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PHAN, HOANG MY THUONG-
dc.creatorPHAN, HOANG MY THUONG-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58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5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40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05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2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주한 베트남인 대학원생이 쓴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의 특징과 어려움을 밝히고자 그들이 쓴 연구 보고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 경험 여부는 쓰기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글쓰기 과목을 개설하는 대학교도 있고 그렇지 않은 대학교도 있어 유학생의 학문 목적 글쓰기 경험은 다양하다. 학문 목적 글쓰기 경험이 부족한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한국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기존 연구를 스스로 읽고 따라 쓰는 경향이 있다. 지금까지 베트남인 대학원생의 학문 목적 글쓰기를 위한 연구가 여전히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들을 위한 쓰기 교육 지침서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주로 자기 주도 학습을 하였다. 본고의 연구 대상자는 인문사회계열 전공자 37명의 베트남인 학습자이며 그들이 쓴 연구 보고서 63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대상인 보고서는 베트남인 유학생이 한국 대학원에서 처음 작성한 것이다. 학위논문과 달리 보고서는 한 학기 내 마무리하는 것으로 교수, 동기, 친구 등의 조력자의 도움을 받기가 어렵고 수정할 시간도 많지 않다. 따라서 첫 학기에 보고서를 쓸 때 필자의 목소리와 주장을 어떻게 드러내는지, 필자와 독자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텍스트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연구 윤리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제대로 인식하기가 어렵다. 좋은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좋은 내용 외에도 보고서 장르에 알맞은 구조와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필자는 자기의 위치를 명확하게 정하며 자기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드러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필자와 독자 간의 상호작용을 형성하기 위해 학술적 표현을 활발하게 쓰고 타당한 논거를 제시하며 성실한 태도로 연구해야 한다. 텍스트가 구성되었다고 하더라도 필자의 글에 대한 논리성과 설득력이 부족하거나 윤리성을 준수하지 않으면 독자의 공감과 신뢰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보고서를 잘 작성하려면 필자와 독자 차원, 텍스트 차원, 윤리적 차원의 요구에 맞춰서 글쓰기를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문헌조사, 담화분석, 심층면담, 전문가 면담 등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어는‘SVO’어순으로 주어를 생략하면 화자나 필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어를 생략하지 않는다. 이 영향으로 베트남인 유학생은 한국어 보고서를 쓸 때 필자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지칭어를 쓰는 경향이 있다. 그들이 사용한 필자에 대한 지칭어는‘나, 본인, 연구자, 필자’등의 개인 필자를 지칭하는 어휘와‘우리’등의 공동체 필자를 지칭하는 어휘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필자의 주장을 강조하기 위해 그들은‘생각하다, 보다, 믿다, 깨닫다’등의 사고도구어를 남용하기도 하였다. 둘째, 한국의 대학원에 입학한 후에 그들은 한국 담화 공동체에서 잘 쓰이는‘본 연구, 본 보고서, 본고’등의 숨겨진 필자에 대한 표현 및 한국어 피동법을 쓰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왜냐하면 한국어 피동법은 베트남어 피동법과 달리 어휘 측면뿐만 아니라 문법 측면에서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 많고, 대부분 능동주어가 생략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베트남인 유학생은 필자의 목소리를 숨길 때 한국어 피동법 사용에 대한 문제를 안고 있다. 셋째,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구어체 언어 습관에 기인한 추측 표현인‘-을/ㄹ것 같다’라는 표지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확실성과 명확성, 그리고 객관성이 요구되는 학문 목적 글쓰기에서 추측 표현을 쓰면 설득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넷째, 베트남어로 작문할 때 교사-학생 간의 상하관계를 표현하는 경향성과 구어체 사용 습관에 기인하여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독자인 한국인 교수에게 공손한 태도로 표현하기 위해‘-습니다’표지를 사용한다. 그러나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에서는 독자인 교수가 학생보다 높더라도 존댓말을 쓰지 않고 필자와 독자 간의 동등한 위치를 나타내는‘-ㄴ/는다’표지를 써야 한다. 다섯째, 독자의 공감과 신뢰를 얻기 위해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자기와 독자를 포함하는‘우리’지칭어를 쓰고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빌리는 경향이 있다. 그렇지만 비판력과 분석력이 약해서 주로 자기와 비슷한 사람의 목소리만 활용하고 자기와 반대되는 사람의 목소리는 활용하지 못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여섯째,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를 할 기회가 적을수록 보고서의 서론, 본론, 결론의 구조 구성 및 학술적 표현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모국어의 작문 영향으로 독자의 영감과 흥미를 끌기 위해 보고서의 서론을 미괄식으로 시작하는 경향이 있으며 미괄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본론에 필자의 주장과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의(definition), 비교(comparision), 대립(opposition), 인과(causality), 예(illustration), 인용(quotation), 요약(summary) 등의 논증 도식을 적용했는데 각 논증의 목적과 효과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텍스트의 논리성과 연결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결론은 보고서를 마무리하고 연구 결과와 연구 의의를 밝히는 부분인데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결론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해 매우 간략하게 쓰며, 독자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드러났다. 일곱째,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무지와 무시로 인해 표절을 범하는데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인식이 낮을수록 윤리적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밝힌 후에 보고서 쓰기 교육 방안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베트남인 대학원생들을 다시 면담할 뿐만 아니라 베트남 대학원생을 지도하는 한국인 전문가들의 의견도 수집하였다. 필자의 입장을 갖는 베트남인 대학원생과 독자의 입장을 갖는 한국인 전문가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교육 방안을 이론과 실제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즉 교육 방안에는 필자와 독자 차원, 텍스트 차원, 윤리적 차원에 관련된 개념이나 양식을 제시하고 주의 사항을 먼저 강조하고 나서 보고서 쓰기 사례도 제공하였다. 이 교육 방안을 통해 베트남인 대학원생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필자의 위치와 목소리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필자와 독자 간의 좋은 상호작용을 맺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독자를 설득시키기 위해 보고서의 서론, 본론, 결론 등의 구조를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어떤 학술적 표현을 적용해야 하는지 제시하였다. 셋째, 좋은 필자가 되려면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 표절 예방, 인용 방식, 출처 밝히기, 참고문헌 작성 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제공하였다. 특히, 필자와 독자 차원, 텍스트 차원, 윤리적 차원에서 모어 화자가 쓴 적절한 사례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베트남인 대학원생이 쓴 부적절한 사례 및 교육 방안의 샘플도 제시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 대학원에서 학문 목적 글쓰기를 더 잘 수행하고 보고서 쓰기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게 함으로써 한국 대학원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이수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글을 단순히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연구 참여자를 심층 면담하였고, 한국인 전문가의 의견도 수집했기 때문에 연구 문제를 더 전반적으로 밝히며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앞으로 한국의 대학원에 처음 입학하는 베트남인 유학생이나 베트남에서 한국어 학문 목적 글쓰기를 공부하는 학생 누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문 목적 글쓰기 지침서를 활용한다면 보고서뿐만 아니라 학위 논문도 손쉽게 작성할 것이다. ;Korean Academic Writing such as Korean research reports in Korean language is not easy for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In order to express their ideas logically and persuasively, students are required not only to be knowledgeable in the area of studies, but also to be good at writing skills as well. However, newly-entered Vietnamese students often have difficulties in academic writ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writing term papers for their courses, and more so for writing a graduating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of Korean academic writing, such as research reports, written by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and to suggest an appropriate writing meth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studying 37 participants of Vietnamese students who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by analyzing 63 first-time written research reports by them at their Korean graduate schools. For this study,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discourse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expert interview were us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discourse analysi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writing for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etnamese language follows the order of‘Subject-Verb-Object’; so to accurately convey the intention of the speakers or writers, the subject is not generally omitted. Due to this influence, Vietnamese students tend to use the terminology that reveals their voice when writing Korean reports. The terminology they used for the writers turned out to be a vocabulary that refers to individual writers, such as‘I, researcher, writer’, and community writers, such as‘We’. Also, to emphasize their arguments, they often tend to use perceptual verbs such as think, see, believe, and realize so much. Second, after entering a graduate school in Korea, they have difficulties in using expressions of hidden writers, such as‘this study, this report, and this paper’, which are well used in the Korean discourse community. This is because Korean passive structures in Korean language need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grammar as well as vocabulary with the omission of subjects, which is more complicated than the passive structures in Vietnamese language. For this reason, Vietnamese students have problems with the use of Korean passive language when hiding their voice. Third,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frequently use the structure‘-을/ㄹ 것 같다', which are speculative expressions in Korean due to their habit in using the spoken language. However, the use of speculative expressions in academic writing, which requires certainty, clarity, and objectivity, is often not suitable because it is less persuasive. Fourth, due to the tendency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use of colloquialism when writing in Vietnamese,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often use honorifics such as‘님’,‘제가/저는’,‘-(으)시’,‘-ㅂ/습니다’to express politely to their Korean professors. However, in Korean academic writing, even if the professor is in higher hierarchy than the student, students should use the‘-ㄴ/는다' endings to indicate the equal posi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rather than using honorifics. Fifth,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tend to use‘We’, which included the writer and the reader. They also borrow the voices of other researches to gain the readers’empathy and trust, so their criticism and analytical powers could often appear to be weak. Also, they have a tendency to use or quote only other opinions similar to theirs rather than including also those differing or opposing opinions. Sixth, the less opportunities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have in writing Korean academic papers, the more difficulties they have in organizing the report structure such as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of the report, and in using academic expressions.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native language’s writing style, tend to begin the introduction of the report with periphrases to capture the readers’inspiration and interest. Also, for the main body of the report, with the proposition of arguments and opinions, a problem occurs that the purpose and effect of each argument could not be reached properly or the logic and connectivity of the text could not be maintained. When it comes to the conclusion of the report and revealing the finding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often do not fully appreciate its importance and tend to write it relatively briefly. Seventh,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commit plagiarism due to ignorance, neglect and the low awareness of writing ethics.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lower the awareness, the more frequent the ethical problems occurred. After revea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report-writing education method, this researcher also collected opinions of Korean professors who instructed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is researcher’s study and perception of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and on opinions of Korean experts in the position as reader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plan was developed.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scheme suggested concepts and styles related to the category of writers and readers, the category of text, the category of writing ethics, which emphasized precautions, and provided examples of writing a report. This proposed educational plan hopes to provide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with several supports as follows. First, this educational plan will not only help confirm the student’s position and opinion, but also suggest ways in creating good interaction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Second, it suggests how the structure of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of the report could be made to persuade the readers and which academic expressions should be applied. Third, this educational research has the suggestions in how to raise awareness of writing ethics, how to prevent plagiarism, how to cite, identify sources, and write references.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give practical examples to Vietnamese Korean learners by presenting the appropriate examples written by Korean native writers, reader level, text level, and ethical level in the category of writers and readers, the category of text, the category of writing ethics, as well as samples of inappropriate cases written by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and the modification methods. This research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of its kind in helping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to successfully complete academic writing at the Korean graduate schools and to reduce the burden of writing research reports. In particular, this study not only analyzed the research participants’writings, but also interviewe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depth and gathered the opinions of Korean professors. Hopefully, this research study would help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in Korean graduate schools or Korean language students in Vietnam in their academic writing such as reports or thesis/disser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4 1.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양상 연구 5 2.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 14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9 1. 연구 대상 19 2. 연구 방법 27 Ⅱ. 학문 목적 글쓰기의 이론적 배경 33 A. 학문 목적 글쓰기에 대한 이해 33 1. 학문 목적 글쓰기의 개념 33 2. 학문 목적 글쓰기의 특징과 이론 발달 35 3. 보고서 장르의 특징 37 B. 베트남 필자의 정체성 43 C. 학문 목적 글쓰기의 분석 요인 54 1. 필자와 독자 차원 58 2. 텍스트 차원 63 3. 윤리적 차원 69 Ⅲ. 베트남인 대학원생의 보고서 쓰기 양상 분석 72 A. 필자와 독자 차원 77 1. 필자 77 2. 독자 87 B. 텍스트 차원 94 1. 서론의 구조와 표현 양상 94 2. 본론의 구조와 표현 양상 102 3. 결론의 구조와 표현 양상 140 C. 윤리적 차원 146 1. 표절 147 2. 각주와 참고문헌 154 Ⅳ. 베트남인 대학원생을 위한 보고서 쓰기 교육 방안 160 A. 인식조사 160 1. 베트남인 대학원생의 인식조사 160 2. 한국인 전문가의 인식 조사 164 B. 보고서 쓰기 교육 방안 170 1. 필자와 독자 차원 교육 방안 170 2. 텍스트 차원 교육 방안 181 3. 윤리적 차원 교육 방안 224 V. 결론 236 참고문헌 239 부록 259 부록 1 예비조사를 위한 학습자 면담 내용 259 부록 2 교육 방안 제시를 위한 학습자 면담 내용 260 부록 3 전문가 면담 내용 261 ABSTRACT 2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135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내용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인문사회계열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Vietnamese Graduat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ports-
dc.creator.othernamePHAN, HOANG MY THUONG-
dc.format.pageix, 26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