processes, and (d) linear mixed model to investigate the main effect of evaluative cognitive music ER process on ER outcomes. This study produced three main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an cognitive ER scores, including evaluation and regulation, among all music conditions. Second, the multipl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PvLa had significantly higher ER ratings among all components. Third, differences in emotional responses, perceived emotion in music, and music appraisal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all of the music conditions. The second part of the results confirmed differential effects of musical valence and arousal on cognitive ER. Musical arousal show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evaluation, indicating that cognitive reflection of emotions is facilitated more by low- arousal music. The results suggest that music with slow tempo and low register may facilitate conscious emotional reflections. In terms of regulation, as ER outcome, both musical valence and arousal 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Moreover,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musical valence and arousal was also shown. The results indicate that positive musical valence and low musical arousal may lead to increased ER outcome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usical valence and arousal indicates that lower musical arousal combined with positive musical valence increases positive ER outcomes. The results suggest that music with major tonality and slow tempo can facilitate positive ER outcomes. In the third part of the study, I investigated the main effect of psychological variables in terms of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difficulties in ER on cognitive ER. For -evaluation, stress and anxiety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main effect, whereas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main effect. Only anxie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main effect on regulation, suggesting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anxiety levels may benefit from music for positive ER outcomes. Finally, study resul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main effect of emotional evaluation on regulated emotion, suggesting that conscious and reflective ER processes induced by music can consequently lead to positive ER outcomes. The current study confirms that music can serve as an effective medium for facilitating ER. The result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selecting music and identifying ER targets in line with specific therapeutic objectives. Different results on the effect of musical valence and musical arousal on ER show that music selections are critical and differ depending on the therapeutic objective.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facilitate emotional evaluation and conscious reflections, music with slow tempo and low register is beneficial, and major tonality is important for positive ER outcome. This study sought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whether musical valence and arousal affected cognitive music ER processes incorporating various aspects related to music ER. The novel approach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nature of music ER and provides evidence for clinical use. The study provides a guideline for music selection depending on the therapeutic goals for processing of emotions.;최근 정신건강과 정신병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서조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음악이 효과적으로 정서를 유도 및 정서를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가 선행연구에서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 음악이 정서를 유도하는 기제는 크게 음악의 내적 요인, 즉 음악이 지는 요소적 특성과 개인특성 및 음악과 관련된 외부 정보 및 인지적 기제 등을 포함한 음악 외적요인에 의한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보고된다. 이렇게 음악에 의해 유도된 정서는 음악에 대한 인지적 처리과정을 통한 하향식(top-down)과 음악의 요소적 특성에 따른 자동적 상향식(bottom-up)과정에 의해 처리된다. 음악의 정서조절 기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그 중요성이 부각되며 다양한 관련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음악감상 시의 통합적인 정서조절 기제를 살펴보기엔 선행 근거연구가 제한적인 실정이다. 특히 심리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내담자를 위한 임상적용을 위해서는 정서조절이 지닌 일반 정서와 가장 구별된 상향식 인지적 과정과 음악의 요소 및 정서적 특성이 정서를 유도하는 기제를 고려한 근거 제시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의 요소에서 표현된 정서수준과 각성수준이 인지적 정서조절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따른 정서 반응, 음악에서 인식된 정서, 음악에 대한 평가적 측면에 더하여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음악감상 시 인지적 정서조절 특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에 음악감상 과제를 포함하는 온라인 실험 설문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집공고를 통해 모집된 총 21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설문은 기본정보와 음악배경을 묻는 문항과 우울, 불안 스트레스 척도(DASS), 정서조절 곤란척도(DERS)를 포함하였으며, 이후 총 4개의 음악감상 과제가 제시되었다. 4개의 음악은 요소적 특성에 따라 각성수준과 정서수준이 상이한 음악을 제공하였으며 각 음악조건의 세부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긍정정서-고각성; 2)긍정정서-저각성; 3) 부정정서-저각성; 4) 부정정서-고각성. 음악의 순서는 참여자 별로 무작위로 제공되었으며, 참여자는 각 음악 감상 후에는 정서 반응(energy, tension, valence), 인지적 정서조절 항목(정서의 명료성, 수용성, 개선, 유지, 억제), 음악에서 인식된 정서(PANAS-긍정, 부정), 음악인식(친숙도, 복잡성, 선호도)를 작성하였다. 인지적 정서조절 항목은 요인별로 인지적 정서적 평가(evaluation)와 조절된 정서(regulation)로 변수를 생성하였다. 최종 수집된 데이터는 음악 조건 간 인지적 정서조절 점수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음악의 요소에서 표현된 정서가와 각성수준 그리고 심리적 변인이 인지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선형혼합모형(linear mixed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음악을 통한 정서적 평가가 조절된 정서에 미치는 주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선형혼합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음악조건에서 모든 인지적 정서조절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비교 결과 모든 정서조절 요인에서 긍정정서-저각성 음악조건이 인지적 정서조절 점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반응, 음악에서 인식된 정서, 친숙도, 복잡성, 선호도를 포함한 음악 평가 또한 음악 조건 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음악요소에서 표현된 정서와 각성수준이 인지적 정서조절 요인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의 각성수준이 정서의 통찰적 측면과 관련이 있는 정서적 평가 요인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지적 통찰을 유도하기 위해서서는 각성수준이 낮은, 즉 템포가 느린 저음역대의 음악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음악에 의해 조절된 정서에는 음악의 정서가, 각성수준이 모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결과에 제시되었으며, 음악의 정서가와 각성수준의 교호작용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긍정정서 음악과 저각성 음악이 조절된 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저각성 음악은 긍정정서와 결합되었을 때 긍정적 정서조절을 긍정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결과는 템포가 느리며, 저음역대인 장조 조성의 음악이 긍정적 정서조절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 요인에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평가 항목에는 개인의 높은 불안과 스트레스 수준은 인지적 정서조절에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낸 반면, 낮은 우울 수준은 부적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제시되었다. 음악에 의해 조절된 정서에는 불안의 주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높은 불안수준을 가진 감상자 일수록 더 긍정적인 정서조절이 예측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음악에 의한 정서적 평가가 조절된 정서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가 드러났다, 이는 음악에 의해 유도된 정서에 대한 자각과 수용이 긍정적 정서조절로 이어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음악적 요소와 개인적 요소의 영향을 모두 고려하여 음악에 의한 인지적 정서조절 과정을 총체적으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음악이 정서조절에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지하며, 음악치료에서 임상적용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음악의 요소에서 표현된 정서와 각성수준이 인지적 정서조절 과정에 각각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정서조절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음악치료 중재에서 치료 목표에 따른 음악 선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도출된 결과는 정서적 평가와 통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느린 템포의 저음역대 음악을 선곡하는 것이 용이하며, 이가 긍정적 정서조절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장조 조성 선곡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요소에 따른 정서수준과 각성수준이 인지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측면을 통해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같은 새로운 시도는 음악을 통한 정서조절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특정 심리정서적 과정을 촉진할 수 있는 음악중재를 위한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