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4 Download: 0

미디어가 재현하는 공동체 가족과 한국 가족 담론의 재구성

Title
미디어가 재현하는 공동체 가족과 한국 가족 담론의 재구성
Other Titles
Transformational Reconstruction of Family Discourse in Korea : An Analysis of Television Documentary Narrative
Authors
김환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훈순
Abstract
오늘날 한국의 가족 담론 내외부에서 목격되는 구조적 변동과 그 결과로서 다양한 사회적 결합의 등장은 오랜 시간 유효했던 ‘가족’의 범주와 정의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는 한편, 타인과의 연대를 지향하는 개인에게는 또 다른 형태의 공동체적 삶을 고민하게 한다. 실제로, 형태상 전통 직계 가족과 근대 핵가족 개념에 포괄되기 어려운, 그러나 기존 가족의 고유의 기능과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비 전형 가족들”의 등장은, 가족의 형태와 개념상 다원성을 지지하며 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근본적인 인식론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근대적 혈연과 법제도의 중심으로부터 이탈한 가족의 모습과 그 상징적 의미, 더 나아가 새로운 가족 담론의 방향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수라는 이해 아래, ‘가족 유연성 담론’이 지지하는 연대 중 하나인 “공동체 가족(community family)”을 한국 가족주의의 특수성 내에서 탐구하고자, 2010년 이후 방영된 TV 다큐멘터리 아홉 편의 서사 및 이데올로기 분석을 진행 했다. “공동체 가족”은 여타의 사회적 결합과는 달리, 형태적·개념적·실질적 차원에서 가장 최전선에 위치한 현상으로, 오늘날 대안적인 삶의 방식이나 현실의 문제를 분담할 실천 가능한 방안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해당 연구는 기존 가족 담론의 한계 및 새로운 방향을 확인하는 동시에, 간학문적 탐구가 요구되는 가족 정책에 직간접적인 자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천적인 연구라 할수 있다. 한편, 전통적으로 미디어는 변화하는 사회 제도를 반영하는 동시에, 재구성된 담론을 대중에게 유포하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렇기에, 영상물에 투사된 가족을 연구하는 것은 가부장제를 중심으로 형성된 한국 가족주의의 균열과 포섭에의 가능성, 새로운 전략의 등장까지 포괄적으로 탐색하고, 그 사회적 영향력까지 가늠해볼 수 있는 효과적인 분석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일차적으로 후기 근대 사회 가족의 특징으로 서구에서 공통 적으로 지적하는 요소들이 한국의 전통 가족 개념과 결합되어 변형된 담론을 확인하고, 이러한 혼종적 가족주의가 다시 국가 정책 및 개인주의의 확산과 맞물려 공동체 가족에 이르기까지, 그 과정과 원인, 현 상황 등을 진단했다. 이후, 담론 구성체로 가족을 이해하는 “가상적 친족(fictive kin)”이론을 차용, “공동체 가족”을 “혈연 혹은 법적 관계를 전제하지 않는 상호 호혜적인 개인들의 지속 가능한 공동체로, 전통 가족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며 구성원들에게 공동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자발적 개인들의 집합”으로 개념화하고, 여러 하위 차원 중이 연구의 정의에 부합하는 ‘상황적 친족(situational kin)’과 ‘자발적 친족 (voluntary kin)’의 두 유형으로 분석 대상을 한정했다. 공동체 가족의 유형별 특징과 정체성, 지배 담론의 세 차원의 연구 문제를 중심 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첫 번째, 다큐멘터리가 재현하는 상황적 친족과 자발적 친족은 구성원과 기능, 핵심 가치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상황적 친족은 특정 지역에서 오랜 세월을 함께 보낸 여성 노인들의 공동체로, 구성원들은 상호간 애정과 신뢰에 기반한 정서적인 자원을 교환했다. 구성원들의 다양한 배경을 허용하는 20, 30대 청년들과 은퇴농장 노인들의 자발적 친족은 세대별 문제와 가치관을 중심으로 결집하며, 기본적인 규칙 및 보상의 전제 아래, 공동체의 경제적 기능과 이점을 중요시했다. 이를 종합해, 여성 노인들은 공통된 희생의 경험 위에 세워진 정(情)과 한, 자녀에 대한 애정을 핵심 가치로 내포한 ‘어머니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청년들과 은퇴농장 노인들은 신자유주의 시대의 세대별 위기에 대응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비롯될 가능성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자발적 친족을 구성하고 있었다. 전술한 공동체 가족의 유형별 차이들은 정체성과 지배 담론에서도 유사하게 목격된다. 상황적 친족은 다큐멘터리 프레임 내외부에서 독립적이고 자발적인 ‘여 성주의적 연대’로 표상됐지만, 실상 이는 가부장제 구조 아래 ‘어머니의 희생’ 위에 구축된 결과이자, 기존 미디어가 재현해온 이미지의 전형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반면, 자발적 친족은 신자유주의의 피해자이자 자기 개발 서사의 주체인 청년들의 개인 차원의 해결책으로 형상화되며, 이러한 정체성으로 인해 공동체가 지닌 잠재적인 가능성-형태상의 유동성, 관계 형성을 통한 다양한 가능성 실천 등-까지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종합하면, 한국 다큐멘터리가 재현하는 공동체 가족의 두 유형은 정상가족 혹은 전통가족 담론의 재생산 및 재구성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여성 노인들의 상황적 친족은 사실상 낭만적인 과거로 소비되는 ‘어머니의 공동체’로, 시대의 담론을 답습하고 유지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었으며, 20, 30대 청년들의 자발적 친족의 기저에는 사회 구조적 차원의 문제를 개인의 책임으로 소급시키는 신자유주의 경제 논리가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청년들의 자발적 친족은 형태상 탈근대의 가능 성을 내포하고 있었지만, 역설적으로 공동체의 가치는 기존 가족의 정상성을 기준 으로 부여되는 등 담론의 복합적 공존이 포착됐으며, 본고에서는 이를 ‘한국 가족 이데올로기의 현대적 변이’로 표현했다. 결국, 상황적 친족에서는 현 사회에 필요한 과거 공동체의 유산이, 자발적 친족에서는 가족의 형태와 개념, 실천적 차원에서 유동성의 징후가 목격됐지만, 여전히 미디어의 프레임은 이들을 정상가족 담론의 일부이자 일탈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 속에서도 분명한 것은, 이미 미디어 공론장에서는 ‘가족’ 을 재현하는 새로운 시도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자율적인 개인들의 합이 공동체적 힘을 발휘하는 다양한 연대들의 모습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더 나아가, 동시대 속 두 현상의 공존은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한국 가족 담론이 후기 근대와 탈근대의 교차지점에 위치하며, 가족을 둘러싼 상징적 기호의 재구성이 진행 중에 있음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이와 같은 해석은 한국 사회에서 가족이 갖는 부동의 지위를 보장하는 것과 동시에, 제도에서 이탈한 개인들의 선택적인 삶도 증가할 것임을 암시한다. 그리고 때마다, 미디어는 두 담론 간의 충돌을 가장 기민하고 날카롭게 영상물로 담아낼 것이다. 이처럼 가족에 대한 수많은 정의가 충돌하는 투쟁의 장에서, 공동체 가족의 존재는 한국 가족 담론의 균열과 재구성의 시작점에 위치한 상징적 징후의 일부일 것이다.;Family discourse in Korea these days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long-valid category of family as a result of structural changes that can be found in and outside of the discourse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social combinations. In the meanwhile, these changes render individuals who seek solidarity with others to contemplate other forms of community life. Indeed, the emergence of “non-typical families” supports the plurality of the family form and concept and requires the public to undergo a fundamental shift in perception: whereas they perform inherent function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of family, these new forms cannot be easily incorporated into the traditional concepts of the direct family and the modern nuclear fami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narrative and ideology inside nine TV documentaries broadcasted after 2010, drawing on the concept of “community family,” which is supported by the family flexibility discour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nique nature of Korean familism in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to identify the appearance of families that are separated from modern blood ties and legal systems and the direction of a new family discourse. Unlike any other form of social bonding, community family is a phenomenon that is located at the forefront of both conceptual and actual form and is nowadays proposed as an alternative way of life or a viable way to share the problems of reality. Given this assumption, this study offers practical suggestions regarding both direct and indirect resources for family policies that require academic insight. At the same time, this study confirms limitations with and new directions for the existing family discourse. Furthermore, media, which reflects the changes in the social system, has traditionally played a pivotal role in spreading reconstructed discourse to the public.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families projected in broadcasting contents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possibility of disintegration and persuasion of Korean familism and the emergence of new strategies, allowing an opportunity to assume the social ramifications of all these factors. This study first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hybridized familism, which is influenced by the elements of the modern family, which are pointed out by the scholars in the West, and the traditional Korean family concept. Also, this study diagnoses the process in line with the spread of national policy and individualism. Drawing on the fictive kin theory that regards the family as a discourse construct, the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community family” as a sustainable community, which consists of mutually reciprocal individuals who do not presuppose blood ties or legal relationships. The analysis focuses on two types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which conform with the definition of situational kin and voluntary kin: “situational kin” and “voluntary kin.” These two types, respectively, are regarded as subjects of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types, the identities of kin, and the dominant discourse concerning the community family. First, the situational kin and the voluntary kin reproduced by the documentari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members, functions, and core values. Situational kin is a community composed of elderly women who have spent many years together in a certain region. Members of this community exchanged emotional resources based on mutual affection and trust. Voluntary kin involves either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or retired elderly people, who have gathered on the common ground of generational concerns and values and put emphasis on the economic function and benefits of the community under a premise of basic rules and rewards. In summary, the elderly women formed a “motherhood community” with affection for Korean children, jung (affection) and han (deep resentment, sorrow) as core values, which was built under the experience of sacrifice. On the other hand, young people and retired farm elders formed a voluntary kinship as a way to respond to the generation-by-generation crisis in the neo-liberalistic era and to obtain various benefits from the communit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community families can be similarly detected inside the dominant discourse. Situational kin was represented as an independent and voluntary form of women’s solidarity within the frame of the documentaries. However, it has limitations in the sense that the situational kin is the result of requiring the “sacrifice of a mother” within Korea’s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which is epitomized by the existing media. Voluntary kin, on the other hand, is construed as a personal-level solution for young people who are victims of neo-liberalism as well as the subjects of a self-development narrative. Due to these aspects of the community, however, it’s potential possibilities, such as formal fluidity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possibilities through relationship formation, has shown a tendency to be reduced. In sum, the two types of community families reproduced in Korean documentaries are the result of the reprod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normal, traditional family discourse. The situational kin of the elderly women was, in fact, a “mother’s community,” which functioned as a mechanism to follow and maintain the old discourse. In addition, the neoliberal economic logic existed at the base of the voluntary kinship of the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retroactively attributing social and structural problems to their individual responsibilities. In particular, while the voluntary relatives of young people implied the possibility of a postmodern family in their form, paradoxically, a complex coexistence of discourse was detected, with the value of the community given to the norm of the existing family’s normality, described as a “modern transformation of Korean family ideology.” And yet, even with these limitations, attempts to represent family consistently emerge in the media sphere. The various regiments, in which the sum of autonomous individuals exert communal power, are becoming increasingly visible. Furthermore, the coexistence of the two phenomena in the same period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late modern and postmodern concepts of family, revealing that the reconstruction of symbols and signs is both current and ongoing process. These interpretations suggest that, while guaranteeing the persistent traditional status of family members in Korean society, the selective lives of individuals who deviate from the system will increase. Each time media contents capture clashes between the two discourses with the most astute and sharp visuals. In this conflict sphere of numerous definitions and discussions of family, the existence of community families may constitute the point of rupture in the Korean family discourse and the symbolic sign which is located at the beginning of a reconstru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