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8 Download: 0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일과 생활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itle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일과 생활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rotean Career of the Female Office Worker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on the Work and Life Balance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Employability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uthors
백가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윤희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rotean Career of the Female Office Worker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on the Work and Life Balance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Employability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The interest of office workers i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has been on the rise, as the concept of permanent employment has come to disappear along with the rapid changes of the labor market, and as the workers’ viewpoints which once laid importance on “work” has been laying more importance on one’s “own life”. In addition, with the process of the female citizens giving up on childbirth as they began to juggle between work and house chores along with their entry to the society, the government has begun to plan for the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s for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with increasing interest. Such work-and-life balance suggests the necessity for the research of the female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who would become the human resources for the future labor market. However, the research on whether the work-and-life balance can be achieved in the individual level is still inadequate, as the existent research has been proceeded on the current conditions for the improvement of work-and-life balance system in the aspec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 how the system would influence an organization. The study was based on the idea that although it would also be advisable to achieve the balance through the work-and-life balance system, it would ultimately the individual that would be able to achieve the balance itself. The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protean career ”, which is the attitude of an individual towards career,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he balance between work-and-life, and was planned based on the proceeding researches that suggest that the overall work-and-life balanc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mployability, which is the perception of an individual career resources that can be acquired through the protean career.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various learning activities of individual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otean career as well as the work-and-life balance.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rotean career of the female office worker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on their work-and-life balance, and to confirm the mediation effect of employ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otean career and work-and-life balance. Moreover, the study attempte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employability in the individual level for the improvement of work-and-life balance, through the positive investigation of whether the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would show the moderation effect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otean career and employability. First,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the period of Sep. 15th, 2019 to Sep. 29th, 2019 through the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respondents consisting of the current female office workers in the millennial period; a total of 25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with the exception of undependable response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computerized statistics with the sue of SPSS 18.0 as well as PROCESS macro, and the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effect were analyzed through the use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1, 4. The level of significance were verified in p<.05, p<.01, and p<.00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self-directed and values-driven,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protean career, had the positive (+) influence on the work-family balance and the work-growth balance, which are the subfactors of life balance, while they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ork-leisure balance.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otean career and the work-family balance, the internal employability showed the positive (+) mediation effect, while the external employability showed no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otean career and the work-growth balance, both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showed the positive (+) mediation effect.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moderation effect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otean career and employability showed that self-assessment and work experience, which are the subfactors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showed the negative (-) moderation effect on both the values-driven, the subfactor of protean career, and the external employability, the subfactor of employability; no other relations between factors showed any moderation effects. According to such results,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necessity of values-driven and self-directed career which would pursue the values and goals that are meaningful to each individual, for achieving the balance between work, family, and growth of the female office worker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Moreover, the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mployability by verifying that the protean career would not only lead to the achievement of work-family balance as well as work-growth balance, but also would influence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employability obtained from such an attitude. Last but not least, the examination of the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revealed the negative (-) moderation effect,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assumption; such results is deemed to have been possible as the learning activities experienced through self-assessment and work experiences affected the participants’ objectification of their perception of their capacity in relation to their employability; and as such, it was discussed that there needs to be the verification of the learning activities that would have positive influence on employability. The study results bear the following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d the direction in the individual level for achieving the work-and-life balance, as there is no research with positive verification so far, despite the argument that the millennials pursue the protean career, as well as the work-and-life balance. Second, the study bears the academic significance that it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ased on the proceeding research, while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employability. Lastly,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employability in the aspect of individual career management through the protean career, and also provided the practical implication in the organizational aspect for the positive use of the perception of external employability. However, despite it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e study has limitations; hence, the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The responses about work-and-life balance can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due to various individual and circumstantial characteristics;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conducting the in-depth interviews along with the self-report survey used in the study would uncover the nature of behavioral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n addi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follow-up studies would need to set the potential variables that could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employability to examine the overall work-and-life balance.;급격한 노동시장의 변화로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게 되었고, 과거 ‘일’을 우선시 했던 근로자들의 가치관도 ‘개인의 삶’에 중요성을 두는 것으로 변화하며 직장인들의 ‘일과 생활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여성들이 직장생활과 가사생활을 병행하며 출산을 포기하는 과정을 겪게 되자, 국가 차원에서도 관심을 갖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제도의 개선 및 시행을 도모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과 생활의 균형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 다가오는 노동시장의 인적자원이 될 밀레니얼 세대 중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조직효과성 측면에서 일과 생활의 균형의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현황에 대한 조사나 제도가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고, 개인차원에서 일과 생활의 균형을 어떻게 이룰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과 생활의 균형 제도를 통해 균형을 이루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궁극적으로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주체도 개인이라는 점에서 착안하였다. 일과 생활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에서 개인이 갖고 있는 경력에 대한 태도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유의미성을 검토하였고,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통해 갖출 수 있는 개인의 경력자원에 대한 인식인 고용가능성을 통해 일과 생활 측면에 있어서 전체적인 균형을 이룰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또한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개인의 다양한 지속적인 학습활동이 고용가능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일과 생활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일과 생활의 균형의 관계에서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지속학습활동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개인 차원에서 일과 생활의 균형을 높이기 위한 고용가능성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15일부터 10월 29일까지 밀레니얼 세대 현직 여성 사무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배포 및 수집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25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Ver.) 및 PROCESS macro를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PROCESS macro model 1, 4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검증하였고,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인 자기주도성과 가치지향성 모두 일과 생활의 균형의 하위요인인 일-가정 균형, 일-성장 균형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일-여가 균형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일-가정 균형의 관계에서 내부 고용가능성은 정(+)의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외부 고용가능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일-성장 균형의 관계에서는 내부 고용가능성과 외부 고용가능성 모두 정(+)의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지속학습활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속학습활동의 하위요인인 자기평가와 직무경험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인 가치지향성과 고용가능성의 하위요인인 외부 고용가능성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냈고, 다른 변수들간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의 일과 가정, 성장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자신에게 의미있는 가치와 목표를 추구하는 가치지향적이고 자기주도적인 경력태도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통해 일-가정 균형, 일-성장 균형을 이룰 수 있지만,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통해 갖출 수 있는 고용가능성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며, 고용가능성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학습활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예상했던 결과와는 다르게 채택된 가설들이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평가와 직무경험을 통해 경험하는 학습활동이 고용가능성과 관련된 자신의 역량에 대한 인식을 객관화하는 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고,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활동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논의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밀레니얼 세대는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일과 생활의 균형을 추구한다고 주장하지만,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개인 차원에서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향성을 검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며,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경력관리 측면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통해 갖출 수 있는 고용가능성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으며, 조직측면에서도 직원의 외부 고용가능성 인식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학문적 및 실무적 의의를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기에 후속연구를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일과 생활의 균형은 개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주관적으로 해석될 수 있고 개인적, 상황적 특성 등으로 인해 응답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방법과 함께 심층적인 인터뷰를 진행한다면 행동적 인과관계의 그 속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한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있는 잠재적 변수를 설정하여 일과 생활의 균형의 전체적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