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Trust & High Quality Relationships at Work

Title
Trust & High Quality Relationships at Work
Other Titles
신뢰 및 양질의 관계가 개인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을 중심으로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명호
Abstract
Under current team-oriented work environments to respond to turbulent changes in work environments, high-quality relationships are important for enabling positive work performances. Thus, the current study points to the importance of an employee’s trust relationships among coworkers by social network approach. First, this study develops arguments for the effect of individuals’ centrality in two types of trust networks, affective trust centrality and cognitive trust centrality, on the individual task performance and proactive performance. Second, I examine the combined effects of trust centrality on the different types of employee performances. Specifically, a higher cognitive trust centrality than affective trust centrality makes greater task performance at work while a higher affective trust centrality than cognitive trust centrality contributes to proactive performance. Third,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the intervening mechanisms of interpersonal trust relationships from both trustor’ and trustee’ perspectives: the felt obligation and the compassionate helping, in which different pathways that transmit the effects of each type of trust networks to individual outcomes.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rosocial motivation between affect-based trust network and individual performances by compassionated helping. This study examines the hypotheses using a two-wave survey data of 112 employees in 28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ropose that each type of trust centrality and combined trust networks differently influence individual performances. The current study also finds that affective trust centrality indirectly increases employee task performance via companionate helping from coworkers. Also, the prosocial motivation strength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ate helping and individual outcomes as well as the mediation between affective trust centrality and task outcome via compassionate helping. By empiricall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rust networks from the integration of social network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rust and high quality relationship research and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급격한 변화 속에서 사회적 병폐가 심화하고 경쟁이 극심해짐에 따라 현대 조직에서는 필요한 자원을 공유하고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 구성원간의 양질의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다른 사람을 믿고 협력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는 신뢰는 직장 내 대표적인 양질의 관계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양자 간의 관계 및 리더와 부하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하지만 수평적 조직구조 속에서 팀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한 개인은 집단 전체의 구성원과의 신뢰 관계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을 기반으로 모든 동료로부터 받는 신뢰가 사회적 관계의 결과물로 개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한 개인이 팀 내 모든 동료와 맺고 있는 신뢰 관계를 의미하는 신뢰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중심성) 및 신뢰의 두 가지 차원 (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인지적 신뢰 네트워크 중심성과 정서적 신뢰 네트워크 중심성이 개인의 업무 성과와 주도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차원의 신뢰 네트워크가 동시에 공존하여 개인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두 차원의 네트워크 중심성의 결합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신뢰 관계를 구성하는 양측의 관점을 모두 고려하여 신뢰를 받는 사람이 느끼는 지각된 의무감과 신뢰하는 사람이 제공하는 컴패션 도움이 개인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직장 내 질 높은 관계의 효과를 더욱 깊이 있게 분석하기 위하여 개인의 친사회적 동기가 컴패션 도움의 긍정적 효과를 강화하는 조절 요인임을 고려하여 개인성과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단적 설문조사를 통해 28개 기업의 1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두 가지 차원의 신뢰 네트워크는 업무 성과와 주도적 성과에 차별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인지적 신뢰 네트워크 중심성은 업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서적 신뢰 네트워크 중심성은 주도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두 가지 차원의 신뢰가 함께 공존하는 네트워크에서는 인지적 신뢰 중심성이 정서적 신뢰 중심성보다 높을수록 그 반대의 경우보다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예측과 달리 주도적 성과는 정서적 신뢰 중심성이 인지적 신뢰 중심성보다 높은 경우와 그 반대의 경우 모두 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컴패션 도움을 통한 정서적 신뢰 관계가 업무 성과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한 반면 지각된 의무감을 통한 인지적 신뢰 관계가 개인성과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친사회적 동기는 컴패션 도움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 신뢰 중심성이 컴패션 도움을 통하여 업무 성과에 미치는 효과 역시 강화함으로써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즉,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을 기반으로 종단적 연구설계를 통하여 한 개인이 팀 동료들과 맺고 있는 모든 신뢰 관계의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신뢰 및 양질의 관계 연구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고 조직의 관리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