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비서의 경력전환을 통한 전환학습에 관한 연구

Title
비서의 경력전환을 통한 전환학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Career Transition of Executive Assistants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윤희
Abstract
본 연구는 비서직에서 다른 직무로 경력전환이 이루어진 비서 경력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그들의 전환학습 과정은 어떠한지 탐구함으로써 경력전환을 고민하는 현직비서에게 생생한 경력개발 조언을 해주고, 기업에는 비서의 인적자원개발 시 참고할 수 있는 실용적인 자료제공, 비서학과 교수님들에게는 학생들의 진학, 취업상담 시 활용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서직에서 다른 직무로 경력전환이 이루어진 연구 참여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비서직에서 다른 직무로 경력전환이 이루어진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학습 과정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질적연구 방법 중 질적 사례연구를 사용하였으며,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내면의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종합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의도적 표본 추출전략과 눈덩이 표집방법(snowball sampling)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로 진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모든 진술은 녹음되었다. 녹음된 내용은 연구자에 의해 전사된 후 연구 참여자로부터 내용의 진위여부를 확인받은 후 Creswell(2005)의 자료 분석 및 해석의 절차를 이용하여 체계적인 정리, 분석 및 해석을 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에서 다른 직무로 경력전환이 이루어진 연구 참여자들의 경력전환 경험은 10명의 연구 참여자 모두 경력전환의 원인이나 과정, 결과에 다양성을 보였다. 본인의 의지로 경력전환을 하는 경우, 회사 시스템에 의해 하는 경우, 상사의 제안으로 경력전환을 하는 경우로 나뉘었다. 둘째, 비서직에서 다른 직무로 경력전환이 이루어진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학습 과정은 모두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 10명 모두 똑같은 모습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어느 단계가 생략되거나 통합되고 또는 반복해서 나타나는 과정을 거치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셋째, 비서직에서 다른 직무로 경력전환을 이루어낸 연구 참여자 10명은 경력전환을 도구적 학습, 의사소통적 학습, 해방적 학습 등을 통해 경력발달로 승화시켰다. 넷째, 비서직에서 다른 직무로 경력전환이 이루어진 10명의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경력전환에 어린 시절부터의 가정환경과 학창시절의 경험, 친구, 지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서의 경력전환에 관한 연구에 전환학습을 적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경력전환을 생각하는 현직비서들이 본 연구의 사례들을 보고 생생한 조언을 얻을 수 있고, 기업에서는 임원이나 인사담당자들이 비서의 인사이동이나 경력전환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지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서학과 교수님들은 학생들의 취업, 경력전환에 관한 현실적인 조언을 이 연구를 통해서 해 줄 수 있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하지만 비서직에서 다른 직무로 경력전환을 이루어낸 비서의 경력전환에 관한 연구가 5년, 10년, 15년 차 등 근무 연차별로 어느 방향으로 어떻게 경력전환을 해나갔는지 구분해서 탐구한다면 주니어, 시니어 비서 후배들에게 상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참여자 중 유독 교육 분야로 경력전환을 한 비서 경력자가 많은데 경력전환이 이렇게 이루어진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알아본다면 그 또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국내기업, 외국계 기업 등 기업소유의 특성에 따라 비서로서 요구되는 업무 능력, 보직변경, 기업문화가 달라 경력전환 과정과 전환 후 바뀐 업무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기에 비서 경력자들이 속한 기업소유를 기준으로 비교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s of executive assistants who switched to other job positions. It explores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to provide career development advice to current executive assistants considering career transitions, practical data that companies can reference for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executive assistants, and a background for secretarial studies professors to be used when advising students on their academics and employmen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to achieve these goals. First, how was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successfully transitioned from secretary jobs to other jobs? Second, how was the transition learning experience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successfully transitioned from secretary jobs to other jobs?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used ou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varied and complex internal phenomena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was aggregated and analyz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with the purposive sampling strategy and snowball sampling and were interviewed for one and a half to two hours at the location and time of their choice. All statements were recorded under the permiss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 The researcher transcribed the recorded contents. Once the research participant confirmed the authenticity of the contents, systematic organiza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as conducted using Creswell’s (2005)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dure. The detailed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10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successfully transitioned from secretarial work to other jobs had different reasons for the career transition, as well as various processes and results during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could be classified as transitioning by their own will, due to the company system, or due to the suggestion of a superior. Second, all participants who have successfully transitioned from secretarial work to other jobs had different transition learning processes. Although processes were not identical for all 10 participants, it is worth nothing that some stages were omitted, integrated, or repeated. Third, the 10 research participants who successfully transitioned to other jobs other than secretaries developed their career transitions to career development through instrumental learning, communicative learning, and emancipatory learning. Fourth, all 10 research participants who successfully transitioned to other jobs other than executive assistants were highly influenced by their family environment from childhood, by their experiences from their school years, by friends, and by acquaintances in terms of their career transi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o apply transformative learning to a research on the career transition of executive assistants. Current executive assistants who are considering career transitions can gain advice from the cases in this research, and managers and human resource managers in companies can also refer to it for the efficient personnel transfers and career transitions of secretaries.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practical significance as professors of secretarial studies can give realistic advice using this research regarding employment and career transition to their students. However, if research on the career transition of secretaries who have successfully transitioned to other jobs other than secretaries is explored by differentiating the directions of the career transitions by the years of secretary work experience i.e. 5 years, 10 years, 15 years, etc.,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more a detailed methodology to junior and senior secretaries. In addition, as there were especially a lot of people amo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transitioned to the education field from being secretaries, and it will be significant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special reason for this phenomen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lot of differences after the secretaries go through career transition and after going through career transition in terms of the required work abilities, change of assignment, corporate cultures, etc. based on the corporate ownership (whether the companies are domestic or foreign)s. Therefore, there should be a comparative research based on the corporate ownership of the companies of the secreta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