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은실-
dc.creator김은실-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56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5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40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01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199-
dc.description.abstractAlthough the proportion of disability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s has increased and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reinforced, the social and educational inclusion of disability students continues to be difficul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in inclusive classrooms for disability students have low confidence levels. In order to provide quality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need a positive understanding of and improved professionalism in inclusive education for disability students. Although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s a major topic in the field of study including teacher education,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prior studies that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students for inclusive education of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mproving their teacher efficacy and understanding of inclusive education. Therefore, the goal of the study was for education of disability students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education of disabil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mong schools for education of disability students by examining the effects on teacher efficacy and understanding of inclusive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teachers working in inclusive classes at six elementary schools based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t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he remaining ten teach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teacher learning activities.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s an auditor. The activities were selected based on a preliminary survey from 22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inclusive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the details and activities were organized into ten sessions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meeting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differen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selected activity topics include health disorders, ADHD,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autism spectrum disorders, intellectual disabilities physical disabilities, family support, anger management, and the problem-solving strategies (1), (2) of students’ disabilities in the classroom.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teacher efficacy” questionnaire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 (1990) and revised by Kim Ju-hye (2008), and th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test questionnaire by Kim Ju-hye (2002) were edited and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changes from the pre-tests to the post-tests, the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an nonparametric statistics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s and the posttestss.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long-term effects of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inclusive teachers for disability student education, the teachers of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maintenance tests three months after the end of th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 and post-changes in the teacher efficacy score were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of teachers who did not. But the intergroup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although post-test score for teacher efficacy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t is difficult to statistically conclude that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for inclusion. Second, in the maintanance test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to examine long-term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in the experimental group teacher efficacy was maintained at a more or less consistent level. Third, overall score for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grea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intergroup differences in pre- and post-changes in attitudes to the subdomain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attitudes toward overall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the perceptions of education and discipline, and the impact of inclusive education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us,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sitively influenced the teachers in strengthening overall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s well as attitudes toward the 4 subdomains of inclusive education. Fourth, the results of the maintenance tests conducted to examine long-term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 indicates that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continued to increase after the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mplet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voluntary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f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lack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re effective in improving teacher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It was shown that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education of disability stud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re were voluntary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based on the their own needs, instead of top-down approaches, to prepare for education of disability students and inclusive education, as part of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other point of significance is that these activities achieved positive results for the education of disability students. ; 최근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비장애학생과 함께 교육받는 장애학생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에 통합교육을 위한 법적, 행정적 지원을 강화하려는 정책적 노력과 실천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들의 사회적, 교육적 통합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이는 물론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 결과일 것이나, 특히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초등교사의 낮은 자신감은 통합교육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학생을 위한 양질의 통합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를 담당하는 초등교사들의 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및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이해와 전문성 향상이 요구된다. 그러나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주제로 한 연구가 교사교육을 포함한 교육 관련 제 분야에서 주요 논제로 자리매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통합학급 초등교사들이 통합교육을 위해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교사효능감 및 통합교육의 이해를 향상시키는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는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 교육을 목표로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교사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의 6개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16명이다. 그중 8인의 교사는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8인은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활동 주제는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통합학급 초등교사 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 설문조사의 응답을 분석하여 도출하였으며, 세부 내용과 활동은 실험집단 교사학습공동체 회의 결과를 반영하여 연구자가 10회기를 구성하였다.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위한 최종 주제는 건강장애, ADHD, 정서행동장애, 자폐범주성장애, 지적장애, 지체장애, 가족 지원, 분노 조절장애, 교실에서 학생의 장애로 인한 문제해결 전략(1), (2)의 10개 항목이었으며, 실험 집단은 각 주제별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수행하였다.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의 효과 측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Enochs와 Riggs(1990)가 개발하고 김주혜(2008)가 수정한“교사효능감”과 김주혜(2002)의“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검사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Mann-Whiteny U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의 장기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활동 종료 3개월 후 실험집단 교사만을 대상으로 유지검사를 실시한 후 이를 윌콕슨 순위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교사효능감 점수 변화는 통제집단에 비해 증가의 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두 집단 간 평균 점수 변화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실험집단 교사의 교사효능감 제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둘째,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교사효능감 유지 효과를 분석한 결과, 활동의 효과가 활동 종료 3개월 후까지도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바, 통합학급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정도는 활동 종료 후에도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점수는 전 영역에 걸쳐 높은 평균을 나타냈으며 사전-사후검사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통제집단 또한 평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으나 실험집단의 평균 증가 폭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 두 집단 간 평균 점수 변화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검사의 하위 영역에서 두 집단이 보인 변화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즉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합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교육에 대한 인식, 훈육에 대한 인식, 그리고 통합교육이 장애아동에 미치는 영향 등의 4개의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전반적인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태도 개선뿐만 아니라 4개의 하위영역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통합교육의 영향력을 제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넷째,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활동 종료 이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측정한 평균값이 점진적으로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교사의 긍정적인 태도는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적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이기 쉬운 통합학급 초등교사들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위한 과정을 개발하였을 뿐 아니라, 이를 실천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용어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통합교육 9 1. 통합교육의 근거 9 2. 통합교육의 효과 10 3. 통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 4.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관한 선행연구 14 B. 교사효능감 17 1. 교사효능감의 개념 및 중요성 17 2.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 3.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특징 24 C. 교사학습공동체 26 1.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 26 2.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 36 3.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선행연구 38 III. 연구방법 42 A. 연구 참여자 43 B. 연구 일정 44 C. 연구 장소 47 D. 독립변인 46 E. 종속변인 58 F. 연구 설계 및 절차 61 G. 중재 충실도 66 H. 사회적 타당도 68 I. 자료 처리 및 분석 71 IV. 연구결과 72 A.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72 B.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73 V. 논의 및 제언 77 A. 논의 78 1.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78 2.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81 B. 연구의 의의 84 C.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84 참고문헌 87 부록 108 ABSTRACT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925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교사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dc.format.pagev. 14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