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7 Download: 0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및 직장 내 차별과 우울의 관련성

Title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및 직장 내 차별과 우울의 관련성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of Female workers : Using data from 6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Panel
Authors
서다람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명선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직장 내 차별 경험, 우울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여성근로자의 우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우울증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여성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직무만족도, 직장 내 차별 경험으로 구성하였고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여성가족패널조사 6차 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자는 1,804명으로 연구 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보았을 때, 연령, 학력, 결혼여부, 일자리특성, 업무특성(근무시간)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은 연령대는 31-40세였으며, 31세 이상부터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았다(p<0.001).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기혼, 미혼, 기타(이혼, 사별, 별거)의 순으로 직무만족도가 높았다(p<0.001).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p<0.001), 전일제가 시간제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았다(p<0.00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장 내 차별 경험 차이를 보았을 때, 결혼여부에 따른 직장 내 차별 경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기혼이 직장 내 차별을 가장 크게 경험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기타(이혼, 사별, 별거), 미혼 순으로 직장 내 차별 경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차이를 보았을 때, 연령, 학력, 결혼여부, 일자리특성에 따른 우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학력은 낮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 이혼, 사별, 별거를 포함하는 기타가 우울의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미혼, 기혼의 순으로 우울의 정도가 높았다(p<0.001). 비정규직이 정규직보다 우울의 정도가 높았다(p<0.01).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따른 우울 차이를 봤을 때, 직무만족 요인 10가지 중 소득수준, 고용안정성, 업무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발전가능성, 직장 인간관계, 복리후생, 성과인정, 전반적 만족도에 따른 우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득수준, 고용안정성, 업무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발전가능성, 직장 인간관계, 복리후생, 성과인정, 전반적 만족도에 대해 불만족하는 집단이 만족하는 집단에 비해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복리후생 p<0.05, 그 외 p<0.001). 하지만 직장 내 차별 경험에 따른 우울 차이를 봤을 때, 직장 내 차별 경험 요인 6가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요인은 없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인 여성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중 51-60세(β=.118 p<0.05), 61세 이상(β=.098 p<0.05)인 경우에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 중 이혼, 사별, 별거를 포함하는 기타(β=.145 p<0.001)인 경우에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무만족도에서는 고용안정성(β=.064 p<0.05)과 근로환경(β=.059 p<0.05)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press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f female workers. By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female workers' job satisfaction, workplace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depression,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on female workers' depress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diseases that can be caused by female workers' depression. Through prior studies,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female workers were composed of job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6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Panel. The final study participants were 1,804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y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characteristics(working hou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ge group with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was between 31 and 40 years old(p<0.001). The higher the age was,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was(p<0.001).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wa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was(p<0.001).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married, unmarried, and others(divorce, bereavement, separation)(p<0.001). Regular workers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irregular workers(p<0.001), and full-time workers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part-time workers(p<0.001). Secon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difference in workplace discrimination experience by marital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rried experienced the most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followed by others(divorce, bereavement, separation) and the unmarried(p<0.05). Thir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difference in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job characteristics. The older people were, the more depressed they were(p<0.001) and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was, the more depressed they were(p<0.001). In addition, others including divorce, bereavement and separation experienced depression the most, followed by the unmarried, the married(p<0.001). Irregular workers were more depressed than regular workers(p<0.01). Fourth, in relation to the depression difference by job satisfaction, among the 10 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come, job security, work content, working environment, work hours, development possibility, relationship in workplace, welfare benefits, performance recogni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In all ten elements of job satisfaction, the dissatisfied group turned out to be depressed compared to the satisfied group(welfare benefits p<0.05, the others p<0.001). But in relation to the depression difference b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none of the six workplace discrimination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female workers. The age group between 51 and 60(β=.118 p<0.05)61 and the age group over 61(β=.098 p<0.05) affected depression of female workers. And of marital status, others including divorce, bereavement and separation affected depression of female workers(β=.145 p<0.001). In addition, among the 10 factors of job satisfaction, job security(β=.064 p<0.05) and working environment(β=.059 p<0.05) affected depression of female work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