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장지원-
dc.creator장지원-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55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5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41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415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1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행복어린이집 만4,5세반 수‧조작영역 수학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부모와 교사가 협력하여 유아의 수학교구 만들기를 지원하는 방안을 실행하고, 실행과정에 참여한 유아와 부모 및 교사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조작영역 수학교육활동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행복어린이집 유아의 수‧조작영역 수학교구 만들기를 부모와 교사가 지원하기 위한 실행방안은 무엇인가? 2. 행복어린이집 유아의 수‧조작영역 수학교구 만들기를 부모와 교사가 지원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와 부모 및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만4,5세 혼합연령학급 도토리반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원장인 연구자와 교사 3명, 도토리반 유아 21명 및 수학교구 만들기에 참여한 부모 21명이다. 본 연구는 2017년 3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됐으며, Mills(2005)의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의 모형에 따라 3차 실행 과정을 거쳤다. 1차 실행은 수‧조작영역에 대한 유아의 흥미를 촉진하기 위해 부모와 유아가 수학교구 만들기에 참여했고, 2차 실행은 유아가 주도적으로 수학교구를 만들 수 있도록 부모와 교사가 지원했으며, 3차 실행은 유아가 만든 수학교구를 대여하는 방안이 실시되었다. 실행의 전 과정에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수학교구 만들기를 부모와 교사가 지원하는 실행방안으로 유아가 자신의 흥미와 사전경험을 반영한 수학교구를 고안하도록 돕는 유아협의를 진행했고, 부모가 유아의 수학교구 만들기를 지원하도록 돕는 부모협의와 SNS 활동을 진행했으며, 유아가 만든 수학교구를 활용한 수‧조작영역의 운영과 부모참여행사 및 교구대여를 실시했다. 둘째, 유아의 수‧조작영역 수학교구 만들기 실행에서 나타나는 유아와 부모 및 교사의 변화 중 유아의 변화는 수‧조작영역 참여가 증가했고, 수학교구활동에 몰입도가 높아졌고, 수학교구 제작자로써 자율성과 주도성이 강화됐으며, 수학적 의사소통이 증가했고, 수학적 능력의 긍정적 변화와 자신감이 상승한 것이다. 부모의 변화는 신설된 만4,5세 학급의 학습활동에 보였던 불안감을 해소하고 본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신뢰를 회복했고,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이해하고 가정에서 실천하게 됐으며, 자녀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른 가정과 함께 수학교구 만들기에 참여한 효과를 인식한 것이다. 교사의 변화는 수‧조작영역에서 수학교육을 실시하는 교사의 역할을 인식하게 되었고, 수․조작영역에서 의식적으로 수학교육을 실시했던 노력이 일과진행과 놀이상황으로 확대됐으며, 수학교수효능감이 상승했고, 교사 직무에 만족감이 증진된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들이 수학교구를 직접 만드는 방법을 통해 생활주제가 아닌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수‧조작영역 운영의 사례를 제시한 것, 그 과정에서 부모와 교사가 수학교육에 대해 의사소통하는 실제를 보여줌으로써 수학교육에 대해 부모와 소통하는 것의 효과와 중요성을 제시한 것, 수‧조작영역 운영을 중심으로 원장이 수학교육에 대해 교사교육을 실시하며 교사를 지원하는 방안을 실행해 현직교사교육을 위한 기관장의 관심과 노력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수학교육을 위해 모든 유아교육기관에서 기본적이고 일반적으로 운영하는 수‧조작영역의 수학교구를 활용해 유아와 교사,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했다. 그 결과 유아와 부모 및 교사에게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이 연구가 현장에 있는 원장과 교사들에게 하나의 계기가 되어 생활주제뿐 아니라 수학의 체계성과 유아의 흥미 및 잠재적 발달 수준을 기준으로 부모와 소통할 수 있는, 양질의 수학교육을 위한 수‧조작영역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실천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education activities in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in the field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involv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at was the cooperative plan of parents and teachers to support the making of the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of the child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in the 4, 5-year-old class in the Haengbog Childcare Center.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implementation plan for parents and teachers to support the making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in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of the child in the Haengbog Childcare Center? 2. What are the changes of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making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in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of the child in the Haengbog Childcare Center?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Dotoli class of the mixed age class of 4, 5-year-old in the workplace childcare center in Seoul. Participants were 1 researcher, 3 teachers, 21 children, and 21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aking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December in 2017 and has undergone a third-round process according to the model of Mills (2005) 's dialectical spiral-based study. The first process was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child in the making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to promote child’s interest in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The second was supports by parents and teachers so that the child could lead the making of the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In the third run, a plan was made to rent the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made by the chil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out the proc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n implementation plan supported by parents and teachers to make child's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 we conducted a child consultation that helped the child design the material that reflects his/her interests and prior experiences. A parental consultation was done to helpe parental support for their child's material. SNS activities, the operation of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using the materials created by children, parental participation event, and rent of the materials were conducted. Secon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materials in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of children, the changes of children in the changes of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were the increase in participation in that areas and the immersion in the activities of the materials. Participation as a creator of the materials has strengthened autonomy and initiative. Mathematical communication was increased, positive changes were in mathematical ability, and confidence was enhanced. Parental changes were the relieved anxieties seen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new 4,5-year-old class, the trust restored in the institution's curriculum,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implementations of them at home. They were able to discover the interests and attention on mathematics of their child, and recognized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the making of the materials with other families. Teachers’ changes were recognizing the role of teacher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The efforts to consciously perform mathematics education in that area have expanded to daily work process and play situation. Their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has risen, and the pride in teacher job has improved. The meanings of the study are to present the case of the operation of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that reflects the interest of the child rather than the life theme through the method of making the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directly by the child. In this process to suggest the effectiveness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by providing practical communicating examples on that. And to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attention and the effort of the head of the institution is important through the director’s education focusing on the operation in the number and manipulation area for the teacher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and her implementation plan to support them. The study was to find a way and to implement it for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to participate in mathematics education by using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basic and generally operated by all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for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This study is one of the occasions for the directors and teachers in the field, so that they can manage not only the life theme but also the math system and the math education for communicating with parents based on the potential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I hope that this will lead to practice that seeks a solu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연구자 7 Ⅱ. 이론적 배경 11 A. 만들기와 교육 11 1. 만들기 11 2. 만들기의 교육적 의의 14 B. 유아수학교육 19 1. 유아수학교육의 목적과 내용 19 2. 유아수학교육과 수학교구 32 3. 유아수학교육 실시를 위한 교사역할 40 4. 유아수학교육과 부모참여 45 Ⅲ. 연구방법 51 A. 실행연구 51 B. 연구대상 52 1. 행복어린이집 52 2. 도토리반 53 3. 교사들 57 4. 유아들 63 5. 부모들 64 C. 연구절차 65 1. 도토리반 수‧조작영역 수학교육활동에 대한 문제인식 65 2. 문제인식에 따른 실행방안 모색과 실행 68 D. 자료 수집 및 분석 71 1. 자료수집 71 2. 자료분석 72 Ⅳ. 유아의 수‧조작영역 수학교구 만들기를 부모와 교사가 지원하기 위한 실행방안 74 A. 1차 실행. 부모와 유아의 수학교구 만들기 74 1. 실행방안 실시 74 2. 실행방안 평가 94 B. 2차 실행. 부모와 교사가 유아의 주도적 수학교구 만들기 지원 98 1. 실행방안 실시 99 2. 실행방안 평가 130 C. 3차 실행. 유아가 만든 수학교구 대여 132 1. 실행방안 실시 133 2. 실행방안 평가 141 V. 유아의 수‧조작영역 수학교구 만들기를 부모와 교사가 지원하는 과정에서 유아와 부모 및 교사의 변화 142 A. 유아의 변화 142 1. 수‧조작영역 참여증가와 수학교구활동에 몰입 142 2. 교구제작자로서 자율성 강화 148 3. 수학적 의사소통 증가 151 4. 수학적 능력 변화에 따른 자신감 상승 155 B. 부모의 변화 160 1.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신뢰회복 160 2. 유아수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이해와 실천 164 3. 수학에 대한 자녀의 흥미와 관심 발견 168 4. 다른 가정과 함께 수학교구 만들기에 참여한 효과 인식 171 C. 교사의 변화 174 1. 수․조작영역에서 수학교육을 실시하는 교사역할 인식 174 2. 수학교육을 위한 의식적 노력 확대 180 3. 수학교수효능감 상승 184 4. 교사 직무에 만족감 증진 186 VI. 논의 및 결론 190 A. 요약 및 논의 190 1. 유아의 수․조작영역 수학교구 만들기를 부모와 교사가 지원하기 위한 실행방안 190 2. 유아의 수․조작영역 수학교구 만들기를 부모와 교사가 지원하는 과정에서 유아와 부모 및 교사의 변화 194 B. 결론 및 제언 200 참고문헌 206 부록 219 ABSTRACT 2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700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어린이집 유아, 부모, 교사가 함께 만드는 수학교구에 관한 실행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Action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Made by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in Childcare center-
dc.creator.othernameChang, Ji won-
dc.format.pagevii, 24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