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하이데거의 근대 학문 비판

Title
하이데거의 근대 학문 비판
Other Titles
An Analysis into Heidgger’s Critique of Wissenschaft Based on The Age of the World Picture (1938)
Authors
최정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충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의 맥락에서 그의 근대 학문(Wissenschaft) 비판 논의를 분석 및 재구성하고, 그의 철학적 전향에 따라 전기와 후기의 비판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본고는 먼저 그의 존재 사유를 전반적으로 조망해본 뒤 「세계상의 시대」(1938)를 중심으로 하이데거의 근대 학문 비판의 논점을 파악해보고 전, 후기의 다른 저서들에서의 학문 비판을 살펴보아 그 차이를 조명하는 순서로 진행될 것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각 시대의 형이상학은 각 시대의 본질과 현상을 조건 짓는다. 각 시대가 존재자를 어떻게 파악하고 진리를 무엇이라 규정하는지가 시대의 본질과 현상을 특징짓고 지배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근대의 특징적인 현상 중 하나인 근대 학문을 비판하는 것은 근대 자체에 대한 비판이고 이는 곧 근대의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인데, 「세계상의 시대」가 이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근대의 학문은 자신에게 이미 알려진 것을 기투하는 ‘연구(Forschung)’를 본질로 한다. 연구는 이미 알려진 것을 통해 존재자의 영역 속으로 접근하는 수학적 기투(matematische Entwurf)를 통해 존재자를 대상화하고, 확보된 앎을 바탕으로 실험하고 설명하여 보편적 법칙으로 정리한다. 또한 근대 학문은 존재자의 특정 구역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하여 대상 구역에 기투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개별 학문이 된다. 근대 학문을 경유하여 근대의 본질을 파악한 결과, 근대의 인간은 모든 것을 자기 앞에 대상으로 세워 근거 짓는 ‘주체’이며, 근대의 진리는 표상행위(Vorstellen)의 ‘확실성’으로 규정됨이 밝혀진다. 이는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ego cogito)’에서 정초된 것으로, 모든 것을 자신과의 연관 안으로 의심할 수 없이 확실하게 확보한다. 인간 주관은 존재자들의 질서 안의 한 부분이 아니라 다른 모든 존재자의 근거로 존재하며, 다른 존재자는 주체 앞에 세워지는 대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세계는 주체로서의 인간의 대상이 되어 표상된 ‘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후 「세계상의 시대」에서 살펴본 바를 하이데거의 근대 학문 비판의 굵은 줄기로 삼아 다른 저작들에서의 근대 학문 비판을 전, 후기를 기준으로 비교, 검토해본다.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는 1930-35년에 걸쳐 맞이한 전향(Kehre, 전회)를 기점으로 전기 철학과 후기 철학으로 나뉜다. 전기의 하이데거는 존재물음을 던질 수 있는 존재자인 현존재를 통해 존재 일반의 의미에 이르고자 했다. 따라서 전기의 존재사유는 현존재의 의미와 구조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전향을 겪은 후기의 하이데거는 존재 그 자체를 향하게 된다. 현존재를 통하여 존재에 이르고자 했던 그의 기획이 존재 자체로부터 현존재를 분석하는 것으로 그 방향을 바꾼 것이다. 하이데거의 철학적 전향에 따라 존재사유의 사정거리 안에서 진행된 하이데거의 근대 학문 비판 또한 전향을 맞이한다. 하이데거가 근대 학문을 비판하는 요지는 크게 변화하지 않지만 근대의 계산적 사유, 표상적 사유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숙고적 사유에서 변화가 포착된다. 전기의 하이데거가 근대의 학문을 비판하면서 대안으로 제시한 ‘철학’은 현존재와 연관되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이 시기 하이데거의 사유는 현존재의 존재 의미를 통하여 존재 일반의 의미를 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철학’ 또한 현존재의 존재와 관련된 것이고 그것을 향하는 것으로 설명된 것이다. 반면, 전향 이후 후기 저작들에서 제시된 숙고적 사유는 존재 그 자체와 관련된다. 이때 제시되는 ‘숙고’는 존재가 먼저 마련한 길에 서는 것이며 물어봄 직한 것, 존재에게로 자신을 내맡기는 ‘초연한 내맡김’이다. 이는 현존재가 존재의 의미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존재가 먼저 현존재에게 드러나 그를 부르고 현존재는 수용적으로 응답하는 후기 철학의 구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이데거의 근대 학문 비판은 단순히 근대 학문을 거부하거나 폐기하자는 것이 아니다. 근대 학문을 비롯한 서구 형이상학 전통의 본질을 밝히고 그것의 한계를 드러내어, 그 극단적 가능성이 최대치에 달한 그곳에서 새로운 사유, 즉 숙고적 사유로 나아갈 가능성과 필연성이 드러남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frame Martin Heidegger’s criticism of modern science (Wissenschaft) in the context of “thinking of being,”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his criticisms before and after the philosophical “turning (die Kehre).” First, the paper will give an overview of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and explain the focus of his criticism of Wissenschaft based on The Age of the World Picture (1938). Next, the study will captu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ay Heidegger criticizes Wissenschaft before and after the turning, by looking into the publications of both periods. According to Heidegger, the essence and phenomenon of an era are determined by the metaphysics of the time, and are thus, characterized and dominated by how that particular era understands beings (das Seiende) and defines the truth. Hence, a criticism of Wissenschaft ― a distinct phenomenon of modern times ― is not only a criticism of the modern era but also of modern metaphysics, as shown in The Age of the World Picture. The nature of Wissenschaft lies in research (die Forschung), which is about projecting what is already known to oneself. In Forschung, beings are objectified through a mathematical projection (den matematischen Entwurf), which is an attempt to enter the realm of beings through what is already known. Universal rules are established through experiments and explanations based on the knowledge that has already been gained. Also, Wissenschaft is bound to be an individual discipline because it aims to explore and project into a specific realm of beings.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modern times via Wissenschaft makes it clear that human is the “subject” that objectifies and forms the basis of everything, and that the truth of the modern era is defined by the “certainty” of representation (Vorstellen). This idea stems from Descartes’ “ego cogito” and ensures that everything is in connection with oneself in an unquestionable manner. The human subject exists as the basis of every being rather than as a part of the order of being, and it exists as a being that stands before the subject. Meanwhile, the world exists as a picture that humans have represented as subjects. Next, the paper takes The Age of the World Picture as the main reference point to compare and review Heidegger’s criticisms of Wissenschaft reflected in other publications written both before and after the turning.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is divided into early philosophy and later philosophy from the time of his turning from 1930 to 1935. In his early days, Heidegger tried to grasp the meaning of Sein through Dasein, a being who is capable of asking the question of being. Thus, it was natural that the focus was more on analyzing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Dasein. After the turn, however, Heidegger shifts his focus to Sein itself. Instead of trying to reach Sein through Dasein, he redirects himself to analyze Dasein with Sein as the starting point. Following his philosophical turning, Heidegger’s criticism of Wissenschaft, which always stayed within the range of thinking of being, underwent a turn as well. While the gist of his criticism did not experience a significant change, a change was witnessed in his meditative thinking, which is seen as an alternative to calculative thinking and representational thinking of the modern era. The “philosophy” that Heidegger proposed when he was criticizing Wissenschaft in his early days was defined as a belief related to Dasein. At the time, Heidegger’s thoughts were processed in a way in which the meaning of Sein was sought through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asein’s Being. Therefore, his “philosophy” was also related to the Being of Dasein and defined as an effort to pursue Dasein. On the other hand, the meditative thinking mentioned in his publications after the turning is associated with Sein itself. Here, “meditation” is about going down the road paved by Sein, asking a question worth asking, and Gelassenheit or entrusting oneself to Sein. It is not about Dasein approaching the meaning of Sein, but about showing the structure of Heidegger’s later philosophy, where Sein reveals itself to Dasein and calls it, and Dasein responds in a receptive manner. Heidegger’s criticism of Wissenschaft is not merely aimed at rejecting or discarding Wissenschaft. It is more about discovering the essence of the tradition of Western metaphysics, including Wissenschaft, and showing its limitations in order to reveal the fact that when metaphysics is gathered into its most extreme possibility, there is both a possibility and inevitability of a new way of thinking, namely, meditative think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