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아동기 자녀의 자발적 보고의 영역별 양상

Title
아동기 자녀의 자발적 보고의 영역별 양상
Other Titles
The aspects of children’s disclosure to parents in different domains : The relations with parental warmth, negative reactions, and parent-child attachment
Authors
최혜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children’s disclosure to parents in different domains focusing on the relations with parental warmth, negative reaction, and parent-child attachment. Disclosure and reasons for nondisclosure about children’s activities in school(institute)-related, safety, rule-breaking, friend, and personal domains were assessed. The participants were 120 students of 3rd graders, 120 students of 6th graders, and their mothers in Seoul and Gangwon. Children completed questionnaires on negative reactions of their parents, parent-child attachment, and their disclosure to parents. Mot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parental warmth.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ple group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diclosed more than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rule-breaking, friend, personal domains. The reasons for nondisclosure of 3rd graders and 6th graders in school (institute)-related and rule-breaking domains were parental disapproval reasons(get in trouble). The reasons for nondisclosure of 3rd graders in friend domain were parental disapproval reasons(get in trouble), but those of 6th graders were personal reasons(personal matter). The reasons for nondisclosure of 3rd g raders and 6th graders in person domains were personal reasons(personal matter). Second, parental warmth and negative reac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arent-child attachment, and parent-child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disclosure to parents in rule-breaking, friend, and personal domains. But, parent-attachment didn’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disclosure to parents in school(institute)-related domain. That is, parental high level of warmth and low level of negative reactions influence parent-child attachment which may result in a high level of children’s disclosure in rule-breaking, friend, and personal domains. Third, parental negative reac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disclosure in rule-breaking domai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arent-child attachment, but not in the other domains. Also parental warmth didn’t show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disclosure in all domains. That is, parental negative reactions could be important variables to decrease children’s disclosure about their rule-breaking behaviors. Forth, the differences in graders were not confirmed. That is, this results could be applied to children in middle childhood as well as to those in late childhood or adolesc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ent-child attachment could be an important variable to increase children’s disclosure to parents. Negative reactions of parents are important variables to decrease children’s disclosure to parents especially in rule-breaking domain. In sum, parenting and child-parent attachment could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children’s disclosure according to children’s activities in different domains. Also, this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disclosure to parents could be applied to children in middle childh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expected to use as a foundational resource in developing the program regard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o increase children’s disclosure.;본 연구는 아동 중기와 후기를 대상으로 자녀가 유의미한 양육자인 부모에게 하는 자발적 보고의 정도를 살펴보고, 자발적 보고를 하지 않는 이유를 아동들이 경험하는 일상생활의 영역별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모의 온정성과 부정적 반응이 아동의 자발적 보고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부모애착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영역별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가 청소년기에 진입하기 직전인 아동 후기(초등학교 6학년) 뿐 아니라 청소년 초기의 특성을 아직 나타내지 않는 아동 중기(초등학교 3학년)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과 강원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 120명, 초등학교 6학년 120명과 각 아동의 어머니로, 총 240쌍의 아동과 어머니이다.부모의 온정성은 Slater와 Power(1987)가 고안한 PDI(Parenting Dimension Inventory)를 권연희(1996)가 어머니 자기보고용으로 번안한 설문지 중, 선우현정(2009)이 사용한 온정성 6문항을 사용하였고 어머니가 보고하였다. 부모의 부정적 반응은 Tilton-Weaver 등(2010)이 개발한 부모반응 척도 중 부정적인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애착은 Kerns Security Scale(KSS)을 재구성한 허윤진(2002)의 척 도를 자기보고식으로 구성한 윤미(2008)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영역별 일상경험과 부모에게 하는 자발적 보고의 정도는 전문가 검토와 예비조사를 통하여 교육기관영역, 안전영역, 규칙영역, 친구영역, 개인영역의 5가지 영역으로, 총 34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아동이 부모에게 자발적 보고를 하지 않는 이유는 Smetana 등(2009)이 사용한 응답 보기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부정적 반응과 부모애착, 아동의 자발적 보고는 아동이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t-검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분석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였다. 학년별 동일성 검증을 위하여 다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영역별 , 경험은 교육기관영역과 규칙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초등학교 6학년이 3학년보다 교육기관영역과 규칙영역 경험이 더 많았으며, 친구영역, 개인영역은 학년 간 차이가 없었다. 아동이 부모에게 자발적 보고를 하는 정도는 교육기관영역을 제외하고 규칙영역과 친구영역, 개인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세 영역 모두 초등학교 3학년이 6학년보다 부모에게 자발적 보고를 더 많이 하였다. 자발적 보고를 하지 않는 이유는 교육기관영역과 규칙영역의 경 우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 모두 말하면 문제가 생길 것을 두려워해서가 많았다. 친구영역의 경우 3학년은 말하면 문제가 생길 것을 두려워해서가, 6학년은 개인적인 문제여서가 많았으며, 개인영역의 경우 3학년과 6학년 모두 개인적인 문제여서가 가장 많았다. 즉, 영역과 학년에 따라 자발적 보고를 하지 않는 이유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온정성과 부정적 반응 및 부모애착이 아동기 자녀의 자발적 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온정성과 부정적 반응은 부모애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모애착은 교육기관영역을 제외한 규칙영역, 친구영 역, 개인영영의 자발적 보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가 온정성이고 부정적 반응을 덜 보일수록 아동은 부모와 애착을 형성하고, 부모와 애착을 형성한 아동일수록 부모에게 규칙영역과 친구영역, 개인영역에 대한 자발적 보고를 더 많 이 하였다. 부모의 온정성과 부정적 반응이 부모애착을 통해 규칙영역과 친구영역, 개인영역의 자발적 보고에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온정성은 모든 영역의 자발적 보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부모의 부정적 반응은 규칙영역의 자발적 보고에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아동기 자녀에게 부정적인 반응을 많이 보일수 록 아동은 가정내 부모와의 약속이나 규칙을 위반한 내용에 대한 자발적 보고를 덜 하였다. 넷째, 부모의 온정성과 부정적 반응 및 부모애착이 아동기 자녀의 자발적 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 간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부모의 온정성과 부정적 반응 및 부모애착이 자발적 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는 아동 후기인 초등학교 6학년 뿐 아니라 아동 중기인 초등학교 3학년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를 대상으로 부모에게 하는 자발적 보고를 측정하였으며, 부모의 양육행동을 부모의 온정성과 부정적 반응을 모두 고려하여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과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부모애착의 매개적 역 할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아동이 겪는 일상생활의 영역에 따라 부모양육과 애착요인이 자발적 보고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동 중기도 아동 후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관계를 적용할 수 있음을 발 견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자발적 보고를 증가시킬 수 있는 부모-자녀관계 개선 로그램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