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6 Download: 0

1인 가구 식문화 개선을 위한 소셜 플랫폼 서비스디자인

Title
1인 가구 식문화 개선을 위한 소셜 플랫폼 서비스디자인
Other Titles
Design of Social Franchising Platforms for Single Households Based on Service Design Methodology
Authors
한소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서비스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오늘날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 국민 4명 중 1명은 혼자 생활을 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바쁜 업무와 학업 등으로 식사를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혼자 사는 데서 오는 외로움과 우울증을 겪고있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렇듯 가족공동체의 해체로 인한 인간관계의 단절 현상은, 음식을 함께 먹으면서 가족의 정을 느꼈던 과거에 대한 향수를 불러 일으켰고, 이로 인해 1인 가구가 느끼는 외로움과 가족의 그리움에 대한 욕구를 간접적으로나마 충족시킬 수 있는 ‘집밥 열풍’, ‘소셜다이닝’과 같은 사회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1인 가구들을 위한 다양한 소셜 서비스의 출현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1인 가구의 불규칙적이고 건강하지 못한 식문화 개선을 위한 서비스가 특히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들의 식생활 조사, 분석을 통해 내재된 “식사”에 대한 니즈를 파악하고, 그들의 니즈와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여 1인 가구의 식문화를 개선하고 사회,경제, 문화적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소셜 플랫폼의 비즈니스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부터 1인 가구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기준 500만 가구가 혼자 생활을 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가구수의 27%를 차지 한다. 1인 가구들 중 청년층 식생활을 조사, 분석한 결과 청년층 대부분이 하루 세 끼 중 두 끼만 먹는다고 응답하였고, 심지어 그 두 끼의 식사도 집밥이 아닌 외식을 한다는 응답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청년층 라이프스타일 설문조사 결과 같은 고민을 공유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친구를 원하는 청년들이 전체의 72% 이상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청년들의 가장 큰 고민은 식사도, 친구도 아닌 취업과 미래에 대한 걱정이었다. 대한민국의 청년 실업률은 10%에 달하고 있으며 결혼, 임신, 육아 때문에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의 비중도 22%나 된다고 한다. 위와 같은 문제가 비단 1인 가구만의 것은 아니지만, 혼자 살기 때문에 더 큰 부담과 걱정으로 다가오는 것은 사실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이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1인 가구의 주거 안정 및 주거 형태에 관한 연구 위주로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는 편이며, 1인 가구의 식생활과 관련된 연구로는 식생활 실태에 관련된 조사나, 1인 가구의 소비패턴을 바탕으로 한 외식업 서비스 방향 연구 등으로 다소 미흡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식생활 및 사회경제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찾고자 한 선행연구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과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바탕으로 각 단계별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Discover 단계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1인 가구의 현황 및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한 결과, 타인과의 소통, 취업, 노후 등의 사회적 문제 해결에 대한 니즈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20~3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20~60대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Cultural Probes를 활용해 1인 가구의 식생활을 조사한 결과, 건강하고 맛있는 집밥에 대한 니즈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efine 단계에서는 Affinity Diagram을 활용하여 앞서 발견된 1인 가구의 문제점을 정의하고, 그들의 니즈를 바탕으로 건강하고 맛있는 집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식당에 대한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Develop단계에서는 1인 가구를 위한 외식 소셜 프랜차이즈 “1好 식탁”의 서비스 컨셉 개발을 위한 Brand Identity 및 비즈니스 전략을 세우고 이해관계자 맵을 통해 각 서비스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관계를 정의하였다. 마지막 Deliver 단계에서는 “1好 식탁”의 서비스 컨셉을 시나리오를 통해 전달하고,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통해 도식화 하였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이용하여 “1好 식탁”의 비즈니스모델을 검토해 봄으로서 실제 사업화를 위한 한계점을 짚어보았다. 본 연구는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사회, 경제, 문화적 문제점을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소셜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1인 가구가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하고 이웃과 소통하며, 취업, 빈곤, 노후 등에 대한 불안을 조금이나마 해소하여 만족도 높은 삶의 경험을 하게 되길 기대한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on the rise; a quarter of the Korean people live alone, and most of them skip meals due to their busy working schedules or studies. Such a growing trend in single people living alone, and hence, experiencing loneliness and depression yields a variety of social issues. The cut-off from human connection by the family break-up has provoked nostalgia for the past when they felt family affection while dining together, which made ‘home food’ all the rage and formed ‘social dining network,’ which partly mitigate loneliness of the single households and longing for their fami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eating-out, social franchising platform as a service model for single-people households to share healthy and enjoyable meals toge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ervice platform aims at providing hope for young people and new opportunities for old people, as well as a chance for coexistence in their community. The approach for this study follows ‘The Double Diamond’ model as a representative service design process. Firstly, in the DISCOVER step, there found various social needs for solving issues, such as absence of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and difficulty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uch as getting a job and providing for old age ),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of the current situation of single-people households and their life styles. The survey of dietary lives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nd the cultural probes into single households in their 20s‒60s deduce the needs for healthy and tasty home food. In the second step of DEFINE, the issues inherent single households are defined by utilizing the Affinity Diagram, and key ideas for restaurants affordable the desired home food are extracted based on their needs. For the DEVELOP step, a new eating-out social franchise called ‘one-love dining table’ is developed and the brand identity and business strategies are established for the service concept design. In addition, the roles and relationship of each service stakeholders are departmentalized through the stakeholders map. In the last DELIVER step, the service concept of ‘one-love dining table’ is described via a scenario and displayed by a service blueprint. Furthermore, expected limits in the commercialization are mentioned by reviewing the business model of ‘one-love dining table’ based on a business model canvas. This study addresses the spread of single households and concomitant various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issues and focuses on searching for appropriate solutions by utilizing a service design methodology. It is expected that the eating-out social franchise platform suggested in this work will contribute partly to healthy dining of single households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neighbor, as well as sustain their life in high satisfaction via alleviating anxiety about getting a job, their later years, and pover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서비스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