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상미-
dc.contributor.author강명신-
dc.creator강명신-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2:47Z-
dc.date.available2020-02-03T16:32:4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7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72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31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마을기업 활동 경험이 어떠한지를 질적 연구를 통해 깊이 있게 탐색하고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마을기업 활동에 참했던 연구 참여에 동의한 중년여성 9명을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and Cobin)이 제시한 반복적 비교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범주를 찾아 연구 참여자들의 활동 동기와 배경, 과정, 변화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해석하여 중년여성의 마을기업 활동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중년여성의 마을기업 활동 참여 동기와 배경〉은 ‘중년여성 위기: 일상의 불안과 갈등’,‘육아의 어려움과 자녀교육’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중년여성의 마을기업 활동 과정〉은 ‘사회적 자본의 접근’ ‘가족의 외연확장’, ‘가족의 동반성장’, ‘마을기업 해산 후 소모임으로 진화’로 나타났다. 세 번째,〈중년여성의 마을기업 활동경험이 가져온 변화〉는 ‘시선의 확장’, ‘새로운 자아형성’, ‘마을공동체 형성의 주체’, ‘공감적 시민’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마을기업이 중년의 소외감과 심리적 갈등을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경제조직이라는 점과 중년여성의 마을공동체 변화의 주체로 등장하고 공감적 시민으로 성장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마을기업 활동에 참여한 중년여성이 자아 찾기, 마을공동체 형성의 주체, 공감적 시민으로 성장한다는 점을 조명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가 있다. 정책적 함의는 대도시 마을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도시형 마을기업의 기업적 경쟁력 확보 방향은 어디에 있는지 충분한 연구와 정책이 필요하고 우선순위가 무엇인지를 정책에 반영한 평가지표 개발, 다양한 계층들이 마을기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마을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과 지속 가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중년여성들의 마을기업 활동 경험의 의미를 살펴본 것으로 연구 대상이 40·50대 중년여성의 경험에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감성마을의 특성을 다른 마을기업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므로 마을기업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역별, 업종별, 성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주요 주체들의 경험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iddle-aged women have experiences in community business activities an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m in depth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business activitie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collected data and used the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suggested by Strauss and Cobin. Finding the categories that appeared in the study results, classifying them into the motives, backgrounds, processes, and changes of the participants, and analyzing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experiences of community activiti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and backgrounds of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in community business activities were 'middle-aged women's crisis: daily anxiety and conflict' and 'children's difficulties and children's education'. Secondly, the middle-aged women's community business activity process showed social approach, extended family's external growth, family's shared growth, and evolution after the dissolution of community business. Third, the changes brought on by middle-aged women's experiences of community business activities consist of 'expansion of eyes', 'new self-formation', 'subjects of village community formation' and 'sympathetic citize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community business is an economic organization tha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the middle-aged alienation and psychological conflict, and that the middle-aged woman emerges as a subject of change in the community and grows into a sympathetic citizen.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the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community business have grown and are working as self-discovery, the subjects of community formation and empathetic citizen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that reflect the policy priorities and the need for sufficient research and policy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urban community business to secure corporate competitiveness for the sustainability of urban enterprises. It is urgent to spread social awareness of community business and to establish a sustainable institutional system for acces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study on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experiences of community business activities.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villages to other community business in that the study subject is limited to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various major actors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 industry, and gender that are active in the community busi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목적 및 질문 4 Ⅱ. 문헌고찰 5 A. 중년여성의 전환기적 특징 5 B. 공동체 7 C. 공감적 시민 8 D. 마을기업에 관한 고찰 10 1. 마을기업 등장과 개념 10 2. 마을기업 지원정책 12 3. 마을기업의 현황 17 Ⅲ. 연구방법 19 A. 감성마을 개요 19 B. 연구 참여자 22 C.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23 D. 연구윤리 확보 24 Ⅳ. 연구결과 25 A. 중년여성의 마을기업 활동 동기와 배경 26 B. 중년여성의 마을기업 활동 과정 35 C. 중년여성의 마을기업 활동 경험이 가져온 변화 57 Ⅴ. 결론 69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69 B. 연구함의 및 제언 72 참고문헌 75 부록 1 인터뷰 가이드 80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43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30-
dc.title중년여성의 마을기업 활동 경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xperience in Community Business Activities of Middle-aged-
dc.creator.othernameKang, Myoung Shin-
dc.format.pageiv,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적경제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