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8 Download: 0

부양기대와 정책신뢰가 중고령자의 노후불안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양기대와 정책신뢰가 중고령자의 노후불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upport expectation and policy trust on anxiety about old age for the middle-aged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Authors
정주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노후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이를 분석하고 검증함으로써 노후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노후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양기대와 정책신뢰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노후준비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부양기대와 정책신뢰가 노후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노후준비가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 요인 간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관계를 구체화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45-64세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설문조사 전문기관을 통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대상자는 조사기관의 Master Sample에서 성별과 연령에 대해 인구비례를 고려하여 무작위로 표집하였다. 이메일을 발송하여 설문을 최종 완료한 558명의 자료를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 SPSS 23.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노후불안은 평균적으로 보통 수준보다 다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이 중고령자의 노후불안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인 부양기대 및 정책신뢰와 노후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양기대와 정책신뢰 모두 노후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부양기대 및 정책신뢰와 노후불안과의 관계에서 노후준비가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과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고령자의 심리적 안녕을 위해 노후불안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노후보장정책들에 대한 정책신뢰가 노후불안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실효성을 갖고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정책 대상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파악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노후준비가 노후불안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부양기대, 정책신뢰와 노후불안 사이를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고령자가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노후준비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정책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노후를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마련해야 한다. 연구 목적과 결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중고령자의 부양기대와 정책신뢰가 노후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관계에서 노후준비가 매개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중고령자의 노후불안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노후불안의 하위차원으로 경제적 측면에서의 불안감을 포함하여 살펴봄으로써 노년기 생활과 직결되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측면에서 노후불안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각 변수의 하위요인 간 경로분석을 통해 변수 간 관계를 구체화함으로써 다각적으로 정책적, 실천적 방안 모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anxiety about old age of the middle-aged by establishing and analyzing research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bout old age and related major variables, and to present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level of anxiety about old age.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that is composed of support expectation, policy trust, preparation for old age, and anxiety about old age. In the research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influence anxiety about old age as a dependent variable are support expectation(expectations for filial support) and policy trust. And the medi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anxiety about old age is preparation for old age. Accordingly, the effects of support expectation and policy trust on anxiety about old age were confirmed and analyzed whether preparation for old age acts as mediating variable in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was analy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m.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iddle-aged 45 to 64 living all over the country by online through a survey agency. Subjects were randomly sampled from the master sample of the survey agency, taking into account proportionality of population to gender and age. Data from 558 people who completed the survey by an email were used as data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the SPSS 23.0 and AMOS 22.0 programs. The results and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nxiety about old age of the respondents was just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measurement model, it was found that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as suitable and explained the anxiety about old age for the middle-ag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expectation, policy trust and anxiety about old age, it was confirmed that both support expectations and policy trust had a direct effect on anxiety about old age.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preparation for old age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support expectation and policy trust on the anxiety of old age.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duce anxiety about old age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iddle-aged, which requires continuous attention and effort. Second, as it is found that policy trust in old age security reduces anxiety about old age,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that are effective and credible.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fully understand the needs of policy target group by collecting various opinions and to establish stable and effective policie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Third, it was confirmed that preparation for old age not only directly influences anxiety about old age, but also mediates between support expectation, policy trust and anxiety about old 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middle-aged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 necessity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and faithfully carry out their preparation. Various programs and services that encourage the middle-aged to design life after retirement in connection with government policies and to implement it should be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the meanings as follows. First, it is significant to suggest a new model to explain the anxiety about old age for the middle-aged by confirming that the support expectation and policy trust are affecting anxiety about old age and that the preparation for old age mediates in these relationships. Second, it is meaningful to cover anxiety about old age in a practical way by examining economic anxiety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old age life as a subfactor of anxiety. Third,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foundation was established to find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in various ways by spec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th betwee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