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한국 문화 함축 이해 연구

Title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한국 문화 함축 이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mplications of Korean Advanced Learners
Authors
김솜이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한국 문화 함축 이해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가장 주목하고 있다. 의사소통의 시작은 상대방의 발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발화의 표면적인 의미에서 나아가 내재된 의미, 즉 함축을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함축은 보편성을 가지고 있어 그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언어권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문화적 특성 역시 포함하기 때문에 해당 언어와 문화적 배경을 알지 못한다면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어 대화 상황에서도 역시 한국 문화에서 비롯된 함축이 나타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언어 교육의 도구로만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문화 교육에서 얻은 선언적 지식으로 실제 문화 함축을 이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경우 중급 이상의 한국어 교육을 수료하여 한국 문화 지식 역시 중급 이상의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Grice의 함축 이론을 바탕으로 대화 함축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한국 문화 교육, 한국 문화의 구성과 개념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교육의 범주에서 문화의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권오량(1987)을 참고하여 ‘문화 함축’의 용어를 정리하였다. 함축 이해와 관련한 선행 연구의 경우 격률의 위반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한국 문화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를 찾기 어려웠다. 본실험에 앞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총 두 번의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의 문화 함축을 정리하였다. 인식조사는 주제에 따른 단답형 설문과 선정된 한국 문화 및 가치관에 동의하는 정도를 선택하는 설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식조사를 통해 선정된 48개의 한국 문화 명제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 함축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다양한 국적의 한국어 고급 학습자 각각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한국 문화 함축 이해 설문을 t-검정을 사용하여 확인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정한 문화 유형 중 ‘행위 문화’와 ‘정신 문화’에 대한 문항을 ‘문화 산물’유형보다 더 어려워하는 경향을 보였다.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한 결과 한국 문화 함축 이해와 한국 거주 기간은 상관성이 없었으며 학습자의 수준 역시 유의미한 상관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는 거주 기간과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 이외의 다른 요인이 문화 함축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함축 연구에서 제시됐던 사회문화적 함축에 관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오랫동안 공부한 학습자들임에도 불구하고 문화 함축 이해에서는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한국 거주 기간이 길고 한국어 능력 시험의 급수가 높은 학습자들도 문화 함축의 이해에 어려움이 있어 문화 함축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 학습자의 숙달도에 대한 정확성이 부족하였으며 학습자 집단의 실험 참여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문화적 배경지식의 여부와 오답 선택의 확실한 이유를 알 수 없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여 함축 이해 및 문화 이해 연구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al implications of advanced Korean learners. Current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s most o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The beginning of communication is to understand the other person's speech. In the context of conversation, one needs to go beyond the superficial meaning of the speech and understand the underlying meaning, the implication. Implications have universality, so they differ by that degree, but they can be found in most languages. However, since it also includes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f one does not know the background of the culture. Even in Korean conversation situations, implications from Korean culture can also emerge. Although Korean cultur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tends to be considered only a tool for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confirm that the declarative knowledge gained from Korean culture education can understand the actual cultural implications. In particular,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re expected to have completed intermediate or higher lev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that their knowledge of Korean culture is also expected to be intermediate level or higher. To confirm this, we first looked at the conversational implicature based on Grace's implication theory and confirmed the composition and concep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The concept of culture was summarized in the categ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term 'cultural implication' was compiled by referring to Kwon Oh-ryang (1987). Prior to the main experiment, a total of two perception survey were conducted on Koreans to summarize the implications of Korean culture. Based on 48 Korean cultural propositions selected through the perception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create a survey on the implications of Korean cultur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2 Korean Native Speakers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of various national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program. After checking the understanding survey of Korean culture connotations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advanced learners using the t-te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connotation and the length of Korean residence were not related, and the level of learners also fou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his suggests that factors other than the length of residence and the learner's Korean level affect understanding of cultural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udy of socio-cultural connotation that was presented in the implication study. Although they have studied Korean for a long time at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they have shown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cultural implications. Even learners with a long residence period in Korea and a high-level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were also able to identify the need for culture implication education due to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cultural implications.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is study. The accuracy of learners' proficiency was insufficient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group of learners was insufficient. Also, it was not known whether there was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or a clear reason for choosing the wrong answer. Subsequent studies hope to improve these limitations and contribute to the study of connotation and cultural understand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