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27 Download: 0

평등주의에 관한 연구

Title
평등주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galitarianism : Theoretical Development After John Rawls
Authors
김주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현철
Abstract
This dissertation offers a systemic account of contemporary egalitarianism as a new ideological basis, in order to expand the discussions on equality, which have been limited to discussions based on liberalism. To begin with, I analyze John Rawls’s A Theory of Justice. Contemporary egalitarianism emerged from Rawls’s observation that distribution is the main subject of justice. It has been developed from the details of Rawls’s justice theory. There are some features of egalitarianism described in A Theory of Justice: identifying the cause of inequality with the arbitrary, contingent characteristic of luck, proposing the difference principle as an egalitarian principle to overcome the inequality, and regarding moral personality as the basis of human equality. These features have been developed into four types of contemporary egalitarianism: luck egalitarianism, radical egalitarianism, relational egalitarianism, and basic egalitarianism. The first type of egalitarianism, luck egalitarianism, inspired by Rawls’s emphasis on the ability to take responsibility for individual choices and his idea of the arbitrariness of luck as the cause of inequality, endorses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 choices and the compensation for unchosen bad luck.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details of the discussions, various luck egalitarians commonly suggest some ways to neutralize the differential effect of such arbitrary, unchosen bad luck, rather than to eliminate the very cause of the unchosen luck. Dworkin, a luck egalitarian, proposes the individual responsibility for option luck and the compensation for brute bad luck as a hypothetical insurance market model. The next egalitarianism, radical egalitarianism, commenced with the criticism of Rawls’s difference principle. Radical egalitarians criticize the difference principle for neglecting the inequality of the capitalist free market economy and that of social classes. They have developed egalitarianism with the goal of equal social benefits and burdens, based on socialist theory. Nielson, a radical egalitarian, considers equality as a social goal and proposes a genuinely egalitarian society in which the legal and political equality and the equality of social conditions were secured for a classless society. Cohen, another radical egalitarian, insists that the social ethos be formed, not as coercive institutions, so that people can pursue equality when they are acting in everyday life, and that the equality be pursued on the basis of a community principle such caring and cooperation. The third type, relational egalitarianism, has also been proceeded with the criticism of Rawls’s theory. The criticism is that Rawls’s theory does not take fully into account inequality in social relations. Relational egalitarians pursue a kind of social relation in which everyone relates as equals, without any domination, oppression, or discrimination. This kind of relational equality strengthens citizens’ political responsibility, based on equal civil rights and obligations, and provides us with the means to enable everyone to relate one another as equals. Some specific examples of the means are Anderson’s democratic equality and Scheffler’s egalitarian deliberative constraint. The former offers an account of social oppression and seeks a society of equals; the latter considers everyone’s interests equally in joint decisions. Finally, basic egalitarianism is based on the idea that Rawls provides the basis of equality. Basic egalitarians regard the basis of human equality as the fundamental issue of egalitarianism and contend that all human beings should be treated as equals. The prescription of basic equality can have its ground on some facts such as choices or approvals of political members as well as the common property of human beings. On the basis of these facts, basic egalitarians establish the principle of basic equality. Waldron, a prominent basic egalitarian, suggests the two principles: the principle of continuous equality that there are no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human groups and the principle of distinct equality that takes into account human status and human dignity. In Waldron’s account, the two principles serve as spreading the ideology of human equality and actualizing equal treatment. After exploring the four types of contemporary egalitarianism, I examine the limitations of egalitarian theories in general, focusing on four key issues. Although the four types of contemporary egalitarianism can be reinforced within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limitations of egalitarianism for the four types of theories to be converged into one more convincing theory. First, because of the static nature and vertical structure of distribution, the distribution paradigm pursued by all egalitarian theories overlooks inequality in social structure and social relations.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distribution, whi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reality, forms the relational inequalities between the dividers and the recipients. Second, as luck egalitarians focus on choices and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they impose unjust individual responsibility even when the individual i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outcome of choices in the face of unexpected luck. Compensation for brute bad luck is also contentious since it creates the problem of benevolent compensation and stigmatization, failing to actualize equal treatment for the victims of bad brute luck. Third, there is a limit that relational equality is ambiguous and abstract as it does not offer a positive definition or constructive discussions of the concept of relational equality. Moreover, relational egalitarianism is criticized for the principle of relational equality can be applied to all human relations, making the principle inappropriate to be applied to social institutions and individual actions. Fourth and finally, the question is raised that basic equality is trivial, relative to rights or other social standards, and overlaps with moral principles such as the principle of respect or the principle of necessity. Related to these limitations, I attempt to provide alternatives to strengthen egalitarianism in theory and in practice. To actualize egalitarianism, it will be necessary to embrace the sharing paradigm as an alternative, not limited to the distribution paradigm. It is to overcome the limits of distribution and to expand the issue of egalitarianism from discussions focused on brute bad luck to redistribution of good luck for equality of luck. In addition, relational egalitarianism will have to define the concept of social relations and equals to develop constructive accounts that embody the ideal of relational equality. It will also need to provide a way to create a society where people can form egalitarian ethos, based on positive support of laws and education, so that they can relate as equals. Furthermore, the principle of egalitarianism,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value of basic equality, should be established. Once the principle is established, it can be developed in legal and political discussions and can be used to achieve the ideology of human equality. It will, in turn, strengthen the identity of egalitarianism. Ultimately, these proposals would make egalitarianism an ideological basis that could actualize substantial equality values. Finally, after summarizing the details and the limitations of the four types of egalitarianism, based on the alternatives presented earlier, I propose a way of positive egalitarianism as a new direction of egalitarianism in the future.;이 논문은 자유주의에 제한된 기존의 평등 논의를 확장하기 위해 새로운 이념적 기초로서 평등주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평등주의 이론의 현대적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롤스 정의론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대 평등주의 이론은 분배를 정의론의 주제로 본 롤스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정의론의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였다. 롤스 정의론에서 평등주의 이론을 발전시킨 부분은 불평등의 원인을 자연적 사회적 운으로 파악한 부분, 이러한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한 평등주의 원칙으로서 차등 원칙을 제안한 부분, 그리고 인간 평등의 근거를 도덕적 인격성으로 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현대 평등주의 이론의 네 가지 유형, 즉 운 평등주의, 급진 평등주의, 관계 평등주의, 기본 평등주의로 발전하였다. 먼저 운 평등주의는 롤스가 불평등의 원인을 운으로 파악하고 개인의 선택에 대한 책임 능력을 강조한 점에 영감을 받아 선택에 따른 책임과 불운에 대한 보상이라는 핵심 주장을 발전시켰다. 운 평등주의자들은 세부적으로 이론의 내용을 달리 구성하지만, 공통적으로 선택하지 않은 운의 원인 그 자체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운의 차등적 효과를 무력화시킬 방안을 제시한다. 운평등주의자 드워킨은 선택운에 따른 개인적 책임과 비선택운에 대한 보상을 가상적 보험 시장 모델로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롤스의 차등 원칙에 대한 비판에서 급진 평등주의가 발전하였다. 급진 평등주의는 차등 원칙이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사회계급의 불평등을 도외시했다고 비판하고, 사회주의 이론에 근거하여 사회의 이득과 부담의 평등을 목표로 하는 평등주의 이론을 전개하였다. 급진 평등주의자 닐슨은 평등을 사회적 목표로 보고 계급 없는 사회를 위해 법적 정치적 평등과 사회 조건의 평등이 확보된 진정한 평등주의 사회를 제안하였다. 더불어 코엔은 강제적 제도가 아니라 사람들이 행동할 때 평등을 추구할 수 있도록 사회적 에토스를 형성하고, 호혜성과 연대에 근거한 공동체 원칙에 따라 평등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관계 평등주의는 롤스의 이론이 사회적 관계의 불평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론에서 발전하였다. 관계 평등주의는 모든 사람이 평등한 존재로서 관계를 맺기 위해 지배나 억압, 차별이 없는 사회적 관계를 추구한다. 관계 평등은 평등한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바탕으로 시민의 정치적 책임을 강화하며, 모든 사람이 서로 평등한 존재로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한다. 구체적인 이론적 방안으로는 사회적 억압을 해소하고 평등한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보장하는 앤더슨의 민주적 평등과 공동 결정에서 모든 사람들의 이익을 동등하게 고려하는 셰플러의 평등주의적 심의제약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롤스가 평등의 근거를 제시한 점에 기초하여 기본 평등주의 논의가 발전하였다. 기본 평등주의는 인간 평등의 근거를 평등주의의 주된 논제로 보고,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기본 평등의 규정은 인간의 공통적 속성뿐 아니라 정치구성원들의 선택이나 승인과 같은 사실에 근거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기본평등주의자들은 기본 평등 원칙을 정립하는데, 대표적으로 월드론은 인간 집단 간의 근본적인 구별이 없다는 연속적 평등 원칙과 인간의 고유한 지위 및 인간 존엄성을 고려한 구별적 평등 원칙을 통해 인간 평등의 이념을 확산하고 평등 대우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네 유형의 평등주의 이론들은 다차원적으로 구성된 하나의 구조 속에서 강화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평등주의 이론이 보다 설득력 있는 이론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평등주의의 이론적 한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평등주의 이론들에서 문제가 되는 네 가지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평등주의 이론의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모든 평등주의 이론이 추구하는 분배 패러다임은 분배의 정태적 성격과 수직적 구조로 인해 사회 구조와 관계의 불평등을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 게다가 현실의 제도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분배 원칙은 분배하는 자와 분배받는 자 간의 불평등한 관계를 형성한다. 둘째, 선택과 책임에 치중된 운의 평등은 선택 결과를 통제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개인에게 책임을 부과한다. 비선택적 불운에 대한 보상도 시혜적 보상과 낙인찍기 문제를 발생시켜 불운희생자에 대한 평등 대우를 실현하지 못한다. 셋째, 관계 평등은 관계 평등 개념에 대한 적극적 정의나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모호하고 추상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더욱이 관계 평등 원칙은 모든 인간관계에 적용될 수 있어 사회 제도와 개인의 행동에 적용되기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넷째, 기본 평등은 권리나 다른 사회적 기준에 비해 사소한 측면이 있으며, 존중이나 필요의 원칙과 같은 도덕 원칙과 중복된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러한 한계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평등주의를 이론적 실천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구체적인 대안은 평등주의 실현 방안을 분배 패러다임에 한정하지 않고, 분배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공유 패러다임을 함께 수용하는 것이며, 운의 평등을 위해 비선택적 불운에 치중된 논의에서 행운에 대한 재분배 논의로 평등주의의 논제를 확대하는 것이다. 또한 관계 평등주의는 관계 평등의 이상을 구체화하는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사회적 관계와 동등한 존재의 개념을 정의하고, 법과 교육의 적극적 지원을 바탕으로 평등주의적 에토스를 형성하여 사람들이 평등한 존재로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기본 평등의 가치를 고려한 평등주의 원칙을 정립하여 법적 정치적 논의에서 기본 평등의 관점을 발전시키고 인간 평등의 이념을 환기한다면 평등주의 이론의 독자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대안은 평등주의 이론을 진정한 평등 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이념적 토대로 만들 것이다. 마지막으로, 네 유형의 평등주의 이론의 내용과 한계를 요약하고, 앞서 제시한 대안을 바탕으로 향후 평등주의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적극적 평등주의의 모색을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