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조사연속구성 교육내용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조사연속구성 교육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ducation Content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Authors
WANG, DANDAN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tatu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which is an integrated combination between Korean particles, in Chinese university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nd to provid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for Chinese learners.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are very complicated because they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ccording to certain rules. Among Korean grammar education targeting foreigners, education on particles has alway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however, related studies have mainly put emphasis on a single particle. Thu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In everyday life, Koreans grasp the grammatical meaning of the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and use them appropriately and naturally in the context, while foreign Korean learners cannot use them smoothly without special education or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prepared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to enable more accurate and rich expressions for foreign learner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type, and combination rule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and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Subsequently, this study presented the items and frequency of occurrence and presentation of the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of the four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and “Ewha Korean”, and “Korean” and “Basic/Advanced Korean” published in China, and then analyzed the reflection patterns in two aspects of the contents. Chapter Ⅲ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three universities in Hebei, China.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education at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three universities in Hebei, China, this study surveyed Chinese learners about the recognition and usage pattern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and conducted interview surveys with Chinese Korean teachers. A survey of 155 Chinese learners showed that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are useful in learning Korean, however,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y learning them.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ing contents of the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e teaching contents of the teachers'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during the class,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not fully satisfactory. According to the interviews with the nine Chinese teachers, Korean language combinations training courses in the three departments' Korean language courses were absent, which suggested the necessity of additional education. Since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are not treated as general grammar items, a general education method was used to briefly explain the basic idea and present examples to students, so that various practice activities were not perform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it was necessary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that present a practical list of educational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for each grade and a combination rule and order between partic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education by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Chinese universities, the educational list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for Chinese learners was selected. Afterwards, priority was set and item description plan was proposed. In selecting the educational list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literature review of this study established four criteria: frequency, scope, practicality, and educational value. Through an eclectic approach, a list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for education was selected primarily from three types of materials: Sejong octopus and colloquial corpus in the 21st century, 6 textbooks from Korea and China, and 10 questions from the Korean Proficiency Test. Next, this study requested a second evaluation from each of five Korean and Chinese teachers and finally confirmed 66 item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for education. For these 66 item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for education, first, the grades presented in the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questions were first checked, and then primary grad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frequency of use, difficulty, and ease of learning. The primary judged ratings were reviewed on the basis of a second rating to 10 Korean and Chinese experts. Finally, the educational list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by grade was finalized. Considering that textbooks do not provide enough grammar information for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the literature review of this study established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description for Chinese learners and created a framework for description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description. Using the four items, ‘ngesonun’‘ngegeynun’‘gwanun’ and ‘man-eurodo’ as examples, the examples applied to the framework of the description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were presented.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o pursue the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item description plan for practical and effective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The educational list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selected 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list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by grade, and the framework of developed item description can help Chinese learners understand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use the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studies of Korean particle combinations for foreign learners and to the proactive communications between foreign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본 연구는 한국어 조사끼리의 통합된 구성, 즉 조사연속구성에 초점을 맞춰 중국 대학 한국어과의 조사연속구성에 관한 교육 실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조사연속구성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조사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 통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문법 교육 중에 조사에 대한 교육은 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주로 단일 조사에 집중되어 조사연속구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상생활에서 한국인은 조사연속구성의 문법적 의미를 파악하여 맥락에 맞게 적절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하지만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특별한 교육이나 연습 없이는 원활한 조사 활용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의 더 정확하고 풍부한 조사 표현이 가능하도록 실용적인 조사연속구성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먼저 조사연속구성의 개념, 유형 그리고 결합 규칙과 관련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조사연속구성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한국에서 출판된 『서울대 한국어』와 『이화 한국어』,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와 『기초/고급 한국어』4종 교재에서 조사연속구성의 출현 항목과 출현 빈도, 제시 방식과 제시 내용의 두 가지 측면에서 반영 양상을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중국 하북성 3개 대학 한국어과의 조사연속구성 교육 실태를 파악하였다. 중국 하북성 3개 대학 한국어과의 조사연속구성 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연속구성에 대한 인식과 사용 양상에 대해 설문하고, 중국인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국인 학습자 15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조사연속구성은 한국어 학습에서 유용하나 중국인 학습자가 이를 익히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재에 제시된 조사연속구성의 교육 내용과 수업 시간 중 교사의 조사연속구성에 대한 강의 내용, 교수 방법 및 교육 효과에 대해 만족도가 높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교사 9명에 대한 인터뷰 조사 결과, 먼저 3개 대학 한국어과의 교육 과정에 조사연속구성 교육 내용이 부재해 이에 대한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가 많았다. 조사연속구성은 일반 문법 항목처럼 취급하지 않아 기본적인 의미를 간단하게 설명한 후 학생들에게 예문을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교육방식으로 활용되어, 다양한 연습 활동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사연속구성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용적인 등급별 교육용 조사연속구성 목록과 조사끼리의 결합 규칙과 순서 등을 제시하는 학습 자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중국 대학 한국어과 조사연속구성 교육 실태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조사연속구성 목록을 선정한 후 위계를 설정하고 항목 기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용 조사연속구성의 목록을 선정함에 있어 문헌 연구 검토를 통해 빈도, 범위, 실용성, 교육적 가치 네 가지 기준을 설정하고 절충적 방법으로 21세기 세종 문어와 구어 말뭉치, 한국과 중국의 6종 교재, 10회의 한국어능력시험 기출문제 3종 자료에서 일차적으로 교육용 조사연속구성 목록을 선정하였다. 이어서 한국인과 중국인 교사 각 5명에게 2차 평정을 요청하여 두 차례에 걸쳐 최종적으로 66개의 교육용 조사연속구성 항목을 확정하였다. 이 66개의 교육용 조사연속구성 항목에 대해 먼저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 기출문제에서 제시하는 등급을 확인한 뒤 사용 빈도, 난이도, 학습용이성의 기준에 따라 일차적으로 등급화를 실시하였다. 일차적으로 판정된 등급을 한국인과 중국인 전문가 10명에게 2차 평정을 청하여 결과를 재검토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등급별 교육용 조사연속구성 목록을 확정하였다. 교재가 조사연속구성의 문법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조사연속구성 항목 기술의 원칙과 방법을 설정하고 조사연속구성 항목 기술의 틀을 만들어 보았다. 또한‘에서는’과 ‘에게는’,‘과는’과 ‘만으로도’의 네 항목을 실례로 들어 조사연속구성 항목 기술의 틀에 적용한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조사연속구성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조사연속구성 항목 기술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교육용 조사연속구성 목록, 제시한 등급별 교육용 조사연속구성 목록, 개발된 항목 기술의 틀은 중국인 학습자가 조사연속구성을 이해하고 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조사연속구성과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바라며 이를 통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원어민의 진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