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혜영-
dc.contributor.authorLI, XINYANG-
dc.creatorLI, XINYANG-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3:05Z-
dc.date.available2020-02-03T16:33:0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2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21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2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에 공존하는 다섯 가지 기본 미각어 '달다/甜','쓰다/苦', '맵다/辣', '시다/酸', '짜다/鹹'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한·중 사전 에 제시한 한중 다섯 가지 미각어 의미 해석을 바탕으로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은유 이론을 이용해 한중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을 계통적으로 대조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모두 다섯 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필요성과 연구 대상 그리고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미각어의 개념을 규정하고 한·중 기본 미각어의 사전적 의미를 정리하였으므로 한·중 다섯 가지 미각어의 기본 의미가 거의 동일하다고 확인하였다. 한·중 미각어의 확장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확장 의미와 대응한 용례도 같이 제시하였다. 또한 개념적 은유 이론을 제시한 다음에 한·중 미각어에서 개념적 은유가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말뭉치 용례를 활용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다섯 가지 맛을 근원영역으로 추상적인 목표영역을 이해하는 데에 사용되는 '달다/甜', '쓰다/苦', '맵다/辣', '시다/酸', '짜다/鹹' 등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을 제시하고 살펴보았다. '달다/甜', '쓰다/苦', '맵다/辣'에 나타나는 개념적 은유가 상대적으로 다양하며 동일한 목표영역을 가진 경우도 많다고 보인다. 이와 비해 '시다/酸', '짜다/鹹'에서 동일한 목표영역을 가진 경우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좀 드물긴 하다. 제4장에서는 한·중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을 대조하여 미각어로 은유할 수 있는 목표영역이 출현한 빈도와 비율 통계를 통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한·중 각 미각어가 말뭉치 용례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의 빈도와 비율에 의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모두 '쓰다/苦'는 첫 번째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며 '달다/甜'는 두 번째 순위로 나타나고 '맵다/辣'는 네 번째 순위를 차지했다고 본다. '시다/酸'와 '짜다/鹹'에 나타나는 개념적 은유의 차이가 뚜렷해서 통계를 통해 얻은 빈도나 비율의 차이도 크다고 보인다. 한·중 미각어에 동일한 개념적 은유가 나타난 이유는 주로 인류 공통의 생리적 기초와 인지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중국어와 한국어의 어휘 형태 차이, 나라의 문화 배경, 미각어 자체의 모호성 등으로 인해 한·중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도 각자만의 특징을 지고 있음 역시 확인되었다. 제5장은 결론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사용 양상을 대조하여 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두 언어의 기본 미각어의 의미나 특징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민족의 역사문화, 생활습관, 사고방식의 성격 특징 등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인식할 수 있으며, 양국 언어 사용자들이 미각어를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Choosing the common used taste perceptual words of the Korean and Chinese as the research objet, on the basis of paraphrase of taste perceptual words in the dictionary, using the theory and methods of conceptual metaphor, this paper made a systematical study on the taste perceptual words of the Korean and Chinese. The main body in this paper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of research purpose, object and precedent Study. Chapter 2 focuses on the taste perceptual words of the Korean and Chinese, as well as the definition of the taste perceptual word and paraphrase of taste perceptual words in the dictionary. And introduces the theory of conceptual metaphor. Chapter 3 is presented and looked at conceptual metaphor patterns in Korean and Chinese taste perceptual words such as '달다/甜', '쓰다/苦', '맵다/辣', '시다/酸', '짜다/鹹' using examples from corpus. Chapter 4 is analysis and comparison the conceptual metaphor usage patterns appeared in taste perceptual words of the Korean and Chines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reviewed and the frequency and ratio of conceptual metaphor patterns were recorded. Chapter 5 is the conclus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between conceptual metaphor patterns in the taste perceptual words of the Korean and Chinese, we can not only deepen our understanding on the paraphrase of taste perceptual words but also get to know more on the culture, life custom, thinking mode. Hopefully, this paper can help user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understand and use the language proper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2 1. 한국어 '미각어'에 대한 연구 2 2. 중국어 '미각어'에 대한 연구 7 3. 한중 '미각어'에 대한 대조 연구 10 C. 연구 대상 및 방법 13 Ⅱ. 이론적 배경 18 A. 미각어의 개념 및 범위 18 B. 다섯 가지 미각의 의미 분석 20 1. 기본 의미 21 2. 확장 의미 24 C. 미각어와 개념적 은유 39 Ⅲ. 한중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 45 A. 한국어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 45 1. '달다'의 개념적 은유 양상 45 2. '쓰다'의 개념적 은유 양상 50 3. '맵다'의 개념적 은유 양상 54 4. '시다'의 개념적 은유 양상 58 5. '짜다'의 개념적 은유 양상 59 B. 중국어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 62 1. ''의 개념적 은유 양상 62 2. '苦'의 개념적 은유 양상 66 3. '辣'의 개념적 은유 양상 71 4. '酸'의 개념적 은유 양상 76 5. '鹹'의 개념적 은유 양상 80 Ⅳ. 한중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 비교 분석 82 A. 한중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 공통점과 차이점 82 1. 한국어 '달다'와 중국어 '' 개념적 은유 양상 공통점과 차이점 82 2. 한국어 '쓰다'와 중국어 '苦' 개념적 은유 양상 공통점과 차이점 85 3. 한국어 '맵다'와 중국어 '辣' 개념적 은유 양상 공통점과 차이점 88 4. 한국어 '시다'와 중국어 '酸' 개념적 은유 양상 공통점과 차이점 91 5. 한국어 '짜다'와 중국어 '鹹' 개념적 은유 양상 공통점과 차이점 94 B. 한중 미각어와 의미 대응 양상 97 Ⅴ. 결론 101 참고문헌 103 부록1. 한국어 파생 미각어 사전적 의미 106 부록2. 중국어 파생 미각어 사전적 의미 108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63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한·중 미각어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양상 대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to compare about conceptual metaphor on the taste perceptual words of the Korean and Chinese.-
dc.format.pagevi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