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3 Download: 0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이 인간중심케어에 미치는 영향

Title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이 인간중심케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on person-centered care for nursing home nurses
Authors
박승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감이 인간중심케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노인요양시설 내 인간중심케어 실천을 강화하고, 입소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A시, B, C도에 위치한 18개의 노인요양시설의 간호사 108명이다. 연구도구는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해 Resnick 등(2003) 개발하고 정덕유 등(2015)이 번안한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for restorative care activities scales을 이용하였고,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결과기대감을 측정하기 위해 Resnick 등(2004)이 개발, 정덕유 등(2015)이 번안한 Korean version of Outcome expectations for restorative care activities scales을 사용하였다. 인간중심케어 측정을 위해 Edvardsson 등(2010)이 개발하고 탁영란 등(2015)이 수정 및 번안한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평균 연령은 51.50±9.26세이며, 대학교 졸업자가 44.4%(48명), 종교를 가진 대상자가 72.2%(78명)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기혼자가 88.9%(96명)이었고, 일반간호사가 63.0%(68명)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18.66±9.77년이었고, 현 노인요양시설 재직기간은 평균 3.88±4.24년으로 나타났다. 관리 병상수는 평균 60.68±37.79명이며, 사립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대상자가 67.6%(73명)으로 확인되었다. 2. 대상자의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10점 만점에 평균 7.69±1.49점,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결과기대감은 5점 만점에 평균 4.19±0.56점, 인간중심케어는 5점 만점에 평균 3.91±0.55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개별화된 돌봄은 3.92±0.57점, 조직적 및 환경적 지지는 3.89±0.68점이었다. 3.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연령(F=7.698, p=.001), 종교 유무(t=2.625, p=.010), 직위(t=-3.421, p=.001), 총 임상경력(F=5.368,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직무 특성에 따른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결과기대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인간중심케어는 최종학력(F=5.557, p=.005), 직위(t=-2.712, p=.008), 총 임상경력(F=2.940, p=.037), 현 요양시설 재직기간(F=2.920, p=.038), 현재 관리 병상수(F=5.997,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48, p=.010).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인간중심케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543, p<.001),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결과기대감과 인간중심케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292, p=.002). 5. 인간중심케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β=.420, p<.001), 현재 관리 병상수(β=-.258, p=.002),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결과기대감(β=.173, p=.034)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7.6%였다(F=9.051, p<.001). 인간중심케어의 하부영역인 개별화된 돌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β=.399, p<.001)과 결과기대감(β=.267, p=.001), 현재 관리 병상수(β=-.176, p=.031)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7.1%였다(F=8.901, p<.001). 조직적 및 환경적 지지의 경우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β=.346, p=.001)과 현재 관리 병상수(β=-.280, p=.002)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3.9%였다(F=5.205, p<.001).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이 높을수록 인간중심케어의 정도가 높았기에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기능유지간호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을 높이도록, 기능유지간호와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시설 내에서 인간중심케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호사의 현재 관리 병상수가 인간중심케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나 노인요양시설 내 간호사의 의무배치나 인력 충원 등의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on person-centered care for nursing homes nurse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enhancement of the person-centered care and elderlies’life qua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ampled 108 nurses working for 18 nursing homes in ‘A’city, ‘B’and ‘C’ provinces.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self-efficacy for function-focused care, the Korean of Self-efficacy for restorative care activities scales was used. For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the Korean of Outcome expectations for restorative care activities scales was used. Lastly,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person-centered care,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ubject’s self-efficacy for function-focused care scored 7.69±1.49 on average on a 10-point scale, while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scored 4.19±0.56 on average on a 5-point scale. Person-centered care scored 3.91±0.55 on average on a 5-point scale. Its sub-area or Extent of personalizing care scored 3.92±0.57 on average on a 5-point scale, and its another sub-area or the Organiza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perceived by them scored 3.89±0.68 on a 5-point scale. 2. It was found that subjects’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r=.248, p=.010). Further, subjects’ self-efficacy for function-focused care was fou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son-centered care (r=.543, p<.001),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was fou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son-centered care (r=.292, p=.002). 3.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subjects’ person-centered care were self-efficacy for function-focused care (β=.420, p<.001), the number of the beds cared (β=-.258, p=.002)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β=.173, p=.034). The expectation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7.6% (F=9.051, p<.001). On the other hand, the sub-variables of person-centered care was Extent personalizing care. The variables affecting it were self-efficacy for function-focused care (β=.399, p<.001),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β=.267, p=.001) and the number of the beds cared (β=-.176, p=.031). Total explanatory power was 37.1% (F=8.901, p<.001). The Organiza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were affected by self-efficacy for function-focused care (β=.346, p=.001) and number of the beds cared (β=-.280, p=.002). Total explanatory power was 23.9% (F=5.205, p<.001). Finally, Since the high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are, person-centered care is higher, it is deemed necessary to operate an educational program related to function-focused care to help nursing home nurse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function-focused care and thereby, provide for person-centered care within nursing homes.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the beds cared by a nurse has been found to affect person-centered care, it is also deemed necessary to explore the ways to place the nurse within nursing homes compulsorily or increase the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