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지혜-
dc.contributor.author이수연-
dc.creator이수연-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3:10Z-
dc.date.available2020-02-03T16:33:1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5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52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2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중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생활화 영역 교육의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의 중학교 음악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생활화 영역 교육의 전반적인 실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생활화 영역 내용 요소 중 가장 많이 지도한 것은 ‘음악과 행사’였고 생활화 영역 수업은 주로 ‘행사 기획 및 연주 활동 참여’, ‘조사 및 발표’의 형태로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각 내용 요소를 지도하지 않은 이유는 ‘음악 수업에 대한 시수 부족’이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생활화 영역 평가에 있어 ‘보고서’와 ‘포트폴리오’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각 내용 요소를 평가하지 않은 이유는 ‘해당 내용 요소 평가의 당위성 부족’, ‘생활화 영역의 평가 기준 모호’가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화 영역 내용 요소 수업 전반에 대해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흥미도는 5.0 만점에 3.66점의 평균 점수를 보여 높았다고 인식하였고 내용 요소 중에서 ‘음악과 행사’ 수업에 대해 가장 높은 흥미도를 보였고 ‘세계 속의 국악’ 수업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흥미도를 보였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내용 요소별 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하위 항목 전반에 대해 5.0 만점에 3.6점 이상의 평균 점수를 보여 높았다고 인식하였고, 내용 요소를 비교했을 때 ‘음악과 행사’ 수업의 교육적 효과가 가장 높았고 ‘세계 속의 국악’ 수업이 가장 낮은 효과를 보였다고 인식하였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내용 요소별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서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행사 및 의식에 사용된 음악의 역할과 기능 이해’ 항목과 ‘음악 관련 진로 탐색 능력 향상’, ‘세계 속의 국악’ 내용 요소의 ‘생활 속에서 음악 활용 능력의 향상’에 대해 근무지역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함께 교사들이 인식하는 내용 요소별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서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음악과 행사’의 ‘음악 관련 행사에 적극적 참여’, ‘공동체적 의식 함양’ 두 개의 항목에서 교직경력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화 영역 교육의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내용 요소 중 음악을 생활화하는 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것은 ‘음악과 행사’, 가장 효과가 미미한 것은 ‘세계 속의 국악’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생활화 영역 음악교육이 발전하기 위해 가장 우선으로 필요한 것은 ‘생활화 영역에 적합한 교육환경(교재 및 교구, 시설)의 구비’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생활화 영역의 내용 요소별 실태와 인식을 조사함에 따라 교사들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생활화 영역 교육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생활화 영역 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해당 연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생활화 영역 교사 연수 및 생활화 영역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음악교사들의 지도능력이 향상되고, 학생들이 질적으로 우수한 생활화 영역 교육을 경험할 것을 기대해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recognition of music teachers i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114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ponses on the general condition of the education i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the most instructed element of the content i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was ‘music and events’, and the class i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was going on in the form of‘event planning and performance participation', and ‘investigation and presentation’. The main reason for not teaching each content element was ‘lack of time in music class’. The report and the portfolio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evaluating the area of daily life, and the main reasons for not evaluating each content element were ‘lack of justification for the evaluation of the content elements’ and ‘ambiguity in the evaluation criteria’ in the area of ​​daily life. In addition,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content element in class showed an average score of 3.66 out of 5.0, and they perceived that it was high. It was recognized that students had the highest interest in the ‘Music and Events’ while the least interest in‘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orld’. Secon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lass by content element was high, showing an average score of 3.6 or more out of 5.0 out of the sub-items. When comparing the content element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Music and Events' class was the highest and they recognize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orld' class had the lowest eff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orking area in the educational effect of each content element perceived by teachers, the item ‘Understanding the role and function of music used for events and rituals’, ‘Improvement of career path related to music ’, and ‘improving the ability to use music in everyday life’ in the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howed differences by working plac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in the educational effect of each content element perceived by teachers, the ‘active participation in music-related events’ and ‘cultivating community consciousness’ of ‘music and events’ showed the differenc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neral recognition of education in the area of ​​daily life, the most effective element in the music is ‘music and events’, and the least effective is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orld’. The first and foremost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area of daily life in musical education was identified as ‘prepar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textbooks, teaching aids, facilities) suitable for area of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 content element in the area of daily life that teachers think of by investigating the status and recognition of content elements in the area of ​​daily life in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to be basic material for find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music in daily life a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 teachers and to provide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of music in daily life by developing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nd teacher training in area of music in dail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음악과 교육과정 내 생활화 영역 변천 5 B.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 생활화 13 C.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 내 생활화 20 D. 선행연구 고찰 2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7 A. 연구 대상 27 B. 연구 절차 27 C. 설문지 제작 28 D. 자료처리 및 분석 35 E. 연구의 윤리적 고려 36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37 A. 생활화 영역 교육의 전반적인 실태 38 B. 생활화 영역 내용 요소별 수업의 교육적 효과 인식 52 C. 생활화 영역 교육의 전반적인 인식 64 Ⅴ. 결론 및 논의 69 참고문헌 74 부록 77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76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2015 개정 음악과 ‘생활화’ 영역에 대한 중학교 음악교사의 실태 및 인식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erception of Music Teachers in Middle School in‘music in daily life' Area in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Lee, Su Yeon-
dc.format.pagev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