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3 Download: 0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건강문해력

Title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건강문해력
Other Titles
Acculturation and Health literacy of Chinese and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uthors
조은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for analysing the acculturation, health literacy and factors affecting health literacy of Vietnamese and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sample consisted of 90 Vietnamese and 89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programs in metropolitan city A. Data were collected from 24th of June, 2019 to 7th of September, 2019. Health literacy was measured by HLI-FMI(Health Literacy Index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cculturation was measured by Acculturation Index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For the stud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21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ulturation level of participants was measured by two scales; adaptation level to Korean culture and maintenance level of mother culture. The mean score of adaptation level to Korean culture among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65.71±9.79) and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94.41±16.56) had no difference. The mean score of maintenance level of mother culture, Chinese female immigrants(65.71±9.79) were higher than Vietnamese(65.71±9.79)(t=-3.523, p=.001). Chinese female immigrants had higher mean score of health literacy(9.80±2.72) than Vietnamese had(8.07±3.57)(t=-3.596, p<.001). 2. Health literacy of Vietnamese participa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length of residence(F=10.497, p<.001), experience of pregnancy(t=-2.305, p=.024), number of children(F=3.800, p=.028),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F=3.926, p=.011), occupation(t=-6.112, p<.001), and subjective Korean language level(F=9.661, p<.001). Health literacy of Chinese participa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length of residence(F=14.858, p<.001), family members(t=-2.976, p=.004), experience of pregnancy(t=-2.009, p=.048), number of children(F=4.268, p=.017) and subjective Korean language level(F=15.12, p<.001). Health literacy of total participa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s difference depending on age(F=5.528, p=.005), length of residence(F=27.783, p<.001), family relation(t=-3.344, p=.001), experience of pregnancy(t=-3.582, p=.001), number of children(F=7.944, p=.001). Also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of husbands(F=3.207, p=.043), occupation(t=-5.442, p<.001),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5.359, p=.001), usage of medical service(F=7.207, p=.001), and subjective Korean language level(F=15.12, p<.001), health liter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Regarding health literacy,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level to Korean culture(r=.315, p<.01) and maintenance level of mother culture(r=.209, p<.01) among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Health literacy of Chinese female immigrant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level to Korean culture(r=.972, p<.01) and maintenance level of mother culture(r=.925, p<.01).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ealth litera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r=.400, p<.01) and also to the maintenance level of mother culture(r=.354, p<.01) among total participants. 4. For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re was no factor affecting health literacy. For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ngth of residenc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explained 47.5% of health literacy. Length of residence(β=.442 p<.001) appeared to have greater impact on health literacy than adaptation to Korean culture(β=.381, p=.007). Length of residenc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lso explained 39.9% of health literacy among total participants, length of residence(β=362. p<.001) that appeared to have the greater impact on health literacy,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β=.226 p=.019) Thes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health literacy level among Vietnamese and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Chinese female immigrants had higher level of health literacy. Although there was no factor affecting health literacy among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ngth of residence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ppeared to influence health literacy. For Chinese, length of residence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were factors affecting health literacy. Therefore,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dividing into classes by considering length of residenc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s needed to provide graded education of health literacy. This strategy can create significant learning impact on health literacy. Continuously providing supportive system for helping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can also have positive effect on health literacy. Based on this study, data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graded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for promoting health literacy of Chinese and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본 연구는 A광역시에 거주 중인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문화적응과 건강문해력 수준을 확인하고 건강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 및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에 참여중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90명과 중국 결혼이주여성 89명으로 총 1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9년 6월 24일부터 2019년 9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로 Yang, Chee(2017)가 개발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건강문해력 측정도구(Health Literacy Index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LI-FMI)를 사용하였다. 문화적응은 김연수(2011)가 한국문화적응 척도, 모국문화유지 척도로 구성하여 개발한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문화적응과 건강문해력 한국문화적응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94.41±16.56점, 중국결혼이주여성이 95.13±17.52로 두 집단 간에 차이는 없었다. 모국문화유지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65.71±9.79점, 중국 결혼이주여성이 71.15±10.83점으로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모국문화유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t=-3.523, p=.001) 대상자의 건강문해력은 8.93±3.28점이었으며,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은 8.07±3.57점, 중국 출신 결혼이주여성은 9.80±2.72점으로 각각 측정되어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점수가 더 높았다(t=-3.596, p<.001).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문화적응에 따른 건강문해력 차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거주기간이 3년 미만일 때보다 3년 이상일 때 건강문해력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F=10.497, p<.001), 임신경험이 있을 때(t=-2.305, p=.024), 자녀 수가 2명 이상일 때(F=3.800, p=.028) 건강문해력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평균 가계 총소득이 높을수록(F=3.926, p=.011), 직업이 있을 경우(t=-6.112, p<.001) 건강문해력 수준이 더 높았다. 주관적 한국어 능력(F=9.661, p<.001)에 따라서도 건강문해력 수준에 차이가 났으며, 주관적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건강문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결혼이주여성에서도 거주기간이 길수록(F=14.858, p<.001) 건강문해력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거 중인 가족으로 부부 외에 다른 구성원이 함께 살 때(t=-2.976, p=.004), 임신경험이 있을 때(t=-2.009, p=.048), 자녀가 2명이상일 때(F=4.268, p=.017) 건강문해력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주관적 한국어 능력(F=15.12, p<.001)에 따라서도 건강문해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관적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건강문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과 중국 결혼이주여성을 종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연령이 높고(F=5.528, p=.005), 거주기간이 길수록(F=27.783, p<.001) 건강문해력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동거 중인 가족은 부부 외에 다른 구성원이 있을 때(t=-3.344, p=.001), 임신 경험이 있을 때(t=-3.582, p=.001), 자녀 수가 2명 이상일 때(F=7.944, p=.001) 건강문해력 수준이 높았다. 이밖에도 남편의 최종학력(F=3.207, p=.043)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업이 있을 때(t=-5.442, p<.001), 월평균 가계 총소득이 높을 때(5.359, p=.001), 입원 경험이 있을 때(F=7.207, p=.001) 건강문해력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주관적 한국어 능력도 건강문해력 수준에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F=20.470, p<.001), 주관적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건강문해력 수준이 높았다. 3. 대상자의 문화적응과 건강문해력의 상관관계 문화적응과 건강문해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은 한국문화적응(r=.315, p<.01), 모국문화유지(r=.209, p<.01)로, 중국 결혼이주여성은 한국문화적응(r=.972, p<.01), 모국문화유지(r=.925, p<.01)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베트남과 중국 결혼이주여성을 종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한국문화적응(r=.400, p<.01), 모국문화유지(r=.354, p<.01)도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건강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중회귀분석 결과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었으며, 중국 결혼이주여성은 거주기간(β=.442 p<.001), 한국문화적응(β=.381, p=.007) 순으로 건강문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47.5%이었다.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을 종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거주기간(β=362. p<.001), 한국문화적응(β=.226 p=.019) 순으로 건강문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39.9%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베트남과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베트남과 중국 결혼이주여성을 종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거주기간, 한국문화적응이 건강문해력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중국 결혼이주여성에서도 거주기간, 한국문화적응이 건강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을 거주기간 별 집단으로 나누어 수준별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이 될 것이다. 또한 한국문화적응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원체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건강문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