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문말 억양에 대한 인식 및 산출 연구

Title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문말 억양에 대한 인식 및 산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the Boundary Tone of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Focusing on Sentences Including an Interrogative Word
Authors
Chinzorig, Urtnasan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논문은 몽골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의문사를 포함한 문장의 핵억양에 대한 인식과 산출에 대해서 살펴본 연구이다. 따라서 문말 억양에 의해 결정되는 발화 유형을 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 평서문으로 한정하였으며 모두 일상생활에서 자주 노출되는 일상적인 단문들로 구성하였다. 본고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표준어 구사자인 한국어 모어 화자 16명과 TOPIK 3, 4, 5, 6급을 취득한 중·고급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 16명으로 구성되 었다.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평균 한국어 학습 기간은 3년 2개월이며 한 국 거주 기간은 평균 2년 8개월이다. 현재 모두 한국에서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가 많이 노출되었을 것이며 대학교 생활 및 일상생활을 통해서 한국어 억양에 대해서 높은 이해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 연구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서 기술한 다음 선행 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통해 연구 문제 1, 2, 3을 설정하였다. II 장에서는 한국어와 몽골어의 억양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한국어의 억양 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본고에서 한국어의 억양에 대한 이론들은 이호영(1996)을 따르고 있다. III 장에서는 연구 절차, 연구 참여자, 예비 실험과 분석 방법 등 연구 방법 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IV 장에서는 인식 실험과 산출 실험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V 장에서는 본고에서 진행한 연구 결과에 대해서 요약한 후 결론 및 논의를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 1은 몽골인 학습자가 문말 억양에 따라 발화의 의미 및 기능을 인식할 수 있는지, 연구 문제 2는 학습자가 의문사를 포함한 문장을 억양에 따라 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 평서문으로 산출할 수 있는지 또한 학습자들이 주로 어떤 핵억양 곡선을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문제 3은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숙달도와 발화 유형 간에 상호작용 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학습자들의 인식 및 산출 실험의 평균 점수를 계산한 다음 Mann-Whitney의 U 검정을 통해 숙달도에 따른 분석을 진행했으며, Kruskal-Wallis의 H 검정을 통해 발화 유형별 분석을 했다. 또한 Praat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문말 억양에서 주로 어떤 곡선을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인식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도에 따른 결과에서 중급 학습자 집단의 평균 점수는 6.44, 고급 학습자 집단은 10.56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급 학습자 중에서 TOPIK 3급 학습자들이 가장 낮은 인식률을 보였다. 둘째, 발화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에서 학습자들의 평균 점수는 평서문 > 설명 의문문 > 판정 의문문 순으로 나타났으며 판정 의문문의 평균 점수는 4.5로 다른 발화 유형보다 매우 낮았다. 산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도에 따른 결과에서 중급 학습자 집단의 평균 점수는 6.38, 고급 학습자 집단은 10.63으로 나타났으며 산출 실험에서도 TOPIK 3급 학습자들은 35.24%로 가장 낮은 산출 비율을 보였다. 둘째, 발화 유형에 따른 결과에서 학습자들의 평균 점수는 설명 의문문 > 평 서문 > 판정 의문문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발화 유형 중 판정 의문문의 평균 점수가 4.50으로 나머지 발화 유형에 비해서 매우 낮았다. 또한 학습자들의 핵억양 곡선을 음성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설명 의문문과 판정 의문문의 핵억양으로 높은 수평조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평서문의 핵억양으로 낮은 수 평조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평서문의 핵억양으로 의문 문에서 주로 실현되는 높은 수평조를 사용하는 경우도 비교적 많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숙달도와 발화 유형 간 상호작용이 있는지를 Spearman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학습자의 인식 실험 점수 에 한국어 숙달도와 발화 유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산출 실험 점수에서는 학습자의 숙달도와 평서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상관계수는 50.4%이었다. 나머지 발화 유형은 학 습자의 숙달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험 결과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문말 억양에 따른 발화의 의 미 및 기능을 인식하고 산출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발화 유형 중에서 판정 의문문에 대한 인식 및 산출 능력이 다른 발화 유형보다 비교적 낮았으며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를 듣고 판정 의문문과 설명 의문문을 서로 혼동하는 경우 또한 산출할 때에도 판정 의문문 과 설명 의문문을 구별하지 못하고 같은 핵억양으로 발화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어 학습 기간이 평균 3년 2개월이며 한국 거주 기간이 평균 2년 8개월임에도 불고하고 이런 일상적인 문장의 핵억양을 인식 하고 산출하는 능력이 매우 낮은 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is study focuses on the nuclear intonation of Korean sentences, in which interrogative words are included, and the way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percept and produce them. The types of questions determined by the boundary tone were limited to Yes/No question, Wh-question, and declarative sentence. In addition,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16 Korean-speaking speakers who are fluent in Seoul and 16 middle and high-level Korean learners who have acquired TOPIK 3, 4, 5, and 6 grades. The average Korean language learning period for Mongolian Korean learners is 3 years and 2 months, and the average residence time in Korea is 2 years and 8 months. As a result, Korean and Korean culture have been exposed to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o have high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of Korean accents through daily life and university life.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se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b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done on boundary tone in Korean, research questions 1, 2, and 3 were set. Chapter II serve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Previous research about Korean and Mongolian intonation systems and the acquisition of Korean intonation by learners of Korean are reviewed. And the theory of Korean intonation in this study is based on Lee Ho-young (1996). Chapter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in Chapter IV, and Chapter V describes the conclusions for the study. The purpose of Research Question 1 is to check whether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can recogniz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sentences, in which interrogative words are included, according to the boundary tone. Research Question 2 sets to examine whether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can produce Yes/No questions, Wh-questions, and declarative sentences, which include an interrogative word, depending on the intonation and mainly what nuclear intonation curve they will use. Lastly, Research Question 3 analyzes whether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Mongolian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utterance type. The average scores for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test of Yes/No questions, Wh- questions, and declarative sentences by Mongolian learners were calculated and then analyzed by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n Kruskal-Wallis H test was performed for the type of utterance.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urves that learners mainly use in accents using Praat.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test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intermediate learner group’s average score results were 6.44 points and advanced learner group’s average results were 10.56 points. Among the intermediate learners' group, those possessing TOPIK 3 had the lowest average score. The result according to the utterance type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Mongolian learners of Korea was in the order declarative sentence>Wh-question>Yes/No question.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test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the average score for the intermediate learners is 6.38 points and 10.63 points for the advanced learners. According to the utterance type the average score of the learners was in the order Wh-question>declarative sentence>Yes/No question. Analyzing by the learners’ boundary tone’s curv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produced Wh-questions and Yes/No questions at a higher level, while the declarative sentences were produced at a low level. However, it was relatively common for learners to produce declarative sentences at a high level. Lastly, the Spearman test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the utterance type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the declarative sentence type, correlation coefficient being 50.4%.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Yes/No questions and Wh-quest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n Korea. Although their average Korean learning period is 3 years and 2 months, and their average residence period in Korea is 2 years and 8 months it was confirmed that they barely could recognize and produce the different types of sentences in Korean accordingly to the boundary t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