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3 Download: 0

단안 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하사근절제술 또는 하사근절단술의 효과 및 장기간 결과 분석

Title
단안 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하사근절제술 또는 하사근절단술의 효과 및 장기간 결과 분석
Other Titles
The Effect and Long-term Outcomes of Inferior Oblique Myectomy or Inferior Oblique Myotomy in Unilateral Inferior Oblique Overaction
Authors
김진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기환
Abstract
목적 : 하사근기능항진이 있는 환자에서 하사근절제술 또는 하사근절단술을 시행한 결과를 보고하고, 수술 전 제일안위에서의 수직편위 및 하사근기능항진에 따른 수술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12개월 이상 경과관찰한 장기간의 결과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단안 하사근기능항진을 진단받고 단안 하사근절제술(11안) 또는 하사근절단술(12안)을 시행 받은 환자 23명 23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제일안위에서의 수직편위와 하사근기능항진의 수술 전후 차이를 비교하였고, 수술 전 사시각 및 하사근기능항진과 수술의 교정량의 관계는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수직편위는 수술 전 9.5 ± 5.1 PD에서 수술 후 2.7 ± 5.7 PD로 감소했다(p<0.05). 하사근기능항진은 수술 전 1.9 ± 0.6 에서 수술 후 0.1 ± 0.2 로 감소하였다(p<0.05). 수술 전 수직편위는 클수록 수술의 교정량이 많아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p<0.05) 수술 전 수직편위와 수술 후 잔존 수직편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수술 전 하사근기능항진이 클수록 수술의 교정량이 많아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p<0.05) 수술 전 하사근기능항진과 수술 후 잔존 하사근기능항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론 : 하사근절제술과 하사근절단술은 하사근 기능항진이 있는 환자에서 수직사시 와 하사근기능항진의 교정에 효과적인 수술방법이며 수술 전 수직편위 및 하사근기능항진의 정도가 클수록 그 교정효과는 크다.;Purpose : To report the result of inferior oblique myectomy or inferior oblique myotomy in patients with inferior oblique overaction(IOOA) and to evaluate the effect on vertical deviation and IOOA of the surgery. Also, we analyzed the long-term results of at least 12 months’ follow up. Methods : A total of 23 eyes from 23 patients with IOOA who underwent unilateral IO myectomy(11 eyes) or IO myotomy(12 eyes) were enrolled in the study. We compared between vertical deviation and IOOA before and after surgery. The correlation between preoperative vertical deviation, IOOA and amount of correction was analyz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vertical deviation decreased from 9.5 ± 5.1 PD before surgery to 2.7 ± 5.7 PD after surgery(p<0.05). The IOOA decreased from 1.9 ± 0.6 before surgery to 0.1 ± 0.2 after surgery(p<0.05). The amount of surgical correction for vertical devi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eoperative vertical deviation(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eoperative vertical deviation and postoperative residual deviation(p>0.05). The severity of preoperative IOOA and the amount of surgical correction for IOO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p<0.05). Preoperative IOOA and postoperative residual IOOA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p>0.05). Conclusion : IO myectomy and IO myotomy could be effective surgical methods in patients with IOOA for correcting vertical deviation and IOOA. The larger the preoperative vertical deviation and IOOA, the greater corrective effect can be expe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