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8 Download: 0

학령전기 아동의 어휘력 수준과 음운인식 능력에 따른 철자쓰기 특성

Title
학령전기 아동의 어휘력 수준과 음운인식 능력에 따른 철자쓰기 특성
Other Titles
Spell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 of Preschool Children
Authors
도신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Spelling is the basic skill of writing. So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in spelling have difficulty writing their thoughts because of repeated spelling errors and also have difficulty in school life. There are limited amounts of research on spelling development in Korea and there is lack of research that deals with linguistic knowledge and its relevance to early spelling development which is an issue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 of early spelling development,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N), vocabulary delay(D-V), phonological awareness delay(D-PA), and vocabulary/phonological awareness delay(D-VPA)) depending on their vocabulary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 Also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spelling accuracy of letters according to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correspondent, non-correspondent) based on the spelling development process and to analyze spelling errors by dividing them into letter errors, morphological errors, and phonetic err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normal(N) children, 16 vocabulary delay(D-V) children, 16 phonological awareness delay(D-PA) children, 14 vocabulary/phonological awareness delay(D-VPA) children, and a total of 66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spelling accuracy of letters according to th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among group, the main effects of th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and the groups were significant. The spelling accuracy of th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the spelling accuracy of the normal(N) group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the spelling accuracy of the vocabulary/phonological awareness delay(D-VPA) group was significantly the lowes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cabulary delay(D-V) and phonological awareness delay(D-PA). It can be seen that th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develop ahead of the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and that vocabulary level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 predict spelling and affect together from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groups and th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were significant. The three groups of normal(N), vocabulary delay(D-V), and phonological awareness delay(D-PA) had higher accuracy of th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compared to accuracy the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but the vocabulary/phonological awareness delay(D-VPA) group showed difficulty with both.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letter error types (omission, substitution, addition), There were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of errors in the order of omission, substitution, and additio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errors in the lettering in normal(N) groups was significantly the lowest, the frequency of error in the lettering in the vocabulary/phonological awareness delay(D-VPA) group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It indicates that substitution error is the highest in normal(N) groups and omission error is the highest in vocabulary/phonological awareness delay(D-VPA) group. And It can be seen that a child's spelling development develops into an incomplete phase, although one-on-on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appears at a stage where no one-on-on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appears.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ate of emergence of morphological error types (full morpheme, grammatical morpheme) among groups show that children recognize postposition and ending more than a full morpheme because of the post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tical morpheme developed in the Korean language. Moreover, the interaction did not occur at an age prior to the development of morphological knowledge. La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mergence of phonetic rule reflection error types among groups, the incidence of phonetic rule reflection errors in normal(N) groups was significantly the higher, and the incidence of errors in vocabulary/phonological awareness delay(D-VPA) groups was significantly the lower, as opposed to the frequency of letter errors and morphological errors appearing. Also vocabulary/phonological awareness delay(D-VPA) groups show a lot of omission and substitution to phonologically unrelated phonemes and normal(N) groups have many errors in reflecting phonetic ru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spelling skills according to the vocabulary level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 of preschool children. According to the study, vocabulary level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ffected spelling accuracy and error typ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spelling in preschool children. Therefore, the spelling predictors will provide the basis for classification and write intervention of write development risk groups.;철자쓰기는 쓰기의 기초가 되는 능력으로 철자쓰기에 어려움을 가지는 아동은 반복적인 철자오류로 인해 자신이 생각한 것을 글로 쓰는 것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MacArthur et al., 1996; Mattin & Manno, 1995), 이로 인해 교과수업 및 학교생활에도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정혜승, 김소희, 2008; 최승숙, 2010; Berninger, 2000; Graham etal., 1991). 읽기능력이 발달하면 쓰기능력도 자연스럽게 발달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읽기부진의 해결 후에도 쓰기부진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Frith(1980)의 연구에 따르면 읽기를 할 때는 일부 단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단어의 철자를 정확하게 알지 못해도 읽기가 가능할 수 있지만 철자 쓰기를 위해서는 음소에 맞는 자소를 선택하고 철자법에 맞게 순서대로 조합해야함으로 읽기보다 철자쓰기가 더 많은 언어학적 전략을 요구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철자쓰기를 하기 어렵다. 자소-음소 불일치형을 정확히 쓰기 위해서는 복잡한 철자 지식과 형태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소-음소 일치형이 불일치형 보다 선행하여 발달 한다고 한다(송엽, 2017). 글자와 소리가 일대일 대응을 이루는 단어부터 습득한 후 음운변동 규칙으로 글자와 소리의 대응이 달라지는 단어를 습득하고 그 후에 형태소의 의미를 알고 철자에 활용해야하는 단어를 습득한다고 한다(양민화, 2005). 국외 선행연구에서는 아동이 음운인식, 철자인식, 형태인식의 단계로 언어지식을 사용하는 능력을 순차적으로 습득한다는 단계이론을 철자발달이론으로 설명하였다(Goswami, 1992; Henderson, 1985).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아동이 철자발달의 초기부터 이러한 지식을 활용하여 철자를 읽고 쓰되 지식의 영향력이나 그에 대한 의존도가 단계마다 다를 뿐이라고 밝히고 있다(Apel et al., 2012; Barber, 2013; Berninger et al., 2010). 국내에서는 철자쓰기 발달 연구가 많지 않으며 영어권 연구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언어학적 지식과 초기 철자쓰기 발달과의 관련성을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정경희, 2017). 이에 본 연구는 초기 철자쓰기 발달단계인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철자쓰기 예측변인인 어휘력과 음운인식 능력에 따라 네 집단 (정상(N), 어휘지연(D-V), 음운인식지연(D-PA),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으로 분류하고, 철자쓰기 발달 과정에 근거하여 자소-음소 일치여부(일치, 불일치)에 따른 글자소 쓰기 정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글자소 오류, 형태소 오류, 음운규칙 오류로 나누어 철자쓰기 오류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5;0~6;10 학령전기 아동으로 정상(N)아동 20명, 어휘지연(D-V)아동 16명, 음운인식지연(D-PA)아동 16명,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아동 14명, 총 66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집단 간 자소-음소 일치여부에 따른 글자소 쓰기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자소-음소 일치 여부와 집단에 대한 주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자소-음소 일치자소 정확도가 자소-음소 불일치자소 정확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정상(N)집단의 쓰기 정확도가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집단의 쓰기 정확도가 유의하게 가장 낮았으며, 어휘지연(D-V), 음운인식지연(D-PA)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소-음소 일치 자소가 불일치 자소보다 선행하여 발달하며, 어휘력수준과 음운인식능력이 철자쓰기를 예측하며 발달 초기부터 함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소-음소 일치여부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정상(N), 어휘지연(D-V), 음운인식지연(D-PA) 세 집단은 자소-음소 일치 자소 정확도가 자소-음소 불일치 자소 정확도에 비해 높았으나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집단은 자소-음소 일치 자소, 불일치 자소 모두에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집단 간 글자소 오류유형(생략, 대치, 첨가)의 출현빈도를 분석한 결과, 글자소 오류 유형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생략, 대치, 첨가 순으로 높은 오류 출현빈도를 보였으며, 정상(N)집단의 글자소 오류 출현빈도가 유의하게 가장 낮았고,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집단의 글자소 오류 출현빈도가 유의하게 가장 높았으며, 어휘지연(D-V), 음운인식지연(D-PA)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글자소 오류 유형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정상(N)집단은 생략과 대치에 유의한 차이 없이 낮은 출현빈도를 보였으나, 어휘지연(D-V), 음운인식지연(D-PA),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집단은 생략이 대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집단은 대치와 첨가에 유의한 차이 없이 낮은 출현빈도를 보였으나, 정상(N), 어휘지연(D-V), 음운인식지연(D-PA) 집단은 대치가 첨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정상(N)집단은 대치오류가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집단은 생략오류가 가장 높다는 것을 나타내며, 아동의 쓰기발달이 음소와 글자소 간 일대일 대응이 나타나지 않는 단계에서 일대일 대응이 나타나지만 불완전한 단계로 발달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집단 간 형태소 오류유형(실질형태소, 문법형태소)의 출현율을 분석한 결과, 형태소 오류 유형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실질 형태소 오류율이 문법형태소 오류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정상(N)집단의 형태소 오류 출현율이 유의하게 가장 낮았고,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집단의 형태소 오류 출현율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으며, 어휘지연(D-V), 음운인식지연(D-PA)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형태소 오류 하위유형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조사와 어미가 발달한 한글의 특성으로 실질형태소에 비해 문법형태소 조사와 어미를 인식하였으나, 형태소 지식 발달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이전인임으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집단 간 음운규칙 반영 오류유형의 출현율을 분석한 결과, 음운규칙 반영 오류유형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ㅎ탈락, 격음화로 인한 오류 순으로 오류 유형이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경음화, 모음유사, 비음화로 인한 오류 순으로 오류 유형이 적게 나타났고, 글자소 오류와 형태소 오류 출현빈도와는 반대로 정상(N)집단의 음운 규칙 반영 오류 출현율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집단의 오류 출현율이 유의하게 가장 낮았으며, 어휘지연(D-V), 음운인식지연(D-PA)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휘/음운인식지연(D-VPA)집단은 음운적으로 관련 없는 음소로 대치 혹은 생략이 빈번한데 비해 정상(N)집단은 음운규칙 반영 오류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어휘력 수준과 음운인식능력에 따라 철자쓰기 능력의 발달을 비교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 어휘력 수준과 음운인식능력 은 학령전기 아동의 철자쓰기 발달단계에 따른 철자쓰기 정확도 및 오류유형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철자쓰기 예측변인을 통해 쓰기 발달 위험군 분류 및 쓰기 중재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