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5 Download: 0

가족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모성담론 경합

Title
가족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모성담론 경합
Other Titles
Korean Family-Reality TV and the Competing discourses of Motherhood
Authors
강혜원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훈순
Abstract
Today, reality programs try to improve the lives of people based on social myths. In Korea, a family reality program, in which an entertainer 's family appears in an attempt to find solutions to family problems, is becoming popular. The family reality program in Korea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eeking social behavior style by introducing the person who experiences the passage ritual such as marriage,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childcare as the protagonist. The reason why the poisonous family reality program is popular in Korea is because the family structure in the Korean society has changed rapidly in the history of Korea. Therefore, in this program, the meaning production mechanism (Hall, 2013) of the family reality program was analyzed through the narrative analysis of the reality program in which the mother of the elderly and the mother of the middle age were the main characters and the aspect of the maternal discourse in Korea was examined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BS < Rewriting childhood diary> was the theme of the conflict between middle - aged and unmarried males who are inexperienced in housework and care from the perspective of sacrificial traditional mothers. It was a message that the lack of a son who is in the enjoyment of the consumer culture can be resolved by finding a spouse. The TV series "What My Mother Is", dealing with middle-aged motherhood and growing children, dealt with the process of trying to be a good mother and a working mom who is tired of the lyric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mother is responsibl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family, I discussed the mothers' efforts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and to fulfill various responsibilities such a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deal maternal awards that other generation women in both programs thought. Since older women grew up in a time when women were allowed only their mother's identity, the success and stability of their children were prioritizing their desires. However, middle-aged women emphasized both the self-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their own self-realization, and their desire for affection. Families appearing in the SBS have taken for granted that old-age women give care and housework for adult me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values of gender division of labor, but the main characters of TVchosun And to distribute it. The influence of consumer culture in the post – capitalist era was observed in common, but the attitude toward the enjoyment and the consumption culture differed by generation and gender. Older women were in a state of conservation and austere life, but middle – aged men were enjoying improvised consumerism for various hobbies and commercial celebrations. Middle-aged women were being asked to wisely consume home care, various decorations, and educational products for their children. Young people grew up in a rich consumer culture and relied on the consumption industry as a whole for hobbies, leisure, and learning, Instead of enjoying their identity as a consumer, they expressed depression and anxiety due to the pressure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job market. In conclusion, the two reality programs functioned as television cultural forums on family issues (Newcomb & Hirsch, 1983). The reality program utilizes CCTV and interview techniques to show the daily life of actual characters, not the characters of the process, so that the social reality faced by various generations of Korean society is reflected vividly. However, looking at the in-depth structure of the format, it has been found that the solution is delayed by simply displaying it rather than resolving the conflict. Although the conflicts surrounding the sex role in the family of the second generation have been visualized, they have produced a message that they can be solved by the efforts of women. In the end, the old mother naturalized the new maternal obligation to carry out housework until her son was married, and the middle-class households carried out intensive maternal practice (Hays, 1996) with emotional and economic resources As a result, there was a variety of moments in the daily life of the performers who were exposed in the program, and there was a lot of competition with ideal maternal practice. However, due to the fraud of the reality program, It was only used to create a dramatic conflict structure within the program by mobilizing the motherhood prize. It failed to approve the new form of maternal practice socially or to suggest an alternative maternal practice form. In other words, the reality program, which is based on the family problem, involves the family conflicts as a part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consumes them commercially. Therefore, instead of suggesting alternatives to the traditional family order, And the contention of maternal discourse was reproduced in the direction. While the reality program positively discusses family issues, it requires a critical discussion on the reality program climate that consumes social problems commercially. On the other hand, the reality program, which is an entertainmen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need for an abundant follow-up discussion on whether or not it can be solved.;오늘날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출연자의 삶을 개선한다는 명목으로 심리 변화를 유도하거나, 외모나 생활습관 개조(make-over)를 권유하며(Weber, 2009), 사회적 통념에 관한 실험을 시도한다(Deery, 2015).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통념을 기초로 하는 만큼, 사회문화적 소구력이 중요한 장르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예인들의 적극적인 ‘자발적 상품화’(Andrejevic, 2004)와 맞물려 실제연예인가족을 배경으로 한국사회의 가족문제의 해법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지고 있음에 주목했다. 가족리얼리티프로그램이 범람하는 것은 가족구조가 급변함에 따라 한국사회의 높은 가족의존도와 세대 및 젠더 간의 가족 관념의 격차로 인해 가족 규범을 재창안해야하는 현실적 요구가 대중매체를 통해 표출되는 현상으로 보았다. 한국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배우자 탐색이나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 등의 통과의례를 경험하는 다종다양한 인물상을 포착하고 행동규범을 모색하는 장르로 자리잡음에 따라, 구체적인 의미생산매커니즘(Hall, 2013)을 규명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이며, 서로 다른 세대의 모자관계를 다루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서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모성담론의 경합을 재현하는 양상을 고찰했다. 이를 토대로 실제 가족의 일상에 개입하는 가족리얼리티프로그램의 실험을 통해 전통적인 한국의 성역할규범을 넘어서는 새로운 모성담론이 제시되고 있는지 검토해보았다. 나아가, 오락물인 가족리얼리티 프로그램이 갖는 문화적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을 가늠해보았다. 분석결과, 노년의 모성과 중년의 자녀관계을 다룬 SBS<미운우리새끼; 다시 쓰는 육아일기>는 희생적인 전통적 어머니의 관점에서 가사와 돌봄에 미숙한 중년 비혼남성의 일탈적인 라이프스타일을 관찰하는 포맷을 견지함으로써, 자녀들의 일상의 결핍을 배우자를 탐색하는 것으로 극복하고자하는 이야기구조를 채택하고 있었다. 중년의 모성과 성장기 자녀를 다룬 TV조선<엄마가 뭐길래>는 오랜 경제활동으로 인해 자녀와 관계가 소원해졌거나, 가사에 서툰 싱글맘이나 워킹맘을 내세워 좋은 엄마가 되고자 노력하는 과정을 조명한다. 매회 자녀의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모자간의 유대를 증진하는 것 등 새로운 과제가 주어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상적인 모성실천의 모습을 고민하는 엄마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나아가 두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여성들 간에는 세대 별로 가치관의 차이뿐 아니라, 생애 주기에 따른 모자관계의 양상과 주요 책무의 차이가 있었다. 여성에게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가장 강조된 산업화시기 전업주부의 이상을 내재화한 노년의 여성들은 자녀의 성공과 안정을 본인의 욕망실현보다 우선시하고 있었지만, 중년여성들은 자녀의 자기계발과 본인의 자아실현과 애정욕구 등을 모두 중요시했다. <미운우리새끼>에서 모자관계가 전통적 성역할에 기반하여 구축되어 노년기 여성이 성인 남성에게 연장된 돌봄의 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면, <엄마가 뭐길래>의 중년여성들은 남편에게 가사분담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후기자본주의시대 소비문화의 영향은 공통적으로 관찰되었으나, 향유하는 양상이나 소비문화에 대한 태도는 세대와 젠더별로 상이했다. 노년 여성들은 절약과 금욕적인 생활태도가 몸에 베어있었지만, 중년 남성들은 다양한 취미활동과 상업적 기념의례 등을 위한 즉흥적 소비생활을 즐기고 있었다. 중년 여성들은 가정 유지와 다양한 꾸밈, 자녀를 위한 교육상품등을 현명하게 소비할 것을 요구받고 있었으며, 청소년들은 풍요로운 소비문화 속에 성장하여 취미와 여가, 학습 등 생활의 전반을 소비산업에 의지하고 있었지만, 소비자로서의 정체성을 즐기기보다 직업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대한 압박으로 우울과 불안을 토로했다. 결론적으로 두 프로그램의 재현양상이 갖는 함의를 텔레비전의 문화적공론장(cultural forum) 역할에 견주어 볼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이 도출되었다. 텔레비전의 문화적공론장 역할은 장르관습에 따라 양상이 달라지는데(Newcomb & Hirsch, 1983), 두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는 제한된 포맷에 의지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의미생산매커니즘(Hall, 2013)으로 인한 특징과 한계가 분명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가족과 모성책무에 관한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상충하는 가치관들을 조밀하게 담아낸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여줬다. CCTV와 인터뷰기법 등을 활용해 가공의 캐릭터가 아닌 실제인물들의 일상을 밀착해서 보여줌으로써, 오늘날 한국 사회의 다양한 세대가 직면한 사회적 현실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었다. 하지만, 이처럼 가족구조가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인 갈등을 가시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갈등을 해결하기보다 매회 반복되는 서사구조를 통해 전시하면서 해결을 유예하는 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다. 가족문제를 공론화하고 있지만 세대 차이나 가족 내의 성역할을 둘러싼 갈등에 대해서도 구조적인 원인을 분석하기보다는 개인에게 책임을 돌리고 모성의 책무를 연장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갈등을 봉합하고 있었다. 노년의 여성이 비혼 자녀로 인해 돌봄 책무가 연장되는 현실을 자연화하고, 중산층 가정의 중년 여성이 정서적, 경제적 자원을 총동원해 수행하는 집약적모성실천(Hays, 1996)을 이상적인 목표로서 제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프로그램에서 공개된 출연자들의 일상에서 기존의 통념에서 벗어나는 모성상이 다양하게 보여졌고, 이상적인 모성실천의 양상을 둔 경합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었으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기제로 인해 개성적인 모성실천의 양상들을 이상적인 기준을 토대로 평가하고, 일탈적으로 규정하면서 프로그램 안에서 극적인 갈등구조를 만드는 데 동원하고 있었다. 그로인해 새로운 형태의 모성실천을 사회적으로 승인하거나, 대안적인 모성실천양식을 제안하는 데에는 실패하고 있었다. 즉, 가족문제를 소재로 삼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가족 갈등을 오락프로그램의 소재로 포섭하여 상업적으로 소비하는 데 그침에 따라 기존의 전통적 가족질서에 대한 성찰이나 대안을 제시하기보다는 정형화된 모성신화를 재생산하는 방향으로 모성담론의 경합을 재현하고 있었다. 한편, 두 프로그램에서 인물간의 관계가 개선되는 양상은 구체적인 포맷에 따라 달라졌다. 따라서, 개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포맷이 담지하는 의미와 의미를 생산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한 풍부한 후속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오락물인 리얼리티프로그램이 가족문제를 적극적으로 소재로 포섭하는 상황에서 사회적인 문제를 상업적으로 소비하는 상업방송 풍토에 관한 비판적 논의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